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수정]마지막 3번째[윈도우 클린 설치] RSIMAGEX등으로 WIMBOOT

2016.09.20 00:02

보[boram]람 조회:2966 추천:9

드디어 친구를 위한 마지막 작업입니다. 왕초보님 이하 초보님들을 위한

[저도 포함입니다^^ ㅋㅋ] 작업이 끝났내요. 못난 초보의 어쭙잖은 글을

보시느라 고생들 하셨습니다. 다음엔 더 나은 모습으로 뵙겠습니다.

[언제가 될지는 저도 모릅니다^^ㅋ] 부족한 글이지만 보시느라 고생^^

동영상을 보시면 맨 마지막에 WIMBOOT가 에러가 납니다.

뭘 잘못해서가 아니라 원인도 알려 드리겠습니다.

이 내용은 윈포 회원분이 올려논 글 입니다.

이제 제대로 적용되내요^^ 힘듭니다. 원글이랑 대조하면서 할려고 하니 맘대로 잘 안되내요. ㅋ


20160920_231331.jpg 

석님 레지 적용시나 무인설치할 경우


밑의 글은 에러 원인등 다른방법으로 하는 법입니다.



모든 준비가 끝났기에

본격적으로 이미지를 생성해보겠습니다. 

 

원본 소스:  윈도우8.1 버전6.3.9600.17031

이미지 생성, 복원 작업 OS: 윈도우8.1 버전6.3.9600.17031계열 PE나 제2의 윈도우8.1

  

방법 1 : RSImageX로 WIMBoot 이미지 생성

           RSimageX로 WIMBoot 설치 복원

 

방법 2 : GimageX로 이미지 생성

           WinNTsetup으로 WIMBoot 설치복원

 

 

원본 소스:  윈도우8.1 버전6.3.9600.17031

이미지 생성, 복원 작업 OS: 6.3.9600.17031계열이 아닌 윈도우7, 윈도우8, 윈도우8.1(6.3.9600.16384)....OS와  PE 

 

방법 3 : RSImageX로 WIMBoot 이미지 생성

           RSimageX로 WIMBoot 설치 복원

 

 

이 세가지 방법으로 해보겠습니다.

 

1번 2번은 일반적인 방법이 되겠습니다만, 3번의 경우 PE나 작업OS가  6.3.9600.17031 계열을 사용할수 없는

특별한 상황에서 어쩔수 없이 사용하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3번은 작업상 변수도 존재하기에 추천하지 않습니다만

필요한 분이 분명 계실듯 싶어 강좌에 넣었습니다.

 

RSImageX로 WIMBoot로 할 경우 시스템을 많이 타거나 DISM버전이라던지 불안한 요소가 많이 존재를 합니다.

또한 이미지역시 WIMBoot로 이미지 생성으로 할 경우 원시이미지 사용에 있어 제한사항이 존재하고,

용도제한이 되기에,

 

WIMBoot 초보입문자에게는

사용용도가 많은 GimageX와 WinNTsetup으로 WIMBoot  셋팅을 개인적으로 추천합니다.

 

 

 

 

 

방법1 

 

 

 

08d35d48f5b7a5ed08873e2c74dfee74.jpg

 

작업대상 윈도우는 버전6.3.9600.17031이 설치되어 있어야만 WIMBoot 이미지 생성이 가능합니다.

만약 6.3.9600.16384을 포함해 그 이전 버전이라면 WIMBoot 이미지생성이 되질 않습니다. 

많은분들이 겪는 현상중 이러한 사소한 버전문제로 WIMBoot 설치에 고생을 많이 하는 분들이 

꽤 존재하더군요.

 

위에 체크한 옵션대로 체크후 이미지를 만들어줍니다. 

원본소스 윈도우가 6.3.9600.17031버전이고 작업하고 있는 PE나 제2의 윈도우8.1 역시 

버전 6.3.9600.17031이라면 WIMBoot 이미지 생성이 정상적으로 진행이 됩니다.

 

 68d8c6b3b9e5d204c68712b652a39c6f.jpg

 


 

WIMBoot 설치복원 완료후, 재부팅하면 WIMBoot로 윈도우8.1을 사용할수가 있습니다.

 

 

 

방법2

83d1f61c3ed7afbf1c1369b0bb7e7d61.jpg  


 

RSImageX방법이 에러가 나거나 사용하기가 힘든 분들은 개인적으로 방법2를 추천합니다.

 

GimageX로  위 옵션대로 이미지 생성을 해줍니다. 원시 이미지 화일이기에

WIMBoot이외에 일반 OS복원으로도 사용할수 있습니다. WIMBoot 사용 옵션은 WinNTsetup으로 해주면 되기에

GimageX로는 기본적인 이미지 생성만 해주면 충분합니다.

 

 

 

68730d124f49d45a454da96ef48a29f2.jpg

원소스 이미지가 버전 6.3.9600.17031이 아닌 경우 Windows 이미지 파일 부트 (WIMBoot) 옵션이 사라집니다.

 

WIMBoot를 사용하기위해서는 반드시 Windows 이미지 파일 부트(WIMBoot) 옵션을 체크 해줘야 합니다.

설치하고자하는 드라이버와 소스이미지를 옵션에 정확히 넣고 설치를 눌러줍니다.

 

 

46e9acb5ab157cf48d63abc64ac73d8d.jpg

 

옵션 수정할것이 있다면 수정해주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71a80ccdfef30f59e82b5f3c32fca719_1.jpg

 

WIMBoot 설치진행중

 

 

설치가 완료후 재부팅하면 윈도우8.1이 WIMBoot로 작동이 됩니다.

 

 

 

 

 

방법 3

 

f4d3679e0f6656418d2e744003b79ad6.jpg

 

이 방법은 추천하는 방법은 아닙니다만, 작업 OS나 PE가 6.3.9600.17031 버전이 아닌 상태에서

WIMBoot작업해야할 분들을 위해 설명하겠습니다.

 

RSimageX 제작자의 홈페이지에 RSImageX2.35 버전과 6.3.9600.17031용 Dism화일을 함께 배포하고 있습니다.

윈도우의 6.3.9600.17031용 Dism을 사용자가 편집해서 추가하는 방법과

 

RSimageX 제작자가 배포하는 Dism을 다운로드 받아서 RSImageX.exe 실행화일의 하위폴더에 Dsim을 넣어주면

작업 윈도우나 PE가 6.3.9600.17031 버전이 아니더라도 WIMBoot작업을 할수가 있습니다.

 

RSImageX.exe는 하위폴더 최신 Dism을 우선적으로 실행시키기에 ,윈도우나 PE의  windows\system2\Dism을 삭제해주거나 교체해줄

필요가 없습니다.

 

추가 작업없이 RSImageX.exe 실행화일 하위폴더에 6.3.9600.17031용 Dism을 복사해주면 됩니다.

 

RSImageX.exe와 6.3.9600.17031용 Dism위치는

windows\system32\dism  폴더에 RSimageX.exe 화일과 Dism을 교체작업이 아니라

적당한 폴더에 RSImageX.exe를 넣고 하위폴더에 6.3.9600.17031용 Dism를 넣고 작업을 해주는 것입니다.

D:\RSImageX\Dism
본 강좌의 RSImageX.exe  위치는 D:\RSImageX\

6.3.9600.17031용 Dism의 위치는 D:\RSImageX\Dism\

 

 

 

 273da90d8688ce4b09903bcff532901c.jpg

 

윈도우8 계열 PE에서 WIMBoot 이미지 생성이 됩니다.

이 방법으로 6.3.9600.17031가 아닌 윈도우나 PE에서 작업을 할수있지만

원본소스 윈도우는 반드시 6.3.9600.17031여야 합니다.

 

 

68d8c6b3b9e5d204c68712b652a39c6f.jpg

 

 

윈도우8계열 PE에서 WIMBoot 이미지 작업한 화일을 설치복원작업을 성공시켰습니다.

 

재부팅하면

 

WIMBoot 모드로 윈도우8.1 6.3.9600.17031 버전이 정상 작동이 됩니다.




이건 전에 써논글입니다. 참고하세요^^


통합 이미지의 WIMBOOT 제작 설치 용량 줄이기방법


윈도우 통합이미지로 WIMBOOT를 만들고 설치하는 과정을 알아 보실까요?

 

**윈도우 PE 8.1, 10등 최신 버젼을 구해서 하셔야 합니다. 8.1 업데이트 버젼부터 적용이 가능합니다.**

DREAM PE나 사평님 PE를 구해서 하시면 되겠습니다.

 

JW_win7_win8_win8.1_Server R2_31in1_auto.iso 를 예제로 들어 보겠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많은 윈도우 버젼이 들어 있습니다. 31가지 버젼이내요.

여기서 필요한 것만 쏙 골라내서 설치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JW_win7_win8_win8.1_Server_R2_31in1_auto.iso.jpg  

1. wim파일 추출(export,내보내기) - 하나의 이미지 내보내기

 

 

wim파일_추출(export,내보내기)_-_하나의_이미지_내보내기.jpg

 

2. 추출한 이미지로 설치하기 

 

윈도우_설치.jpg

 

재부팅후 드라이버 추가  업데이트 프로그램 설치등 1번에 안되니 재부팅 하면서 마무리가 되면 고스트 만들듯이 PE로 부팅후

WIMBOOT 작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설치후 추가적인 작업을 하시면 적어도 9~40GB는 될겁니다.

무도사님걸로 하면 40이 훨신 넘을겁니다.

 

3. 설치한 윈도우를 고스트처럼 만들기

 

 

C드라이브를_WIM파일로_캡쳐.jpg

 

 

4. WIMBOOT로 캡쳐한 WIM파일을 WIMBOOT로 설치해서 C: 용량을 줄이기

 

 

WIMBOOT로_설치해서_.jpg

 

4. 최종 설치 용량 비교

 

 

최종.jpg

 

이상으로 Wimboot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그림으로 설명이 되어 잇어 이해가 쉬울겁니다,

 

이상 허술한 강좌를 마칩니다.

해보면서 누구나 쉽게 하실수 있게 했다기 보다는 아는 동생이 전혀 몰라서 하는 방법대로 올렸습니다.

부족한 글 보시느라 고생들이 많았습니다.

                                          By 보[BORAM]람 : 게임 닉네임 잘주는요정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7179 기 타| [종료]5.04+Wallpaper+18362.86 [407] 첨임다 2972 116 04-27
7178 소프트웨어| (종료)그때그 HKBoot3.4 [141] 집앞의_큰 2972 43 11-24
7177 윈 도 우| Win10_x64_Super_Lite_PE (인터넷 추가) [284] COLite 2971 141 04-12
7176 윈 도 우| 레드스톤4 '최고의 성능' 확인하고 bat 파일 테스트 [32] suk 2971 31 05-04
7175 윈 도 우| Win_Pro_10_1607_64BIT_Korean(14393.726)-media버전 [26] 태풍소녀 2971 7 02-27
7174 소프트웨어| 랜섬웨어 미끼폴더 삭제하기 테스트: 4번째 파일 [27] suk 2970 14 08-23
7173 윈 도 우| 콜레오님 드림pe 간략 사용기[추가 있음] [6] 땅콩 2970 3 07-04
7172 윈 도 우| 7_Ultimate_x86_LITE [36] 가지고싶은 2969 8 10-15
7171 하드웨어| USB 3.0 확장카드 속도문제 결국 OS 문제인가... [5] 그러비 2969 0 09-29
7170 윈 도 우| [종료]Lightn11PE_22000.387_ko.wim [40] sunshine 2966 33 01-08
» 윈 도 우| [수정]마지막 3번째[윈도우 클린 설치] RSIMAGEX등으로 WIM... [18] 보[boram]람 2966 9 09-20
7168 기 타| [종료]-KJ-ChumPE-20H1(2004-19041.208)깔끔이버전 [702] 첨임다 2965 327 04-26
7167 윈 도 우| win10 pex32 .iso 배포 [24] 땅콩 2965 13 06-30
7166 윈 도 우| W10 10568.36업데이트 통합 & 트윅 테스트 [12] 갑파니 2964 7 12-24
7165 윈 도 우| 윈도10 컴퓨터 사용하지 않을 때, cpu 사용하는 범인 잡았... [11] suk 2963 3 02-05
7164 서버 / IT| 구글드라이브 다운로드 용량 초과 우회 방법 [6] 도전정신 2962 17 10-25
7163 윈 도 우| my8.1pe와 심즈 [1] 땅콩 2962 3 06-11
7162 하드웨어| 중국산 무선랜카드....사용기 (2)...끝 [3] hanco 2960 1 09-24
7161 윈 도 우| 블루스크린과 vmware랑 관계가? [3] suk 2959 0 10-20
7160 하드웨어| USB 3.1 to SATA [6] 해피밥 2958 5 05-15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