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소프트웨어 고스트 아직도 쓰시는 분들 한번 보세요

2016.03.29 17:21

suk 조회:4589 추천:16

고스트만 계속 사용하시면 모르실 겁니다. 그래서 씁니다

시대가 변했는데요. 고스트는 예전 툴이라고 cpu를 제대로 활용을 못 합니다. 다른 툴들은 저 멀리 갈 때 고스트는 그대로인 거죠


* 여기서 고스트는 .gho 파일로 백업되는 원조 고스트를 의미합니다. 16비트 도스용부터 시작하여, 윈도용으로 32비트와 64비트도 있습니다

 고스트는cpu사용률이너무낮습니다2016-03-29_170157.jpg


윈도상에서 64비트 고스트 파일 실행했습니다.

cpu 사용률 최고가 17% 였습니다. 4코어라서 그렇고, 2코어 컴퓨터는 아마 50% 정도 될 듯 합니다


편견?과는 달리 고스트도 윈도상에서 백업됩니다. 단지 어떤 툴이든지...윈도상에서 바로 백업한 파일은 복구하면 조금 이상한 측면이 있습니다

저도 귀차니즘은 5년이상 항상 윈도상에서 백업해왔는데요. 저 미묘한 에러 때문에 - 그냥 무시하고 사용해도 되긴 됩니다 -

귀찮아도 요즘은 늘 다른 걸로 부팅하여 백업하고 있습니다


고스트는cpu사용률이너무낮습니다2016-03-29_170332.jpg


중요한 백업시간은 2분36초로 생각보다 빠르네요. 예전에는 32비트 pe에서 해서 이것보다 훨씬 느렸습니다. 10분 정도...

요즘은 pe에서 느린 걸 발견하고는 무조건 백업/복구도 다른 윈도로 부팅하여 하고 있습니다.


고스트는cpu사용률이너무낮습니다2016-03-29_165809.jpg



드라이브 스냅샷을 보시면 cpu 사용률이 매우 높네요. 90% 이상...


고스트는cpu사용률이너무낮습니다-스냅샷은37초에바로백업완료2016-03-29_165855.jpg



드라이브 스냅샷은 37초에 완료...


혹시 드라이브 스냅샷을 뒤에 해서 램 효과 아닌가? 스샷 시간 보시면 아시겠습니다만....고스트를 더 늦게 했습니다

원래는 고스트부터 했습니다만...중간과정 스샷만 하고는 꺼버렸습니다. 

나중에 백업 완료시간도 스샷을 했기 때문에...고스트는 결국 2번이나 했습니다. 

근데 고스트->스냅샷->고스트 이렇게 해서 램효과는 둘다 같겠습니다. 


백업이 압축하는 일이고, 압축은 cpu가 좌우하게 됩니다. 그래서 고스트도 멀티 cpu만 활용하게 한다면 느리지 않을 것 같은데요

어쩔 수 없죠. 현재 상태로는 저 상태이므로.....고스트 쓰시는 분들은 다른 툴 알아보시기를....보통 2배 이상 시간 절약되는 신세계가 열릴 것입니다

예외도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를...


-------------------

2016-03-30 14:26

드라이브 스냅샷에 주안점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만, 댓글 보고 생각나서 더 테스트해봤습니다


드라이브스냅샷은-기본PE인boot.wim에서도그냥실행되네요2016-03-30_142149.jpg


윈도 설치할 때 부팅하는 기본 boot.wim에서도 snapshot은 실행이 됩니다. 

보통 PE에서 뭔가 실행하려고 하면 많은 준비 작업이 필요합니다. 트루이미지라든지 아오이메이...

근데 드라이브 스냅샷은 아무 준비작업없이 실행파일 하나로 바로 사용할 수 있네요.


드라이브스냅샷은-기본PE인boot.wim에서도그냥실행되네요2016-03-30_142447.jpg


백업을 끝까지 해봤습니다. 특이하게도 gui가 떴는데도 cmd 화면에서도 동시에 진행이 되네요. 별 상관은 없겠죠

근데 가상머신이라서 그런지...pe라서 그런지...속도는 무진장 느리네요. 저 정도 용량이면 눈 깜짝할 사이에 백업되어야 하는데요. 2분이나 걸리네요


드라이브 스냅샷은 이렇게 파일 1개만 있으면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 같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072 기 타| 19041 Admin PE k*m님 감사 사용기 입니다. ^_^ [48] SHIELD 1328 40 10-15
4071 윈 도 우| VHD 에 Ventoy 설치하기 [11] 단테9 1328 13 09-10
4070 윈 도 우| DREAM WTG의 시스템설정에서 설정유지와 초기화에 대한 설명 [8] 오짜 1327 10 03-12
4069 기 타| 구형 PE 수정 [63] 집앞의_큰 1326 143 04-18
4068 기 타| WinPE11 Sergei Strelec PE를 한글화를 하여 보았습니다 [57] 왕초보 1326 71 09-04
4067 윈 도 우| pe 부팅 10초의 벽을 돌파할지도 모르겠네요. Lightn11PE_... [7] heykevin 1326 8 01-09
4066 윈 도 우| 태양****님 110M Win 10 Mini PE (x86) 사용후기 [15] 항상감사 1326 5 09-07
4065 윈 도 우| 집★의_큰나무님- HKBoot Final-3.2에 철이님꺼 합체한 BCD [34] 고감맨 1325 14 07-27
4064 기 타| GhostPE, Multi-BRPE 교체해 주세요. [13] 틱톡88 1325 9 10-12
4063 기 타| HK Multi Boot PE 사용해 봤습니다 [9] 영은공 1325 7 02-10
4062 소프트웨어| [종료]팟플레이어 단일파일 [26] DengJang 1324 53 06-12
4061 윈 도 우| QuantumPE 간단 리뷰 [26] 4k8k 1324 20 01-28
4060 소프트웨어| ifw - tbi 우클릭 메뉴 [12] 오스 1323 15 06-19
4059 윈 도 우| [성공/추가] 윈도10 버전 1909 릴리스 프리뷰 설치 도전記 [13] suk 1323 14 08-28
4058 윈 도 우| 고정출연자님 이름없는PE [10] 자유시간 1323 3 04-06
4057 하드웨어| 인텔 12세대 Alder Lake-N N100 CPU를 탑재한 미니PC를 종... [15] 상발이 1322 17 02-15
4056 소프트웨어| [추가] wim,esd,swm 변환,분할,결합-wimConvert [69] 지후빠 1322 69 12-29
4055 윈 도 우| DREAM WTG End Game Patch 3.2 [17] %카리스마 1322 16 03-02
4054 윈 도 우| RS4/RS5 kb4100347 관련 배수락이 걸리는 문제 해결하기 [1] 장스 1322 4 10-06
4053 기 타| [종료]WindowsXPE147 수정버전(20240313).. [51] 노랑개굴 1321 84 03-13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