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오랜만에 wimboot 로 윈도 사용해봅니다

2018.07.02 17:11

suk 조회:1376 추천:11

윈도8.1 with update 때 wimboot 가 처음 등장했을 때, 윈도우 포럼에 소개가 되어서

저도 뭔가 싶어서 한창 사용했었는데요. 왜 사용 안 하는지? 기억이 안 나네요. 대충 짐작은 갑니다만..

 

그래서 왜 사용 안 하는지 확실히 알기 위하여, 지금 사용중인 윈도를 캡처하여 wimboot 로 설치하여 사용중입니다

 

오랜만에 wimboot 해보려고 하니까 경로가 맞지 않다고 하네요 2018-07-02_153042.png

최근에 쓴 방법대로 wimboot 옵션으로 wim 캡처하려고 하는데요. 이런 에러가 나오네요..

 

오랜만에 wimboot 해보려고 하니까 경로가 맞지 않다고 하네요 - 하위 폴더에 해도 안 되네요 2018-07-02_153334.png

 

기억에는 없지만, 루트에 하면 안 되는 경우도 있어서 [마운트는 루트에 안 됩니다]

그래서 wimboot 폴더 만들어서 해봤습니다만....안 되네요

 

오랜만에 wimboot 해보려고 하니까 경로가 맞지 않다고 하네요 - 하위 폴더에 해도 안 되네요 - 파일 이름을 바꿔봐도 안 되네요 2018-07-02_153513.png

 

wim 파일 이름을 바꿔봐도 안 되네요

 

오랜만에 wimboot 해보려고 하니까 경로가 맞지 않다고 하네요 - 하위 폴더에 해도 안 되네요 - 파일 이름을 바꿔봐도 안 되네요 2 - 그냥 dism.exe 명령어로 해봐야겠습니다 2018-07-02_153647.png

 

또 다른 이름으로 해봤습니다만...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혹시나 해서 dism.exe 명령어로 해봤습니다.

예전에는 RSImageX에 wimboot 옵션이 없었기 때문에 전부 명령어로 wimboot는 했습니다

그래도 같은 에러가 나오더군요.

 

그런데, 다행히 제가 예전에 wimboot 사용한 기록이 텍스트 파일에 있더군요

거기에 중요한 정보가 있었습니다. 윈도10 최초 버전 10240 빌드 PE로 부팅하여 작업했다고 되어 있더군요

 

그래서 dism.exe 버전을 10240 빌드로 해봤습니다. 

오랜만에 wimboot 해보려고 하니까 경로가 맞지 않다고 하네요 - dism.exe 명령으로 해도 마찬가지네요. 이게 무슨 일인지 2018-07-02_155333.png

 

wim 으로 캡처는 했고, 이제 대상 파티션을 포맷하고, wimboot 옵션으로 방금 저장한 wim 파일을 설치해주면 됩니다.

포맷은 diskpart로 하면 묻지 않기 때문에, 설치는 dism.exe 로 했습니다

 

오랜만에 wimboot 해보려고 하니까 경로가 맞지 않다고 하네요 - dism.exe 을 윈도10 최초 버전 10240 빌드로 하면 잘 작동하네요 - 캡처 후에 포맷하고 다시 wimboot 로 설치 성공함 2018-07-02_160447.png

 

문제없이 잘 됐습니다

 

 

오랜만에 wimboot 해보려고 하니까 경로가 맞지 않다고 하네요 - dism.exe 을 윈도10 최초 버전 10240 빌드로 하면 잘 작동하네요 - 캡처 후에 포맷하고 다시 wimboot 로 설치 성공함 - wimboot 는 이런 맛입니다 - 윈도가 364MB 에 설치되다니-물론 사용하다 보면 이것보다는 훨씬 커집니다 2018-07-02_160651.png

 

wimboot 로 설치 후에 대상 파티션 크기가 364MB 입니다. wimboot 는 이런 맛이죠

 

오랜만에 wimboot 해보려고 하니까 경로가 맞지 않다고 하네요 - dism.exe 을 윈도10 최초 버전 10240 빌드로 하면 잘 작동하네요 - 캡처 후에 포맷하고 다시 wimboot 로 설치 성공함 - wimboot 는 이런 맛입니다 - 윈도가 364MB 에 설치되다니-물론 사용하다 보면 이것보다는 훨씬 커집니다 - 캡처한 wim 용량입니다 2018-07-02_160845.png

 

평소에 윈도도 20GB 남짓으로 별로 크지는 않습니다. wim 백업하면 압축이 되어서 더 적습니다

 

 

오랜만에 wimboot 해보려고 하니까 경로가 맞지 않다고 하네요 - dism.exe 을 윈도10 최초 버전 10240 빌드로 하면 잘 작동하네요 - 캡처 후에 포맷하고 다시 wimboot 로 설치 성공함 - wimboot 는 이런 맛입니다 - 윈도로 부팅하니까 3.86GB 이네요. 여기서 3GB는 가상메모리입니다 2018-07-02_162940.png

 

wimboot 첫 부팅 때는 예전 기록에도 있었습니다만, 느립니다.

처음에는 뭔가 wim 파일과 연결을 많이 해야 하기 때문인지? 암튼 첫 부팅은 느립니다.

 

부팅만 느릴 뿐이고, 사용상 느린 것은 없습니다. SSD는 요즘 대중화된 듯 하여 wimboot 도 별 문제는 없는 듯 합니다

wimboot 는 왜 그만 뒀는지...몇년이 지나서 기억이 나지 않아서 wimboot 를 설치했습니다. 과연 어떻게 될 지...^^

 

위에서 사용한 명령어들입니다. 초반에 set 들은 상황에 맞게 수정하시고, 여러 줄 복사/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set dism=Q:\100\1st\v1803\_통합하기tool_\x64\dism
set drv=B
set wim="N:\wimboot\1-Win10.RS3.Home.K.180617.wim"
set name="2018.07.02 wimboot 시작"
set scratchdir=d
set label="1-Win10.RS3.Home.K.180617"

 

%dism% /Capture-Image  /CaptureDir:%drv%: /ImageFile:%wim%  /Name:%name%  /NoRpFix /scratchdir:%scratchdir%:\ /wimboot

 

diskpart
sel vol %drv%:
format quick fs=ntfs label=%label% OVERRIDE
exit

 

%dism% /Apply-Image /ImageFile:%wim%  /ApplyDir:%drv%: /index:1 /scratchdir:%scratchdir%:\  /wimboot

 

C: 은 사용하다 보면 용량이 커집니다. 그러면 다시 위와 같이 한번 더 캡처 / 포맷 / 설치 해주시면 됩니다.

-------------------------

잠시 후: 2018.07.02 월요일 오후 05:19

오랜만인 것 같았는데요. 작년에도 오랜만이라면서 쓴 글이 있네요. https://windowsforum.kr/9183606 띠용...기억력이 별로네요.

그리고 제 글에서 또 배웁니다; wimboot 로 사용하다가 다시 캡처하여 wimboot 로 설치할 때는 파티션을 삭제해야 됩니다

기존 wim 파일과 파티션이 연결 되어 있어서..파티션 삭제로 연결고리를 제거하고 다시 wimboot로 설치해야 하는군요.

-------------------------

2018.07.07 토요일 오전 10:47 [5일후]

다행히 아직까지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벌써 업데이트 통합 테스트도 1번 해봤습니다만, 이상이 없었습니다

물론 1번 테스트만으로 안정성이 검증되는 것은 아닙니다만, 원래 모든 업데이트 통합을 1번씩 전부 다 해보려고 했습니다만..귀찮아서;;

실제 통합하다가 문제가 생기면 그때 그만두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예전에는 이런 기억이 없는데요. 부팅 때 항상 구슬이 별도로 더 많이 돌더군요. 5번 정도나 더 돌아서 좀 갈등이 생길 정도입니다.

다행히 저는 부팅을 자주 하지 않기 때문에 그냥 넘어가려고 하는데요. 이 현상은 왜 생기는지 모르겠습니다.

 

wimboot 는 사실 사용할 때는 일반 설치보다 더 좋은 일은 상상할 수 없습니다. 잘해야 본전입니다 [속도나 오류]

오로지 C: 용량을 절약한다는 장점만 있습니다. 저는 C: 용량 자체는 중요하지 않습니다만...C: 을 백업하고 복구할 때 시간이 좀 중요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6952 윈 도 우| FSMG님 작품'Win10 x64 2004 트윅 안정화 '사용 입니다. [11] 하늘은높고 1375 11 08-19
6951 윈 도 우| 윈 포럼 PE 5 화면 [7] 4k8k 1375 5 12-30
6950 기 타| [종료]Light_Net_11th [312] DengJang 1375 93 01-01
6949 기 타| 무선 [78] 집앞의_큰 1375 95 06-21
» 윈 도 우| 오랜만에 wimboot 로 윈도 사용해봅니다 [18] suk 1376 11 07-02
6947 기 타| 7차. CN+OKR PE [233] 집앞의_큰 1376 255 06-30
6946 소프트웨어| Windows11 22621.2215 Admin PE - KNM [55] wfja88 1376 78 09-10
6945 기 타| AOMEI Backupper - 회사가 친절하네요 [10] 왕초보 1376 26 06-11
6944 소프트웨어| AeroGlass 1.5.10 사용기 [6] bleach 1377 4 12-26
6943 소프트웨어| [실사] EasyWinSetup v0.7.7.0 - XML 파일 선택 설치 테스트! [12] 무월 1377 19 05-12
6942 기 타| K-T-P2 수정 안내 [101] 집앞의_큰 1378 95 12-29
6941 기 타| 뚱뚱한PE2_MTP 버전 간단한 피드백 입니다 [36] 왕초보 1379 21 01-01
6940 기 타| [종료]WindowsXPE147 수정버전입니다... [49] 노랑개굴 1379 80 03-05
6939 윈 도 우| 8.1_Enter_Lite2 설치 [13] mkv 1380 5 10-08
6938 윈 도 우| 고전 2015 LTSB (2018.09.17) 통합해봤습니다 [19] suk 1380 23 09-17
6937 기 타| 카오디오 튜닝후기.. [5] bleach 1380 2 02-06
6936 기 타| 큰*무님 퀀텀 어드민PE 토렌트지원 [17] 더불어~~~ 1380 21 02-18
6935 기 타| 윈도우 업데이트 통합2_ISO 마운트하고 통합 [10] 옛날에 1381 21 03-04
6934 기 타| pe부팅시 usb키보드가 작동하지 않을때 appPatch폴더를 추... [14] 오짜 1382 9 11-25
6933 소프트웨어| Macrium Reflect 8 백업 복원 [8] ʕ·ᴥ·ʔ 1382 23 02-0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