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소프트웨어 고스트 아직도 쓰시는 분들 한번 보세요

2016.03.29 17:21

suk 조회:4592 추천:16

고스트만 계속 사용하시면 모르실 겁니다. 그래서 씁니다

시대가 변했는데요. 고스트는 예전 툴이라고 cpu를 제대로 활용을 못 합니다. 다른 툴들은 저 멀리 갈 때 고스트는 그대로인 거죠


* 여기서 고스트는 .gho 파일로 백업되는 원조 고스트를 의미합니다. 16비트 도스용부터 시작하여, 윈도용으로 32비트와 64비트도 있습니다

 고스트는cpu사용률이너무낮습니다2016-03-29_170157.jpg


윈도상에서 64비트 고스트 파일 실행했습니다.

cpu 사용률 최고가 17% 였습니다. 4코어라서 그렇고, 2코어 컴퓨터는 아마 50% 정도 될 듯 합니다


편견?과는 달리 고스트도 윈도상에서 백업됩니다. 단지 어떤 툴이든지...윈도상에서 바로 백업한 파일은 복구하면 조금 이상한 측면이 있습니다

저도 귀차니즘은 5년이상 항상 윈도상에서 백업해왔는데요. 저 미묘한 에러 때문에 - 그냥 무시하고 사용해도 되긴 됩니다 -

귀찮아도 요즘은 늘 다른 걸로 부팅하여 백업하고 있습니다


고스트는cpu사용률이너무낮습니다2016-03-29_170332.jpg


중요한 백업시간은 2분36초로 생각보다 빠르네요. 예전에는 32비트 pe에서 해서 이것보다 훨씬 느렸습니다. 10분 정도...

요즘은 pe에서 느린 걸 발견하고는 무조건 백업/복구도 다른 윈도로 부팅하여 하고 있습니다.


고스트는cpu사용률이너무낮습니다2016-03-29_165809.jpg



드라이브 스냅샷을 보시면 cpu 사용률이 매우 높네요. 90% 이상...


고스트는cpu사용률이너무낮습니다-스냅샷은37초에바로백업완료2016-03-29_165855.jpg



드라이브 스냅샷은 37초에 완료...


혹시 드라이브 스냅샷을 뒤에 해서 램 효과 아닌가? 스샷 시간 보시면 아시겠습니다만....고스트를 더 늦게 했습니다

원래는 고스트부터 했습니다만...중간과정 스샷만 하고는 꺼버렸습니다. 

나중에 백업 완료시간도 스샷을 했기 때문에...고스트는 결국 2번이나 했습니다. 

근데 고스트->스냅샷->고스트 이렇게 해서 램효과는 둘다 같겠습니다. 


백업이 압축하는 일이고, 압축은 cpu가 좌우하게 됩니다. 그래서 고스트도 멀티 cpu만 활용하게 한다면 느리지 않을 것 같은데요

어쩔 수 없죠. 현재 상태로는 저 상태이므로.....고스트 쓰시는 분들은 다른 툴 알아보시기를....보통 2배 이상 시간 절약되는 신세계가 열릴 것입니다

예외도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를...


-------------------

2016-03-30 14:26

드라이브 스냅샷에 주안점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만, 댓글 보고 생각나서 더 테스트해봤습니다


드라이브스냅샷은-기본PE인boot.wim에서도그냥실행되네요2016-03-30_142149.jpg


윈도 설치할 때 부팅하는 기본 boot.wim에서도 snapshot은 실행이 됩니다. 

보통 PE에서 뭔가 실행하려고 하면 많은 준비 작업이 필요합니다. 트루이미지라든지 아오이메이...

근데 드라이브 스냅샷은 아무 준비작업없이 실행파일 하나로 바로 사용할 수 있네요.


드라이브스냅샷은-기본PE인boot.wim에서도그냥실행되네요2016-03-30_142447.jpg


백업을 끝까지 해봤습니다. 특이하게도 gui가 떴는데도 cmd 화면에서도 동시에 진행이 되네요. 별 상관은 없겠죠

근데 가상머신이라서 그런지...pe라서 그런지...속도는 무진장 느리네요. 저 정도 용량이면 눈 깜짝할 사이에 백업되어야 하는데요. 2분이나 걸리네요


드라이브 스냅샷은 이렇게 파일 1개만 있으면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 같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803 소프트웨어| 반디집MSE 앱버전 간단 사용기 [11] 내꼬 1766 15 04-05
802 소프트웨어| Driver Easy Pro 5.71 [15] 4k8k 2640 15 04-26
801 소프트웨어| SetDpi(모니터 DPI 변경) [5] 내꼬 998 15 11-27
800 소프트웨어| [단1]-IGSKP- 간략 설명! [15] 습관 490 15 04-30
799 소프트웨어| PinTo.bat/exe v0.9 제작, 사용기 [11] 지후빠 1374 15 05-02
798 소프트웨어| 칠팔리팩 1.9.7 사용기 [12] DengJang 487 15 06-25
797 소프트웨어| [종료]사케이비디오다운로더플러스 단일파일(0901) [7] DengJang 380 15 09-01
796 소프트웨어| 분할 압축 [6] 4k8k 740 15 12-04
» 소프트웨어| 고스트 아직도 쓰시는 분들 한번 보세요 [52] suk 4592 16 03-29
794 소프트웨어| Win8MpeL 1.0 사용기2 [24] 루로우니 6926 16 05-26
793 소프트웨어| WinXP SP3 IE8 3in Hotfix 0814 사용기(업데이트 방법추가) [63] 마니또우 11969 16 08-21
792 소프트웨어| UpdatePack7R2 로 윈7 IE11 업데이트 통합하기 2탄 [27] suk 4368 16 10-26
791 소프트웨어| 스냅샷은 역시 중독이네요. [43] 오늘을사는 3361 16 03-09
790 소프트웨어| (중)PE 무선 드라이버. 접목 [105] 집앞의_큰 1861 16 11-22
789 소프트웨어| UEFI:NTFS 부팅파일 [20] %카리스마 7298 16 03-05
788 소프트웨어| Y 고정 스크립트 - Macrium Reflect - v0.02 [20] 입니다 905 16 02-14
787 소프트웨어| 우리두리님을 위해 [26] %카리스마 2607 16 04-16
786 소프트웨어| 아이들이 필요해서 만든 작품 [29] 굿듀님스토 2468 16 03-21
785 소프트웨어| 초보의 ventoy 사용기 [19] 두힘 1828 16 09-20
784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익스플로러 활용기 [12] 집앞의_큰 1396 16 04-2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