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PAL( PortableApps.com Launch)로 EditPlus 포터블 만들기 2부
2025.06.28 14:44
이제 기본적인 탬플릿을 불러옵니다.
탬플릿 설명 등 한글화 : PortableApps.com 기본 탬플릿.zip
위 탬플릿은 소스이므로 항상 원본은 저장해두세요.
탬플릿을 수정하면 원복하기 힘듭니다.
ini나 설명 등이 들어있어서 완숙하신 후 지우시기나 하시면 됩니다.
압축을 푸시면 위와 같은 파일과 폴더가 있습니다.
각 텍스트와 환경 변수들은 자주쓰이는 부분만 번역해둔 부분이라 참고하시면 되고
AppNamePortable폴더를 복사해서 수정 준비를 합니다.
전 D드라이브에 PortableMakeWork에 넣었습니다.
AppName이란 건 변수입니다. 즉 포터블을 만들 프로그램의 이름입니다.
여기선 EditPlus이므로 AppName을 EditPlus로 변경해 줍니다.
AppName은 띄어쓰기고 특수문자없이 영문으로만 작성하셔야 합니다.
폴더의 이름은 나중에 바꾸셔도 되지만
여기선 기본 개념을 잡으셔야 하므로 최종 완성전 까지는 앱이름Portable이 기본이라고 기억하세요.
이렇게 폴더명을 변경해 줍니다.
내부에 들어가시면 AppNamePortable.exe가 있죠? 이건 나중에 새로 제작하면 되는 부분이니 지워주셔도 되고
실행해 보시면 App D:\PortableMakeWork\EditPlusPortable\App\AppName폴더의 AppName.exe가 실행될 겁니다.
들어가 보시면 여러가지가 있는데 nsi파일까지 있지만 이건 수정안하셔도 됩니다.
D:\PortableMakeWork\EditPlusPortable\App\AppName 폴더 자체를 지우셔도 됩니다.
1. Appinfo 폴더
프로그램의 실행 경로 및 등록할 레지스트리 복사할 폴더, 파일 등등의 종합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ini와 런처 생성시에 쓰이는 아이콘 등이 있는 폴더입니다.
2. DefaultData폴더
런처 실행시 처음 사용되는 레지스트리, AppData나 다른 폴더로 복사할 파일 등등의 기본 데이터가 저장되는 폴더입니다.
3. AppName폴더
지우긴 했지만 실행될 파일을 담은 폴더인데 이건 AppName처럼 이름을 한기지 변수로 하지 않아도 되고
버전 등을 표시해도 동작하므로 지우고 설명합니다.
Program Files의 EditPlus폴더를 통째로 복사했습니다.
저기에 기본 실행파일이 있습니다.
폴더 내부의 모습이고 editplus.exe가 실행파일입니다.
AppInfo폴더입니다.
ini가 2개가 있는데 installer.ini는 인스톨러를 만들 때만 사용되므로 지우셔도 됩니다.
이건 노트패드2로 연 모습입니다.
초록색으로 된 부분은 주석입니다.
참조하셔서 만드시면 되고 여기선 EditPlus실행에만 중점을 두겠습니다.
AppName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많죠?
Ctrl + H를 눌러 바꾸기로 EditPlus로 바궈줍니다.
모두 바꾸기로 전부 바꿨습니다.
라이센스 정보 수정등도 실행에 필요한 건 아니니 넘어가고 버전 표시도 있지만 이것도 읽어보시고 변경하세요.
실행만이 중요하죠.
[Control]
Icons=1
Start=EditPlusPortable.exe
이 부분은 아이콘 1개를 표시하고 포터블 런처 생성시 생성되는 exe의 파일명을 정하는 겁니다.
세세한 정보는 Launcher폴더의 ini를 수정하셔야 합니다.
이제 저장해 줍니다.
appinfo.ini에서는 AppName을 원하는 프로그램이름으로 변경만하시면됩니다.
추가로 라이센스 사용유무나 버전 정보를 정하시면 됩니다.
Launcher폴더로 들어갑니다.
들어가면 AppNamePortable.ini파일과 Splash.jpg파일이 있는데 Splash.jpg는 지워줍니다.
런처실행시에 뜨는 스플래쉬 창인데 귀찬으니까 지웁니다.
EditPlusPortable.ini로 변경 후 텍스트 편집기로 열어줍니다.
여기도 기본 AppName인데 Ctri + H로 모두 바꿈을 해줍니다.
[Launch]
;이 섹션은 앱이 어떻게 시작되고 어디서 실행되는지를 설명합니다.
;ProgramExecutable은 앱을 시작하기 위해 실행할 EXE 파일로, EditPlusPortable\App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한 상대 경로입니다.
ProgramExecutable=EditPlus\EditPlus.exe
이 분이 중요하니까 설명하겠습니다.
런처 실행시 실행되는 부분입니다.
EditPlus가 App에 있는 폴더를 의미합니다.
이 부분은 임의로 변경하셔도 됩니다.
App폴더의 폴더를 지정하거나
%WinDir%System32 등으로 윈도우의 폴더의 System32폴더의 파일이나
%ProgramFiles%\EditPlus와 같이 C:\Program Files
\EditPlus폴더의 파일의 실행하게 지정도 가능합니다.
여기선 App폴더의 EditPlus폴더의 EditPlus.exe를 실행하라는 겁니다.
여기에 레지스트리 키도 있고 많지만 우선 이정도만 지정하고 저장해 줍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런처를 만들기 전에 아이콘을 만듭니다.
기본 ico에는 256 48 32 16의 정보와 png가 128 75 32 16이 필요합니다.
IcoFX로 아이콘을 추출해 만듭니다.
이미지 내보내기를 하시면 png로 내보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아이콘과 png도 모두 변경했습니다.
이제 런처를 만들어 봅니다.
PortableApps.com Launcher Generator : PortableApps.comLauncher.zip
위 런처 생성기를 다운받아 압축을 풀고 PortableApps.comLauncherGenerator.exe를 실행합니다.
Next를 누르세요.
위의 빈 칸에 런처를 만들 폴더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여기선 D:\PortableMakeWork\EditPlusPortable입니다.
바로 이 폴더입니다.
Go를 누르면 런처가 만들어 집니다.
오류가 없으면 이런 창이 뜹니다.
이렇게 EditPlusPortable.exe가 만들어 졌습니다.
이제 저 EditPlusPortable.exe를 실행해 보시면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여기까진 사실상 프로그램 실행하는 바로가기와 다를게 없긴 합니다.
3부에서 다뤄질 App\Launcher폴더의 EditPlusPortable.ini를 만져주면
레지스트리 쓰기 복사 삭제 등등을 만질 수 있게 됩니다.
저 ini에서 다 하므로 런처 생성은 더 안하셔도 됩니다.
이제 3부에서 뵙겠습니다.
댓글 [13]
-
cungice 2025.06.28 14:55
-
상발이 2025.06.29 07:07
수고하셨습니다.
-
시종일관 2025.06.29 08:33
수고 많으셨습니다.
찬찬히 배워보겠습니다 ^^
-
꽃동산 2025.06.29 09:47
소중한 강좌 감사합니다.
-
머털 2025.06.30 21:01
수고하셨습니다
-
맨션에살자 2025.07.03 18:42
수고 많으셨습니다.
좋은 강좌 감사합니다
-
시종일관 2025.07.08 13:35
프로우스님~
오늘 시간을 내어 연습을 했습니다~ ^^
1부, 2부 찬찬히 보고 실행해 보니 단일 파일이 잘 만들어 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레지스트리 파일 수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ㅠ_ㅠ)
만들어진 단일 파일을 실행한 후 과정을 이미지로 캡춰했습니다.
▼ 만들어진 파일 내용입니다.
▼ EditPlusPortable.exe 파일 실행 : 잘 실행되었습니다 ^^
▼ AppNamePortable.exe 파일을 실행하니 아래와 같은 오류 창이 뜹니다? ⇒ 정상인 것 맞나요?
♣ 이상 간단한 사용기였습니다 ^^
- 이제 본격적으로 단일 실행파일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
♣ 좋은 강좌 만들어 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__)
-
시종일관 2025.07.08 15:15
프로우스님~
연습을 끝내고, 실전에 들어갔습니다.
Aomei Backupper 7.5 를 단일파일 만들기 했는데요,
단일 파일이 잘 만들어 지기는 했습니다.
▼
그런데 본문 하단의 프로우스님 말씀처럼 "여기까진 사실상 프로그램 실행하는 바로가기와 다를게 없긴 합니다."
C: 드라이브에 설치된 용량과,
D:\PortableMakeWork\BackupperPortable 에 설치된 폴더의 용량이 거의 같습니다 (658MB)
C: 드라이브에서 통째로 가져와서 D: 드라이브에 붙여넣은 "D:\PortableMakeWork\BackupperPortable\App\Backupper" 이 폴더를 삭제하면,
만든 단일 실행파일 "BackupperPortable.exe"이 실행이 안됩니다.
▼
♣ 결국 바로가기 의미 밖에 없습니다 ^^
결론은 3부 강좌가 기다려 집니다 ^^
-
시종일관 2025.07.08 15:24
한 가지 별거 아닌 궁금한게 있습니다 ^^
IcoFX 프로그램 인데요, 버전은 3.9.0 입니다.
그런데 본문의 설명에서 "이미지 내보내기"라는 메뉴가 없네요?
그래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했고요,
위의 캡춰 이미지를 자세히 보시면,
탐색기에서 "보기" 메뉴를 "자세히"로 설정하면 포터블 파일의 아이콘이 런처 아이콘으로 보이네요 ㅋㅋ
그건 아마 IconFX 프로그램에서 .ico 파일로 저장할 때는
아마 가장 작은 사이즈(16*16-8)의 아이콘을 .ico로 저장하지 않아서 않아서 그런것 같습니다 ㅎㅎ
어쨌든 결론은 단일 파일로 만들어 졌으나 용량이 너무 크기 때문에 실제로 실컴 또는 PE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
용량을 줄이는 강의가 매우 기다려 집니다.
감사합니다.
-
프로우스 2025.07.12 02:34
요즘 좀 바빠서 이제왔네요.
우선 PAL이 포터블을 하는데 중점인 건 중요하게 보자면 2가지입니다.
1. 레지스트리2. 파일 이동
2. 파일 이동
이 2부분 입니다.
1번은 실행시 레지스리 등록이 꼭 필요한 프로그램에 사용
(등록키, 실행 위치 체크, 환영 메세지 체크 해제 등의 사전 설정으로 등록하거나,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수정한 설정값을 저장할 때 사용)
2번은 사용자명\Local폴더나 System32 등의 특한 위치에 DLL이나 기타 파일이 필요한 경우
이 2가지 경우 때문에 PAL로 포터블은 만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걸로 1파일로 만들 때는 7z SFX등의 기능을 사용해서 한 파일로 묶으셔야 하고
용량을 줄이시려면 SFX압축 시 최대 압축율을 사용하시거나
실행에 필요한 파일만 남겨두고 직접 삭제하고 SFX작업을 하셔야 합니다.
PAL은 어디까지나 레지스트리의 감시, 파일 이동 등의 부분을 인스톨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대신 작성해둔 꾸러미와 같습니다.
좀 편리하게 실행시 레지스트리 등록과 종료시 감시된 레지스트리를 저장, 실행 시 필요한 파일을 복사, 종료시 삭제 등의 기능을
자동 처리해주는 스크립트 도우미라고 보시면 됩니다.
용량을 줄이시려면 그건 직접 해보셔야 합니다.
용량을 줄이고 1파일로 묶는 건 간단하게 보자면 PAL보다는 7z SFX로 묶으시는게 좋습니다.
간단하게 프로그램이 있는 폴더에서 용량이 큰 DLL이나 EXE를 제외해서 실행해서 이것저것 해보시면
꼭 필요하지 않은 파일이 있다면 제외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언어 파일의 경우 영어와 한국어만 남기고 다른 나라의 언어를 삭제한다던가 하는 등의 방법으로
용량을 점차 줄여나가시는 겁니다.
PAL로 작업한 것도 차후 7z SFX등으로 1파일로 만드셔도 동작은 잘 합니다.
기본적인 설정으로 PAL은 Program Files의 폴더 내에서만 동작하지 않습니다.
SFX는 Temp폴더에서 실행되므로 정상으로 동작합니다.
3부는 EditPlus는 조금 더 있어야 될 것 같습니다.
3부에서 다룰 건 기대하시는 용량을 줄이는 게 아니라 레지스트리의 등록되 제외 부분이라서...
용량 줄이기는 들어가 있지 않을 겁니다.
7z SFX는 OneFile.exe등으로 자동 처리되는 프로그램이 여럿 있으니 그걸 사용하시면 되고
PeCMD방식으로 만드시면 바이러스 검출율이 크니 꼭 7z 방식으로 만드시는 게 좋습니다.
-
시종일관 2025.07.12 08:41
안녕하세요.
프로우스님~
댓글달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
예전 기억을 더듬어 요 며칠 포터블 파일 만드는 것과 씨름하다 보니,
말씀하신 것 처럼 파일의 용량을 줄이는 방법은 어려운 부분은 아니었습니다.
7zSFX Constructor 또는 OneFile, 단일 파일 원키 제작(3in1)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되니까요,
그러나 문제는 어떤 파일이 꼭 필요하고, 필요 없는지는 알아내기 매우 어렵긴 하죠? ^^
버전은 다르겠지만, 이미 만들어 놓은 다른 분의 단일 파일을 참조한다던가 하는 방법 등으로요.....
(막노동 ㅎㅎ)
그런데, 정말 어렵고 알지 못하는 것은 "1부" 강좌에서 말씀하셨듯이
레지스트리의 "SID"와 같이 레지스트리를 편집하지 않으면, 모든 PC에서 적용되지 않는다는 부분과,
또한 Total Uninstall에서 추출한 레지스트리 파일을 편집하여 EditPlus(예제)에 어떻게 적용하는지는 아직 "1, 2부"에서 다루시지 않으셨잖아요? ^^
그리고 이번 댓글에 언급하신 "파일 이동" 이 부분은 "1, 2부"에서 언급하지 않으셨던 새로운 부분이고요....
프로우스님의 "3부" 강좌를 기다리면서 "PortableApps.comLauncher" 프로그램에 대해 인터넷과 유튜브를 많이 찾아 봤습니다.
그러나, 레지스트리 수정과 적용하는 방법은 국내에서는 그 어떤 곳도 찾지 못했고요,
외국 유튜버가 만든 영상은 찾았습니다 ^^
무려 11년 전 영상이었습니다 ㅠ_ㅠ
게다가 국가가 베트남입니다.
하지만 영상을 끝까지 보았더니 Total Uninstall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부분과,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는 부분들이 많이 나오더군요.....
그렇지만 이 영상을 통해서 "PortableApps.comLauncher"을 배우기는 너무 어렵네요 ㅠ_ㅠ
(언어 번역도 안되고, 해상도도 떨어지고....)
지금 심정은 "PortableApps.comLauncher"를 강의하는 학원이라도 있으면 등록하여 배우고 싶습니다 ㅠ_ㅠ
날씨도 좀 시원해 지고, 프로우스님 바쁘신 것도 좀 나아질 때 까지 인내심을 갖고 "3부" 강좌를 기다리겠습니다 ^^
폭염에 항상 건강 유의하시고, 하시는 일 잘 되시길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
프로우스 2025.07.12 17:06
파일 이동은 제가 사용기에 올린 것 뜯어보시면 금방 아실 수 있습니다.(SOOP 런처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INI자체가 소스니까 열어보시면 대충 작동 원리는 아실겁니다.
SID는 보통 "컴퓨터\HKEY_USERS\S-1-5-21-4164275804-2187214808-2945863665-1000" 이런 식으로 나오는데
레지스트리를 넣으시면 PAL 자동으로 공통 레지스트리에 쓰고 저장합니다.
EditPlus는 SID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일단 아니구요. 강좌에는 안나올 겁니다.
또한 Total Uninstall에서 추출한 레지스트리 파일을 편집하여 EditPlus(예제)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이 부분도 제가 사용기로 올린 프로그램 들 살펴보시면 EditPlus는 아니지만 대략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EditPlus는 필요한 부분이 좀 더 많아서 이것저것 체크하기 번거로워서 아직 미뤄두고 있는 겁니다.
역시 SOOP 런처 부분을 살펴보시면
필요한 파일 복사와 레지스트리 등록
종료시 파일 삭제와 레지스트리 해제(둘 다 기존 파일 없을 시 기존에 레지스트리나 폴더가 있다면 삭제를 안합니다.)
PAL이 프로그램마다 은근 만질 것이 많아서 제가 강좌로 다 다룰 수는 없습니다.위에 사항 참고하셔서 제작해 보세요.
-
시종일관 2025.07.12 17:37
와~~~
프로우스님, 휴일에 쉬시도 못하시고 댓글 달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
우선 댓글부터 적습니다.
그리고 찬찬히 생각하고, 공부하겠습니다 ^^
우선 말씀하신대로 프로우스님께서 올리신 사용기를 찾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한 가지만 여쭤 볼께요~ ^^
"레지스트리를 넣으시면 PAL 자동으로 공통 레지스트리에 쓰고 저장합니다."
⇒ 예제파일(EditPlus)의 어디에 넣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_ㅠㆀ
나머지는 SOOP런처와 프로우스님께서 올리신 자료를 찾아 공부하겠습다.
끝까지 챙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추천 | 등록일 |
---|---|---|---|---|---|
[공지] |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 gooddew | - | - | - |
4632 | 윈 도 우| PureBasic에 대한 소고 [2] | tb | 913 | 12 | 07-15 |
4631 |
윈 도 우|
Windows 11 우회 설치용 ISO 생성 방법 [31] ![]() |
무월 | 2256 | 33 | 07-13 |
4630 | 기 타| 브라우저 홈페이지, 새탭 (세계1위 위젯) [1] | 모네곰 | 1070 | 4 | 07-13 |
» | 소프트웨어| PAL( PortableApps.com Launch)로 EditPlus 포터블 만들기 2부 [13] | 프로우스 | 1071 | 18 | 06-28 |
4628 | 소프트웨어| PAL( PortableApps.com Launch)로 EditPlus 포터블 만들기 1부 [4] | 프로우스 | 789 | 14 | 06-28 |
4627 | 윈 도 우| [꿀팁] install.Wim App Remove [List Kor Patch2] [7] | 메인보드 | 1198 | 23 | 06-27 |
4626 | 소프트웨어| 24H2에 Shadow Defender를 설치하는방법 [4] | 깨블리 | 1617 | 4 | 06-26 |
4625 | 소프트웨어| MPRESS GUI [5] | sunshine | 1346 | 22 | 06-23 |
4624 | 소프트웨어| UPX GUI [10] | sunshine | 1351 | 32 | 06-22 |
4623 | 소프트웨어| CAB GUI [9] | sunshine | 1435 | 32 | 06-19 |
4622 | 소프트웨어| BcdbootGui 및 Soft_Keyboard [추가7] [17] | sunshine | 2593 | 50 | 06-11 |
4621 | 소프트웨어| uBlock Origin 크롬설치팁 [7] | 깨블리 | 3031 | 26 | 06-11 |
4620 | 윈 도 우| Windows 10 및 11에 Linux를 설치하는 방법 [3] | VᴇɴᴜꜱGɪ | 1929 | 18 | 06-07 |
4619 | 기 타| 광고차단 확장으로 윈도우 포럼에서 특정 닉네임의 글 가리기 [12] |
|
4125 | 15 | 05-27 |
4618 | 소프트웨어| [PE부팅등록] WIM-PE Boot Manager v3.0 [53] | 무월 | 4357 | 94 | 05-24 |
4617 | 소프트웨어| 마우스 기능 확장 프로그램(단축키, 매크로를 클릭으로 실행) [13] | 오치땡 | 3422 | 15 | 05-15 |
4616 | 윈 도 우| 내부 네트워크 접속불량 일때 참고 자료 [6] | xsw657 | 3193 | 9 | 05-11 |
4615 | 윈 도 우| 로컬 계정으로 Windows 11을 설치 하는 방법 [12] | 참치회 | 4730 | 20 | 05-07 |
4614 | 기 타| 초급 및 고급 사진작가를 위한 실용적인 사진 구성 강좌 - ... [5] | VᴇɴᴜꜱGɪ | 2231 | 22 | 05-06 |
4613 | 기 타| 유튜브 화면에서 쇼츠(Shorts)영상 제거하기 [7] | 해커스 | 4271 | 15 | 04-27 |
감사합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