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 도 우 소소한 배치파일 팁 2가지(start 명령, %time%)
2022.05.26 14:49
최근 배치파일 작성하다 문제가 생긴거 있어서 팁으로 남겨봅니다.
1. start 명령
cmd창,배치파일에서 쓰는 start명령이 있는데요.
기본 사용법은
start "창제목" "실행파일명"
start /wait "창제목" "실행파일명"
보통
start "" "notepad.exe"
이런식으로 많이 씁니다.
보통 "새창"으로 실행할때 좋아서 많이 쓰죠.
옵션 설명
/wait : 이거 없으면 멀티로 따로 실행하고 배치파일 프로세스 즉시 진행. 있으면 새로 열린 창을 닫을때까지 배치실행이 여기서 멈춤.
"창제목" : 보통 그냥 비워둬도 됨. <- 제 경우 문제가 된 부분이 이거. 후술하겠음.
"실행파일명" : 같은경로나 공통경로에 있는건 당연히 파일명만, 아니면 fullpath로 입력.
ㄴ exe등 실행파일
ㄴ txt jpg등 일반파일은 연결된 파일로 실행됨(즉 탐색기 더블클릭이랑 같음)
ㄴ 폴더경로가 있으면 새 탐색기 열어서 바로 열어줌. 즉 이거 이용하면 자동으로 여러 경로 여는 배치파일 작성 가능.
ㄴ cmd bat 등 새창으로 cmd창 열어서 따로 실행하는 것도 가능 <- 이것도 문제가 된 부분. 후술함.
/min : 위의 예시에는 없으나, 최소화 실행하는 옵션. 안먹히거나 보안설정에 막히는 경우도 있음. 탐색기를 최소화 상태로 여는데 유리.
start 명령 쓰다가 제가 문제가 생긴 부분은
start "" "실행.cmd" 이런 방식입니다.
엔간한건 다 "창제목"을 비워도 되는데, cmd bat만큼은 "창제목"에 뭐라도 넣어야합니다.
안넣고 실행하면
"메모리 리소스가 부족하여 이 명령을 처리할 수 없습니다."
라는 오류를 끝에 뿜어냅니다.(실제 메인 실행에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
그러므로 배치파일을 start 명령으로 돌릴땐 창 제목을 임의로 넣어주세요. 나머지는 보통 비우고 써도 됩니다.(오히려 비워야만 하는경우가 많음)
참고로 새창 안열고 같은 창에서 배치파일 열때는 대개 call 명령을 씁니다.
2. %time% 문제
제가 얼마전에 일부백업 하는 문제로 문의도 하고 해법을 배워가고 제 해법도 올리고 그랬습니다.
그런데 쓰다보니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더군요.
예를들어 시각 정보가 필요한데,
배치파일상에서 현재의 yyyy-mm-dd와 hh:mm:ss의 시각정보를
yyyymmddhhmmss 형태로 얻어야합니다.
그래서
set "start_yyyymmddhhmmss=%date:~0,4%%date:~5,2%%date:~8,2%%time:~0,2%%time:~3,2%%time:~6,2%"
라는 명령을 썼더랬습니다.
그런데 이게 오류가 생기더군요.
배치파일에서
%date%와 %time%의 값을 배치파일에서 얻을때
2022-05-26 14:43:11.27
이런 형태로 얻게 됩니다.
문제는 14시가 아니라 04시인 경우에는
2022-05-26 14:43:11.27
2022-05-26 4:43:11.27
이런식으로 0 패딩 없이 값이 나옵니다.
즉 yyyymmddhhmmss를 뽑으면
20220526 44311
로 나와서 제대로 사용이 어려워집니다.
이걸 해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배치파일은 기본적으로 연산같은게 불편하기 때문에
저는 아래와 같이 씁니다.
if "%start_yyyymmddhhmmss:~8,1%" == " " (
set "start_yyyymmddhhmmss=%start_yyyymmddhhmmss:~0,8%0%start_yyyymmddhhmmss:~9%"
)
그냥 간단하게 0 자리가 비어 있으면 0 채우는 구문입니다.
연산으로 하는게 더 분명하겠지만, 저렇게 편법을 좀 써봤습니다.
20220526 44311
->
20220526044311
이렇게 바뀝니다.
아무튼 %time%은 제로패딩 없이 값이 나오니까 주의 바랍니다. ^^
댓글 [7]
-
컨피그 2022.05.26 19:03
-
메리아 2022.05.26 20:06
오~ 훨씬 좋은 방법이 있었군요.
배워갑니다 ^^
-
컨피그 2022.05.27 01:51
시간을 저렇게 쓸일이 없어서 몰랐는데
확인해보니 진짜 날짜나 분, 초에서는 안그런데 시간 부분만 공백이 발생하네요
set tm=%time: =0%
echo %tm:~0,2%%tm:~3,2%%tm:~6,2%
-
지후빠 2022.05.26 22:58
다음처럼 실행하면 문제가 될까요?
> start 실행.cmd
> start "배치파일 실행.cmd"
날짜와 시간 포맷이 위에서 처럼 일정하다면, (굳이) 한줄로 만들면 다음처럼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
> set _t=%time:~0,8%&call set _t=%_t: =0%&call set _dt=%date:-=%%_t::=%
> echo %_dt%
-
한아름 2022.05.30 09:16
오 좋은 강좌 감사합니다
정규 코너 함 만들어도 좋을듯합니다 초보다 보니,,,ㅎㅎ
감사합니다
-
메고길 2022.06.12 13:22 감사합니다. 잘 배워습니다.
-
슈머슈마 2022.07.09 08:58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추천 | 등록일 |
---|---|---|---|---|---|
[공지] |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 gooddew | - | - | - |
4206 | 윈 도 우| 업무화면과 주식화면을 분리시키기 [1] | 좋게멋지게 | 2358 | 7 | 06-17 |
4205 | 윈 도 우| [실사] 윈도우7/8.1/10 업그레이드 설치 - 윈도우10(21H2) [5] | 무월 | 2871 | 15 | 06-12 |
4204 | 윈 도 우| 윈도우11 22621.4 에서 IE 11 사용방법 [11] | 타천사둘리 | 2633 | 10 | 06-11 |
4203 | 기 타| iptime 공유기. 국가별 접속제한 사용 시 iptv 안 나올 때 ... [4] | heykevin | 2356 | 7 | 06-08 |
4202 | 소프트웨어| 엑셀로 KBS1 KBS2 MBC SBS 등 편성표 가져오기 [15] | 지후빠 | 2385 | 14 | 06-06 |
4201 | 하드웨어| [팁] 아이패드에서 마우스 휠 스크롤 방향 바꾸기 [1] | asklee | 748 | 1 | 06-01 |
4200 | 소프트웨어| 비즈니스용 MS Office365 신규 UI적용하기 [2] | 마집사 | 2525 | 6 | 05-27 |
» | 윈 도 우| 소소한 배치파일 팁 2가지(start 명령, %time%) [7] | 메리아 | 1969 | 10 | 05-26 |
4198 | 윈 도 우| 윈도우 10 VHD 업그레이드 설치 [7] | 무월 | 2165 | 7 | 05-22 |
4197 | 윈 도 우| [팁] 윈도우10/11 설치 중 OneDrive 설치 방지! [18] | 무월 | 4101 | 16 | 05-17 |
4196 | 기 타| 유튜브 팟플레이어로 보기(블투포함) [5] |
|
3358 | 7 | 05-14 |
4195 | 윈 도 우| 자신의 ISO 파일이 순정인지 아닌지 궁금할 때 [2] | Niconii | 2329 | 2 | 05-13 |
4194 | 기 타| [macOS/해킨토시] 몬터레이, 빅서, 카탈리나, 모하비, 하이... [6] | 무월 | 2058 | 5 | 05-11 |
4193 | 윈 도 우| [실사] 윈도우11 프로 VHD 설치 방법 [11] | 무월 | 2821 | 23 | 05-08 |
4192 | 윈 도 우| [실사] 윈도우10 프로 VHD 설치 방법 [8] | 무월 | 1746 | 18 | 05-08 |
4191 | 윈 도 우| [실사] 윈도우8.1 프로 VHD 설치 방법 [5] | 무월 | 345 | 6 | 05-08 |
4190 | 윈 도 우| [실사] 윈도우7 얼티메이트 VHD 설치 방법 [5] | 무월 | 677 | 9 | 05-08 |
4189 | 윈 도 우| 커스텀 윈도우 10 만들기 [3] | 윈도우즈 | 1986 | 5 | 05-08 |
4188 | 윈 도 우| install.wim 통합 시 다중 언어 [1] | CraXicS | 827 | 4 | 05-06 |
4187 | 윈 도 우| PE의 wim 부팅과 윈도우의 wimboot [wim 정보 비교] [9] | suk | 1196 | 12 | 05-06 |
time 에서 저렇게 if문을 써서 하시는 거 보다
%aaa: =0%
이런식으로 aaa 변수의 모든 공백을 0으로 고치는 방법을 활용하면 어떨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