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21] Macrium Reflect 세르게이님 단일파일을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2019.02.19 23:05

왕초보 조회:639 추천:4

단일파일을 만드는 좋은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습니다...이런 프로그램들을 잘 활용하시는분들은 그냥 통과하여 주십시요

 

세르게이님 PE에는.. Macrium Reflect 단일파일이 있습니다..아래 사용기를 보셨다면..압축해제와 프로그램 종료시

어떻게 작동을 하시는지는 아실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단일파일을 사용하지는 않습니다..그래서 아래처럼 기존의 단일파일을 활용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초보가..이상한 방법으로 단일파일을 수정하는구나 하는 정로로만 보아 주십시요

 

세르게이님 단일파일을 활용하기 위해서는..한글..Macrium Reflect exe파일과 한글 키보드용 reflect.cfg 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reflect.cfg 파일의 경우 맨앞에 키보드를 한글로 수정하는것에 대해서는 보리아빠님이 말씀을 하신적이 있으시죠.

저는 그냥..한글버전에 있는것을 가져왔습니다

 

아래의 경우..초보인 제가..하여본 방식일뿐입니다..아마 좋은 프로그램들이 있어서 더 좋은 방법이 많이 있을것입니다

이런 부분을 감안하고 보아 주십시요

 

 

 

1. 먼저 한글버전 단일파일에서 아이콘을 추출하였습니다.. IconViewer3.02 버전을 설치하면..아래처럼 속성에서 아이콘 메뉴가 나옵니다

1.png

 

 

2. ResourceHacker 에서 아이콘을 교체하여 주시면 됩니다  세르게이님 단일파일을 불러왔습니다..

2.png

 

3. 우클릭 메뉴입니다

3.png

 

4. 여기에서 아이콘 파일을 열어 줍니다

4.png

 

5. 바꾸기 하면 됩니다..간단하죠..

5.png

 

6. 아이콘이 교체가 되었습니다..빨간별표입니다..저의 경우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기를 하였습니다.

6.png

 

7. 저장이 되어서 초록색 별이 되었습니다.. 다 아시는것이죠...처음보시는분들도 있으실것 같아서..순서대로 캡쳐를 하였습니다.

7.png

 

8. 아이콘이 잘 변경이 되었습니다.

8.png

 

9. 7z으로 열어서 파일을 교체할수 있습니다..아래 2개를 한글파일로 교체를 해주셔야 합니다...

9.png

 

10. 파일 교체만하면..원하는 대로 활용을 할수가 없죠...그래서..백업폴더 지정레지를 추가하고..Y:를 고정하기기 위해서..RegHive.cmd 를 실행하는

  명령도 있습니다.. 이 cmd에는..하이브한 레지를 15초후에 다시 언하이브 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선물받은 단일파일에 있는 cmd에서..레지부분만 활용을 하고 중복실행 방지등은 삭제를 한 cmd입니다

 

  reflect.cmd 를 reflect.exe로 변환을 해서 넣을 것입니다...그래서 Macrium Reflect 프로그램을 설치본에 있는 exe 이름으로 변경을 할것입니다

 

  start /wait ReflectBin.exe 로 되어 있습니다...ReflectBin.exe가 종료가 되어야...cmd창도 종료가 됩니다....이 cmd창이 완전히 종료된후..

  세르게이 단일파일에서 하듯이 X:\boot 폴더를 삭제를 하게 됩니다..이런 순서로 진행이 됩니다..

 

  RegHive.cmd 파일에서 레지 하이브는 모든 드라이브에서 검사를 해서 하이브 합니다..이 파일은 선물받은 단일에 있는것이어서...

  캡쳐한 사진이 없습니다..앙해를 하여 주십시요...suk님 cmd 파일을 참고하여 주십시요

  

10.png

 

11. 아래 프로그램으로 cmd를 exe로 바꾸었습니다.... 사용하기 편하시라고 이렇게 변환한 파일을 사용기에 소개를 했다가 바이러스 파일이라고

  운영자분께 신고하신분이 있으셔서..다시는 사용하고 있지 않은 프로그램입니다..

 

  오토잇으로..사용기를 쓰는것보다...cmd로 하는것이 좋을것 같아서 이번에 활용하여 보았습니다..사용기를 위해서..cmd창이 보이도록 하였습니다

11.png

 

12. 준비가 다 완료가 되었습니다..단일파일에 아래처럼 추가를 하였습니다..RegHive.cmd 파일도 실제 적용시에는 exe로 변환을 할것입니다

    원래 reflect.exe 파일은 ReflectBin.exe으로 이름이 바뀌어 있습니다

 

12.png

 

13.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실행하여 보았습니다..

13.png

 

14. boot 폴더를 만들고 압축을 해제하고 있는 중입니다.

14.png

 

15. reflect.cmd 를 reflect.exe로 변환한 파일이 실행이 되었습니다.. RegHive.cmd 파일을 reflect.exe 상관없이...새로운 cmd창에서 작업중입니다

  모든 드라이브를 검사해서 하이브할 레지파일이 있는지 확인을 하고 있습니다

15.png

 

16. 윈도우 레지를 하이브한후..15초후에 언하이브 합니다..프로그램도 잘 실행이 되었습니다.

   백업폴더 레지도 잘 적용이 되었네요..

16.png

 

17. 프로그램이 실행되고나서..윈도우 레지를 읽지전에 하이브가 되어서..,Y:가 그대로 있습니다.. RegHive.cmd 실행후 바로 ReflectBin.exe 가

  실행되어서 좀 그렇죠..실제에는 3초 여유를 주었습니다

17.png

 

18. X:\Boot 폴더입니다..

18.png

 

19. 단일파일을 다시 실행하여 보았습니다..이미 dll을 사용하고 있어서..아래처럼 메세지가 나옵니다...중복실행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아도 될것

  같습니다..

19.png

 

20. 프로그램이 종료하면..cmd창도 종료가 됩니다..

20.png

 

21. boot 폴더가 남아 있네요..테스트 하면서..중간에 실수가 있었나 봅니다.....실제 적용에서는 삭제가 됩니다..

21.png

 

22. log 파일이 있습니다..내용을 알수가 없네요.

22.png

 

23. 숨김 실행을 위해서 RegHive.cmd를 RegHive..exe로 변환하였습니다..그리고 ReflectBin.exe 실행전에 3초 여유를 주었습니다..

23.png

 

24. 완성이 된 모습입니다..

24.png

 

25. 단일파일을 실행하여 보겠습니다..

25.png

 

26. boot 폴더가 만들어졌습니다..

26.png

 

27. cmd창이 숨김으로 잘 되었습니다...프로그램이 실행이 되었습니다.

27.png

 

28. 백업폴더 레지도 잘 등록이 되고 Y:도 그대로 입니다...

28.png

 

29. 프로그램 종료후..boot 폴더가 삭제가 되었습니다..

29.png

 

30. 마무리

세르게이님 PE에 있는 Macrium Reflect 단일파일을 활용을 하여 보았습니다

사용기를 쓰면서 보니까 복잡해 보이네요....단일파일 만드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시는것이 더 편하실것 같습니다..

 

초보가..세르게이님 단일파일을 이렇게 활용하였구나 하여 주십시요..

 

편안하신 밤 되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5993 기 타| [KJ] DREAM PE 2019 RM 1st Tweak by k-style™ [83] .com 2834 19 03-21
5992 소프트웨어| Win10PESE 20190316 돌려봤습니다 [58] elios 3072 26 03-19
5991 윈 도 우| W10x64_FULL_PE [375] 캐빈망고 7087 110 03-18
5990 윈 도 우| 드림 PE 빌더 1.9+ 사용기 [51] %카리스마 3944 37 03-17
5989 소프트웨어| 부팅 usb 만들던중 일어난 기이한 현상 [4] Morning_Le 1313 1 03-17
5988 윈 도 우| 이번 DreamWTG 작업중 생긴 문제(해결) [6] 갑파니 1403 5 03-15
5987 소프트웨어| [1.9+ 빌더 추가] kj dPE Builder 사용 스샷 (1.5-1.9+) [7] elios 1777 9 03-15
5986 윈 도 우| 드림 PE 빌더 1.5 [72] %카리스마 3208 41 03-15
5985 기 타| Dream PE 만드실 때 side by side [17] suk 1623 5 03-15
5984 윈 도 우| 극한의 다이어트 WIN8PE(더 이상의 다이어트는 없다) [43] 왕자 3002 29 03-14
5983 윈 도 우| 다이어트한 PE(빠른 부팅을 원하시면 사용하세요) [41] 왕자 3507 28 03-14
5982 윈 도 우| 드림 PE 빌더 1.4 [72] %카리스마 3990 46 03-14
5981 윈 도 우| 드림 PE 빌더 1.3 [18] %카리스마 1765 23 03-14
5980 윈 도 우| Windows 10 PRO VL RS5 x64 RUS G.M.A. 이번 업데이트도 잘... [43] 갑파니 1590 20 03-13
5979 하드웨어| 2080TI 구매했습니다^ [13] bleach 1560 1 03-13
5978 윈 도 우| DREAM WTG의 시스템설정에서 설정유지와 초기화에 대한 설명 [8] 오짜 1305 10 03-12
5977 윈 도 우| 드림 PE 빌더 1.2 [78] %카리스마 4628 43 03-12
5976 기 타| 잠깐동안 대충 정리 해봤어요 [41] 집앞의_큰 2777 28 03-11
5975 소프트웨어| T.Dism 5.2 [20] 틱톡88 1878 36 03-11
5974 윈 도 우| 드림 PE 빌더 1.0 [31] %카리스마 3516 33 03-1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