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 도 우 Win10 PESE로 빌드한 winver 실행문의입니다.
2022.01.03 18:08
빌더는 Win10PESE 2021.4.25버전입니다.
소스는 Windows 10 Oct 2018 (1809) 버전입니다.
실행이나 검색창에서 winver 실행이 되게 해야 되는데요...
단순하게 sytem32폴더에 winver.exe만 넣는다고 되는게 아닌가 봅니다.ㅠ
고수님들께 도움 요청드립니다.
댓글 [10]
-
DarknessAngel 2022.01.03 18:55
-
못말리는짱구 2022.01.03 19:50
System32\ko-KR 폴더에 winver.exe.mui 파일도 같이 두고 해보세요.
-
집앞의_큰나무 2022.01.03 19:53
짱구님과 같은 생각 입니다.
winver.exe와 winver.exe.mui가 있으면 될텐데요
-
첨임다 2022.01.03 20:12
-
집앞의_큰나무 2022.01.03 21:32
Syetem32에 두개파일만 있어도 작동 할겁니다.
-
빠루와망치 2022.01.03 22:22 추가파일 꼬자도 역시나 마찬가지로 무반응입니다.ㅠㅠ
-
집앞의_큰나무 2022.01.03 22:47
같은 버전의 파일이겠죠?
그정도면 다시빌드 해야하지 않을까요?
-
빠루와망치 2022.01.04 09:46 버전이 다르길래 원본소스에서 추출한 4가지 첨부파일로 교체를 해봐도 마찬가지네요..ㅠㅠ
에효~~~
-
집앞의_큰나무 2022.01.04 11:41
새로은 빌드가 정답인데 그것도 사정이있다면
같은 버전의 winver이 실행되는 제작품을 가지고
처음엔 큰폴더 단위로 폴더를 추가 해보시고
좁혀지면 파일들과 레지를 교체해보시고 반복하여 찾아내면 됩니다.
상당한 중노동 이죠
현재 혼자만 가지고 있는 PE문제를 다른분이 어떻게 알겠습니까요
-
빠루와망치 2022.01.04 12:12 애써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빌드야 금방이라도 하면 되는데 아마도 여기에 어딘가 선택되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업무상 필요한 부분이 있어 1809버전으로 한건데... 그냥 쓰면 되죠. 머^^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등록일 |
---|---|---|---|---|
[공지] | 질문과 답변 게시판 이용간 유의사항 | gooddew | - | - |
92598 | 소프트웨어| Ventoy 숨김파티션인 vtoyefi 파티션 용량 늘리는 방법? [4] | 유틸짱 | 230 | 02-05 |
92597 | 소프트웨어| 명품 PE에서...에러 해결 방법 부탁드립니다. [9] | 맨션에살자 | 328 | 02-05 |
92596 | 게 임| 스타크래프트 프록시 설정이 필요한가요? [1] | ksire | 269 | 02-05 |
92595 | 소프트웨어| ventoy 의 vtoyefi 시스템파티션을 보는 법. [3] | 유틸짱 | 214 | 02-05 |
92594 | 소프트웨어| 한컴오피스 2010 SE+ ESD 다운로드 주소 [9] | 셜록스 | 586 | 02-05 |
92593 | 윈 도 우| 부팅 관련입니다. [1] | 타임머신 | 179 | 02-05 |
92592 | 기 타| 자게에 유튜브 영상 삽입? [2] | knada | 235 | 02-05 |
92591 | 소프트웨어| Ventoy 제작 [3] | knada | 283 | 02-05 |
92590 | 소프트웨어| Ventoy 벤토이 글씨 색깔변경 [6] | 쌀이떨어졌 | 178 | 02-05 |
92589 | 윈 도 우| 윈도우즈 정품 키 확인방법 문의 [3] | 미관 | 677 | 02-05 |
92588 | 윈 도 우| QuantumPE 엣지로그인 | 구씽 | 278 | 02-05 |
92587 | 윈 도 우| 배치파일로 IdentifyingNumber / name 필드를 수정할수있을... [2] | MESIANAA | 119 | 02-05 |
92586 | 윈 도 우| 윈도우11 빌드22000.438 에서 카톡실행오류문의 [1] | 3561 | 136 | 02-04 |
92585 | 소프트웨어| 꼬져님 배치파일좀 수정 부탁 드려도 될까요? [6] | 그린보이 | 342 | 02-04 |
92584 | 윈 도 우| pe부팅으로 dism online RestoreHealth 같은 명령 실행할수... [5] | 직구중독 | 130 | 02-04 |
92583 | 윈 도 우| 윈도우 업데이트 통합할때.. [8] | 좀머씨 | 361 | 02-04 |
92582 | 윈 도 우| MAC ADDRESS 관련해서 질문.. [4] | 일신우일신 | 265 | 02-04 |
92581 | 윈 도 우| pecmd.ini는 어디에 넣어야 하나요? [1] | High][Land | 352 | 02-04 |
92580 | 소프트웨어| TeraByte Drive Image Backup 부팅 이미지 [1] | knada | 429 | 02-04 |
92579 | 하드웨어| SSD 마이그레이션 관련 [4] | toto | 469 | 02-04 |
일단 해당 바이너리의 1차 의존성인 라이브러리 목록 뽑아서 해당 파일들 exe랑 같은 경로에 두고 실행해보세요
안 되면 다시 2차 의존성이나 레지 뒤져야 합니다
가장 편하게 할려면 빌드 소스에 쓴 윈도를 다른 파티션에 설치후 파일 복사하면서 시험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