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소프트웨어 폴드를 Y드라이브로 인식 시키기

2022.03.11 20:49

그루터기 조회:2069 추천:23

  PE에서 Y드라이브는 대단히 중요한데요. 이 Y드라이브가 있으면, 많은 단일 프로그램들을 .wim에 내장 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은 방법은 CdUSB.Y를 이용하여 Y드라이브로 인식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카조님의 QuantumPE에서는 USB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드라이브를 Y로 변경"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 카조님의 QuantumPE 를 중심으로 실컴에서 폴드를 Y드라이브로 인식 시키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VSubst.exe 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Y 드라이브를 인식시키는 방법입니다.

 

아마도, 고수님들은 이 방법을 잘 사용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필요한 프로그램은 VSubst.exe 1.0.6 구버전을 사용하겠습니다. 3.9버전이 최신 버전인데 조금 불편한 부분이 있습니다.

 

1) 먼저, 사용할 폴드를 만듭니다. 사용할 폴드는 어디에 있든 상관이 없습니다. 

전, Y Drive 라는 폴드명으로 만들겠습니다.

 

2) 드라이브로 지정할 폴드에 .wim에서 아래 자료들을 가져옵니다.

Drivers

Tools

UTools

내 문서

 

그러면 QuantumPE에 있는 것들은 필요가 없기에 삭제하셔도 무방합니다.

 

3) 첨부한 VSubst.rar를 VSubst의 폴드 이름으로 압축을 풀어 VSubst.exe 실행합니다.

 

VSubst.rar  <-첨부한 파일은 저가 생성한 VSubst.ini 이 같이 들어있습니다. 수정하시든지 삭제하고 다시 만드시든지 마음대로 하세요.

 

 

4)  VSubst.exe  실행하여 드라이브로 사용할 폴드를 지정합니다.

  (1)폴드 선택 ->(2) Y 드라이브 선택 ->(3) 저장 ->(3) 부팅시 자동으로 등록 체크 순으로 하시면 됩니다

2022-03-10_222410.png

 

2022-03-10_222411.png

 

5) 지정한 폴드를 저장한 순간 Y드라이브 및 본인이 원하는 폴드가 드라이브로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지정하면, VSubst.exe 파일이 있는 곳에 VSubst.ini 파일이 생성됩니다.

 

2022-03-10_222412.png

 

6) VSubst 폴드에 있는 VSubst.exe와 VSubst.ini 파일을 폴드체  .wim\Program Files\에 넣습니다.

 

 

7) 이제는 VSubst.exe이 부팅될때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Pecmd.ini를 추출하여 아래 경로를 지정하면 .wim이 부팅 될때마다 자동으로 지정된 폴드가 Y드라이브로 생성됩니다.

 

EXEC !%ProgramFiles%\VSubst\VSubst.exe /startup

 

아래 이미지 참고하세요.

2022-03-10_222921.png

 

8) 긴 내용이지만 요약하면 

(1) VSubst.exe을 실행하여 원하는 폴드를 지정하고 

(2) 생성된 VSubst.ini 와 함께 VSubst 폴드체 

(3) .wim\Program Files\에 넣는다. 

(4) Pecmd.ini를 추출하여 EXEC !%ProgramFiles%\VSubst\VSubst.exe /startup 등록한다

(5) 수정된 Pecmd.ini 을 다시 .wim 넣는다....

(6) 부팅하여 Y드라이브가 만들어졌는지 사용해본다. ... 끝...

 

위 내용들은 카조님의 QuantumPE에서만 적용했습니다. 다른 PE에서는 모릅니다...

 

이상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ㅎㅎ

 

참고 : https://windowsforum.kr/data/17499062

 

P.S : 혹 저의 강의롤 보시고 그대로 따라하실 분은 아래의 3가지 파일도 교체하셔야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토리님께서 재공하신 자료입니다. autoadd.cmd    BootInfo.cmd  Association.cfg <= 이 3가지를 .wim\Windows\System32\ 에 있는 것과 교체하시면 됩닌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662 하드웨어| 바이오스 도스에서 업데이트 하기 gooddew 9027 0 06-17
661 윈 도 우| Windows 8 Administrator에서 세벌식 한글쓰기 [2] 베리타스 18954 0 02-08
660 하드웨어| HP/COMPAQ 랩탑 SLIC2.1 바이오스 찾는법. [1] gooddew 13230 0 06-17
659 하드웨어| w7용 바이오스 개조 적용시 주의점 gooddew 9413 0 06-17
658 하드웨어| DELL - Phoenix BIOS 수작업(Manual) 개조 링크 [1] gooddew 8344 0 06-17
657 하드웨어| SLIC 2.1 지원 여부 확인하기 [1] gooddew 11404 0 06-17
656 하드웨어| 피닉스 바이오스 수정하기 gooddew 12382 0 06-17
655 윈 도 우| 간단 OEM XP CD 제작하기 gooddew 13656 0 06-17
654 하드웨어| DVD-Combo, DVD±RW/Multi(DL) RPC1 & Auto Reset FirmWare gooddew 7172 0 06-17
653 하드웨어| OEM SLP BIOS gooddew 17032 0 06-17
652 하드웨어| WINDOWS 7 업데이트(아수스 OEM 제품) gooddew 8736 0 06-17
651 하드웨어| AMI_SLIC3 툴 사용법 gooddew 10357 0 06-17
650 하드웨어| Server 2008 Enterprise, Small Business Server 2008 추가 gooddew 6592 0 06-17
649 하드웨어| SLP 2.0(SLIC table) 구조 gooddew 6863 0 06-17
648 하드웨어| 아수스 윈도우용 플래쉬 업데이트 툴 링크 gooddew 6470 0 06-17
647 하드웨어| BIOS와 CMOS의 차이는 무엇인가? gooddew 7059 0 06-17
646 하드웨어| Hot Flashing gooddew 5867 0 06-17
645 하드웨어| Award ssv3 Zort Guide gooddew 8039 0 06-17
644 하드웨어| 피닉스(Phoenix) 바이오스 비프음으로 고장진단하기 gooddew 7740 0 06-17
643 하드웨어| 부팅중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에러메시지에 대한 설명 gooddew 6486 0 06-1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