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구성에 문외한(?)인 분들을 위하여...
2025.02.12 17:54
(고수분들은 그냥 지나가세요~~ ㅎㅎ)
명품과 명기의 차이를 아십니까??
명품은 세월이 지나도 그 가치를 유지하지만 명기는 그 시대만 풍미하지요.
예를 들어, 일명 사치품인 유명 브랜드 가방은 명품이지만 인기 있던 가전제품은 명기일 뿐입니다.
그러면 PC는?
명기는 존재하나 전자제품이라 명품은 없습니다.
조세법에 사무용 PC의 감가상각은 겨우 3년입니다.
업계 역시 아무리 고성능 CPU라도 10년 후면 가치를 0원으로 평하고요.
너튜브 방송하는 업체들 영상에 인텔 4세대 중고를 수십 만원에 구입하곤 고장나서 수리의뢰하는 사용자들이 수시로 등장합니다. 업체 사장님의 한숨 소리와 함께…
서설이 길었습니다만,
요즘 신제품 출시와 고환율이 맞물려 특정 부품가가 중고차보다 비싼 현실입니다.
되파리들이 재테크 하려고 난리지요. (다행히 여기는 그런 난장과는 요원하지만…)
제 관점에선 목적에 부합하는 가성비 제품이 최고입니다.
사무용 기준으로 업그레이드나 신품 구입을 원하시는 분들은 최소한,
인텔: 12세대 이상의 I3-12100+H610이나 AMD: 5500GT/5600G+A520 정도의 시스템을 구성하시길 권합니다.
아시다시피 윈도우 10의 지원이 올해 종료되어 윈도우 11로 이전이 불가피한 상황에 언급한 사양 이하의 제품은 중장기적 사용에 부적합할 것입니다.
작년 하반기만 하더라도 30만 원 이하에 완제품 구입이 가능했으나 물가 상승으로 요즘은 30 중후반입니다.
하O마트 온라인몰 등에서 쉽게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중급 게임 정도도 취미로 하신다면 가장 저렴한 10만 원대의 RX580이나 RTX4060/RX6600 정도를 30~40만에 추가하시면 FHD 환경에서는 무리 없이 가능할 것이고요.
(게임 업체들이 경제성을 핑계로 최적화를 등한시하는 바람에 배그 같은 국민 게임도 인텔 7세대 CPU 정도의 과거 사양으로는 정상적 실행이 거의 불가합니다.)
차파리, 폰파리, 용파리와 더불어 되파리까지 판치는 혼미한 세상입니다.
올해는 이 버러지들 박멸의 출발점이 되기를 갈망하며 항상 즐거운 컴생활 영위하시길…^^
댓글 [19]
-
pc초보 2025.02.12 18:22
-
지나다 2025.02.12 18:28
최근의 명기는 Ryzen 5600이었죠.
게임을 전혀 안하는 저도 제 인생의 마지막 PC로 수년 전 장만했고요.
PC 조립/수리를 취미로 택한지 어언 40년이 넘었네요.
대기업 완제품은 가성비/호환성이 꽝이라 늘 멀리합니다. ㅎㅎ
-
pc초보 2025.02.12 18:36
그정도면 거의 업자분이시군요
저의집에는 대기업 완제품밖에 없는데요
18년된거부터 시작해서 최신삥 아들넘PC까지
잘사용하고 있습니다..뽕을 뽑고 있는거죠..ㅎㅎ
눈여겨보고있는 PC가 있는데요
살때즘 조언좀 요청 드리겠습니다..^^
-
지나다 2025.02.12 18:41
예전부터 이 취미를 본업으로 전환할까 생각도 적잖이 했는데 이젠 눈도 침침 손도 달달~~ ㅋㅋㅋ
PC 시장은 두어달만 외면하면 생경한 신품이 쏟아지기에 구입하실 시기에 조언이 가능할지는 모르겠습니다. ㅎㅎ
-
pc초보 2025.02.12 18:46
건강하셔야 합니돠아~아니 건강하실겁니다..ㅎㅎ
-
지나다 2025.02.12 18:48
감사합니다.~
댁내의 평화와 가족분들 건강을 기원합니다~~*^^*
-
프리네 2025.02.12 18:27
정보 감사합니다...^^
-
지나다 2025.02.12 18:31
선택의 갈등에 작으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
젊은오빠 2025.02.12 18:28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저도 이번 3월에 신제품 출시가 모두 끝나면 조립하려고 준비중입니다.
-
지나다 2025.02.12 18:32
수년 전만 해도 200이 넘으면 우와~ 했는데 요즘은 웬만하면 500을...@@
-
얼음과자 2025.02.12 18:28 5500gt 가지고싶네요
-
지나다 2025.02.12 18:33
아마 중고시장에 10만 이하로 벌써 돌아다니지 않을까...
-
1500dnjs 2025.02.12 19:03
pc 중고 부품으로 조립을했습니다.
부품선택함에 있어서 초보라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CPU와 RAM 그래픽카드 메인보드 선택할때 부품 서로간의 어떤?걸 기준으로 맞춰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cpu는 무엇을 봐야하는지?
ram은 무엇을 보고 결정하는지 예를들면 cpu의 어떤것 또는 메인보드의 어떤것??
파워의 WATT는 뭘보고 결정하는지 등등 궁금합니다.
-
지나다 2025.02.12 19:32
CPU, 보드, 램은 서로 밀접한 관계라 세대별로 조합을 맞춰야 합니다.
하나라도 어긋나면 아예 조립조차 불가하지요.
세대별 CPU 검색하시면 그에 맞는 사양의 게시글이 있을 겁니다.
그래픽도 CPU와 조합(궁합)을 많이 따집니다. 특히 게임의 목적이라면...
파워는 주로 그래픽과 CPU의 소모 전력에 따라서 결정을 하지요.
예를 들어 두 개의 최대 소모 전력합이 500W 정도라면 전력의 효율성 고려하여 적어도 700W 이상급의 파워를 권장합니다.
그 외 SSD/HDD 등은 표준 사양이라 시스템이 너무 구형만 아니라면 호환이 되고요.
PC 구성 시, 주용도와 예산이 우선합니다.
-
1500dnjs 2025.02.12 19:40
감사합니다. :D
-
아부지뭐하시노 2025.02.12 21:06
저도 나름 pc 조립 30년이 넘은 경험이 있지만
이제는 만사가 귀찮아서, 부품별로 주문, 동네 컴퓨터 가계에서 3만원 정도 주고 조립 맡깁니다.
-
지나다 2025.02.12 21:19
나이와 귀차니즘은 아마도 비례하는 것 같습니다. ㅎㅎ
주기적 청소도 귀찮아서 알리발 소형 진공청소기 삼처넌에 구해서 먼지만 제거한다는...
-
골라쓰는재미 2025.02.13 00:08
모든 가전 제품은 사용하는 목적에 맟쳐서 구하면 오래 사용합니다
문제는 PC 인데 매년 새로운 세대의 제품이 나와서 짜증이 날 정도
OS는 10년 가면 장수 하는것이고 PC는 출시 한지 15년 된것도 잘 사용 합니다
HDD 에서 SSD 로 성능 업글 되고 나서 더 울겨 먹습니다
윈도우가 힘들면 리눅스 로 버티면 됩니다 단순 작업용
라이젠이 나오고 부터 좀 황당 했습니다
인텔은 2세대 정도가 호환인데 반해서
A320 보드로 1000 2000 3000 4000 시리즈 CPU가 호환이 되서 고성능 CPU 빼고는 무난함
어떤용도로 사용하는냐에 따라서 경제적 손실은 막을 수 있습니다
고성능이 필요로하는 직업군의 PC는 따로하고 일반인은 선택의 폭이 더 넓어져서 좋습니다
게임을 제외하면 10만원에서 20만원 정도의 중고 컴퓨터도 쓸만합니다
6세대 I5 ~ 9세대 I5 까지 가능
-
지나다 2025.02.13 00:49
망백을 목전에 둔 노친네가 수년 전 동네업자에게 4세대 S사 OEM PC를 무려 40만 원대에 구하셨기에 허탈했지만 아무말 안했지요.
작년 어느날 갑자기 PC 안된다고 난리를 치시기에 급히 동네 수리점에서 보드 교체수리하는데 9만원을 지불하니 속이 쓰리더군요. ㅎㅎ
슬림 PC만 고집하시기에 미니나 미들로 교체도 못하지만 언제 완전 사망해도 이상할 것이 없네요.
언급하신 6세대 정도도 아직은 사무용으로 유용하겠지만 고장 발생시 비용 고려하면 가성비는 이젠 아니란 소견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초급자들에게 리눅스는 접근 장벽이 너무 높을 것입니다. (저도 잠시 사용했지만 설치부터 실사용까지 범용성은 상당히 부족한 느낌이었고요)
동가홍상이라고 비슷한 가격대라면 되려 신품을 권하는 연유입니다.
(PS. 고수분은 그냥 지나가시라고 서두에 부탁드린... ㅋㅋㅋ)
내가 아는 그 명기가 아니네..ㅎㅎㅎ
농담..
중고는 사지말고 오래걸리더라도 돈좀 아껴서 신삥이나 AI슈퍼컴으로 가야죠..
저도 예전에는 직접조립해서 사용했습니다만
나이먹어서는 귀챠니즘이 걍 대기업꺼 눈탱이 맞아도 가성비나스펙 잘 따져보고 삽니다..
느낌상 잘사용하면 더 오래 사용하게 되는것 같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