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바이러스 추천
2022.05.13 09:44
제가 작년 12월부터 Windows 11을 쓰고 있는데요, 요즘에 파일을 파괴하는(!) 악성코드(즉, 랜섬웨어)를 필히 조심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안티바이러스도 유료로 쓰고 있습니다. 유료 안티바이러스는 랜섬웨어 방어 기능이 있거든요...
다음 두 가지가 좋은 것 같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Norton이랑 Bitdefender
저는 후자를 사용하는 중입니다.
덤으로 Norton이랑 Bitdefender는 Parental Control 기능도 있어 아이들을 둔 부모님께도 추천드릴 만합니다.
댓글 [8]
-
부는바람 2022.05.13 11:50
-
DarknessAngel 2022.05.13 16:59
디팬더 보안 고려하면 전.혀. 추천 안 합니다 (그냥 기업도 공짜니 쓰는것뿐입니다)
개인용이라면 3A중 하나나 Kaspersky, BItdefender Free가 더 낫습니다
일단 디팬더는 시장 점유율땜에 대부분의 악성코드에 100% 무력화/우회 기능이 탑재되어서 정작 뭔일 나면 안 지켜줍니다
-
좀머씨 2022.05.14 12:11
공감~!
디펜더는 그냥 윈도우 손상만 지켜줄뿐이지.
사용자 정보,데이터, 금융거래 이런 중요한 사항을 지키려면 무조건 외신 백신쓰는게 좋더라구요.
전 닥치고 유료 kaspersky internet security 추천.
-
나에게도 2022.05.14 13:50
비트디펜더 프리는 철수한 걸로 아는데 아닌가요?
-
타천사둘리 2022.05.13 14:48
저는 AVAST 나 ESET 추천요.
최근에 ESET 깔아놓고 토랭이에서 파일 하나 받았다가
그나마 ESET 에서 랜섬 감지해서 거의 피해 안 봤네요.
-
뷰리풀투데이 2022.05.13 18:06
저도 eset 오랫동안 쓰며 만족했다가 카스퍼스키 프리 나오면서 갈아탔습니다만.
여전히 eset가 그립긴 하네요.
카스퍼스키 프리도 잘 색출해낸다곤 하지만,
작년에 사례로 카스퍼스키가 못 잡은 랜섬에 당하다 구사일생한 사례가 있어요.
올해도 카스퍼스키보다 앱체크가 먼저 차단시켜냈기도 하고.
제 카스퍼스키가 프리버전이라 그런진 몰라도.
그런 와중에 eset로 랜섬 방어했단 글 보니 또 다시 eset가 생각나네요
랜섬웨어 처음 등장할때 제대로 걸러낸게 카스퍼스키(유료)와 eset 뿐이었다죠?
-
슈머슈마 2022.05.13 16:59
Eset 추천요 가벼우면서 백신기능으로서도 세계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니깐요. 세일할때 구매하시면 저렴하게 사용할수 있을거 같아요 -
나에게도 2022.05.14 13:54
최근 테스트 결과 주소입니다. https://www.av-test.org/en/antivirus/home-windows/
여기를 참고해 보시고
테스트 결과도 파일로 올려봅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등록일 |
---|---|---|---|---|
[공지] | 자유 게시판 이용간 유의사항 (정치, 종교, 시사 게시물 자제) [1] | gooddew | - | - |
43411 | 알리 인증 문자가 안와요. [4] | 떠중이 | 1080 | 06-03 |
43410 | 크롬 사이드 패널이 싫어. 삼만리.... [3] | 나노오백 | 544 | 06-03 |
43409 | pdf 파일 빠른 검색 기능을 갖춘 프로그램 없을까요? [6] | 최동안 | 763 | 06-03 |
43408 | 다운 가능하신분 링크 올려주시면 감사!!! [2] | 아톰이랏 | 943 | 06-03 |
43407 | 크롬에서 특정사이트의 쿠키만 백업할수있나요? | MSTSC | 199 | 06-03 |
43406 | 치매 증상 중에서요.. [8] | 테츠로 | 914 | 06-02 |
43405 | 22H2 22621.1 Lite Rus sysprep [6] | 메인보드 | 853 | 06-02 |
43404 | 오늘 8시에는 기대하던 브라질과 축구 하는 날.. [6] | 복두꺼비 | 532 | 06-02 |
43403 | 디지털 월드 알고 계신분 있어요? [7] | 씨케이 | 721 | 06-02 |
43402 | VSphere SSD 교체했습니다 | DarknessAn | 480 | 06-02 |
43401 | 요새 인스타그램이 좀 이상해요 [4] | 복두꺼비 | 613 | 06-02 |
43400 | 6월 15일 누리호 2차 발사 - 항우연 제공 | asklee | 477 | 06-01 |
43399 | 이런 사람 어떻게 생각 드시나요? [13] | 테츠로 | 910 | 06-01 |
43398 | 윈도우10 제품번호로 윈11 사용여부 [4] | 번개 | 1082 | 06-01 |
43397 | 최강 막장드라마 아내의xx [5] | 메인보드 | 1502 | 06-01 |
43396 | 캐논(CANON) 컬러 레이저 프린터 근황.jpg [8] | 은주얌 | 1227 | 06-01 |
43395 | 0xc1900401에 설치 실패, 해결방법 [1] | Day | 1007 | 06-01 |
43394 | 윈도우 자동업데이트 문제 [3] | 긍지버림 | 590 | 06-01 |
43393 | 내일 브라질전 재밌겠네유ㅋ [3] | 문수야 | 540 | 06-01 |
43392 | 중년 자전거 동호회 특징이라네요ㅋ [5] | edadelek | 1771 | 05-31 |
기본 보안프로그램을 고수하는 입장입니다.
그것만의 경고주의사항만 철저히 지킨다면 무탈하겠지만
경고도 무시하고 약간의 선을 넘나들다보니 피해를 본적도 있습니다.
어떠한 창에도 뚫리지않는 방패라해도 철저히 완벽하게 사용할때 방패가 됩니다.
잠시라도 내려놓으면...
거기에다가 어떠한 방패도 뚫을수 있다는 창의 신규 등장도 무시할순 없죠.
희토류에 신기술이 가미된 방패가 나타날때까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