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2탄) x64PE에서 원격제어시에만 dll을 추가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보았습니다

2018.03.26 20:13

왕초보 조회:389 추천:5

x64 PE에서 SysWOW64 폴더를 삭제한것은...백업,복원 프로그램이 x64여서...SysWOW64폴더가 필요가 없어서 입니다

그리고 boot.wim용량을 줄여서 부팅시간도 줄이고 램사용률도 낮추어 보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원격제어 프로그램이 32bit여서 어쩔수 없이 boot.wim의 SysWOW64 폴더에 필요한 dll을 추가를 하였습니다

 

그런데...dll을 boot.wim안에 추가를 한 사용기를 쓰고 정리를 하다보니까...참 어이없는 짓을 한것 같아서...생각을 하여 보았습니다

원격제어는..특별한 경우에..어쩔수 없은 사용하는 방법입니다..실제 사용은..많지 않습니다..

원만한것은 복원버튼 클릭으로도 다 됩니다...이 자체가 부담이 되어서 무조건 원격을 원하시는 분도 있으시기는 합니다

 

이렇게..1년에..1~2번 쓸까 말까 한것을...pe부팅시마다..boot.wim에 포함되어서 부팅이 되는것이 낭비인것 같아서..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에만...SysWOW64 폴더에 x86 dll을 추가하도록 하여 보았습니다..

 

이제서야...SysWOW64 삭제한 원래 취지대로 된것 같습니다..

 

원격제어 프로그램 실행시 추가 dll 120개를 SysWOW64 폴더에 추가를 하였더니 이상하게 원격프로그램이 실행이 되지 않네요..

항상 쉽게 가는 법이 없네요..

다행히...boot.wim의 SysWOW64 폴더에 dll 한개만 미리 추가해 놓으면..너머지 119개는 원격프로그램 실행시 추가해도 원격이 잘 되네요

 

 

초보가..이상한 방법으로...다이어트를 하네 하여 주십시요

 

 

1. PETools 폴더에..아래처럼 SysWOW64 파일을 7z으로 압축하여 놓았습니다...120개 모두가 다 여기에 있습니다..

   원격프로그램 실행시에..dll을 SysWOW64에 풀고나서 원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됩니다....

1.png

 

2. SysWOW64 폴더가 빠져서 용량이...착해졌습니다..

2.png

 

3. boot.wim안에 있는 SysWOW64 폴더에 dll 파일이 없습니다..

3.png

 

4.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램사용률입니다...원격제어가 필요 없을때에는. 이렇게 가볍게 사용하면 되죠...

4.png

 

5. SysWOW64 폴더에 dll 파일이 없는 인증샷입니다..

5.png

 

6. 원격제어 프로그램 최초 실행시에는..dll을 압축해제하는 시간이 필요하여서 아래처럼 메세지를 보여주게 하였습니다..

6.png

 

7. SysWOW64 폴더에 dll 120개가 압축이 해제되고 원격프로그램을 실행시켰지만...실제..원격프로그램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하면 될줄 알았는데...바로 성공하는 법이 없죠...

7.png

 

8. 새로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위에 실패한것과 다른것이 하나 있습니다... SysWOW64 폴더에...120개 dll중 1개가 boot.wim 에 포함되어서 부팅이 되었습니다...

8.png

 

9. 원격프로그램을 실햏하여 보았습니다...  압축해제 중입니다...

9.png

 

10. 원격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었습니다...boot.wim 파일의 SysWOW64 폴더안에 dll 1개를 미리 넣어 놓았더니 이렇게 잘 되네요

10.png

 

11. 원격 연결까지 잘 되었습니다... 원격이 필요없을때 boot.wim에 dll을 몽땅 넣어서 부팅할 필요가 없죠....이렇게 사용하면 될것 같습니다..

11.png

 

12. SysWOW64 폴더에 dll이 압축해제 되어 있습니다.

12.png

 

13. dll이 추가가 되어서..램사용률이 증가하였습니다....13.png

 

14. 마무리

이제서야...SysWOW64 폴더를 삭제하여 다이어트를 하려던 목적과 비슷하게 된것 같습니다..

원격제어가 필요없는 경우에도 boot.wim에 x86 dll을 포함하여서 부팅하는 이상한 방법이 해결된것 같아서 다행입니다

 

해보고 싶었던것은...7z으로 압축후 해제하는 방식이 아니라...제이유컴님 작품에서처럼..dll파일은 PETools폴더에 있는 방식인

정션링크(?)인가요..이 방식이었습니다..

하지만..초보의 욕심이죠..잘 알지 못하는 방식이어서..그저 상상만 하여 보았습니다..

SSD는 괜찮을것 같지만..구닥다리 컴퓨터에서넌 압축해제에..시간이 좀 걸리죠....정션링크인가를 공부를 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재미없는 사용기 보신다고 고생하셨습니다..

편안하신 저녁시간 되세요..

 

 

-------------------------------------------------------------------------------

정션링크나 심볼링크가 바로가기 링크여서인저...실제...원격제어 프로그램이 작동하지 않네오..

프로그램이 실행이 된 경우에도..링크파일이 있지만...dll을 찾고 있습니다..

 

정션링크등의 방법으로는..안되나 봅니다... 참고만 하여 주십시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372 기 타| 선*님 Win10XPE x86 사용기입니다..선물 감사합니다 [18] 왕초보 785 14 08-08
4371 소프트웨어| Bob.Ombs.Win10PEx64.v3.9 boot.wim 한글화 시도 [11] suk 1744 14 08-18
4370 기 타| JJA-Win10_X64_PE-Ⅶ.wim 부팅 테스트 [8] suk 1253 14 08-18
4369 윈 도 우| Windows 10 버전1803, 8월 업데이트 MSDN 이미지 정보 [9] suk 2391 14 08-26
4368 소프트웨어| AMPE 32 비트용 사용해 보기 [22] sunshine 1107 14 08-27
4367 기 타| HiveLoad/HiveUnload(파일수정) [16] 집앞의_큰 871 14 08-29
4366 기 타| BRPE 최종본 보완 버전 간단 사용기입니다.. [19] 왕초보 1566 14 09-03
4365 윈 도 우| 윈도10 19H1 인사이더 프리뷰 18234 빌드 나왔네요 [16] suk 1361 14 09-07
4364 윈 도 우| BRPE에 VBS 추가하기를 최종 정리하였습니다. [20] 왕초보 1216 14 09-07
4363 윈 도 우| [98장] PE와 XP 멀티 부팅하기 [실컴 테스트] [16] suk 1835 14 10-30
4362 기 타| BigTree님 OKR PE 사용기 + M우클릭 드라이버 설치 기능 [22] SHIELD 1131 14 11-02
4361 윈 도 우| Windows 10 RS5(ltsc 급) by 아는형 [39] 졸린사자 2810 14 09-26
4360 윈 도 우| Windows 10 범용 설치본 만들때... [12] 디폴트 1837 14 10-13
4359 윈 도 우| 콜*오님 Win8 x64 SuPer Lite PE 설치 및 체험기 [41] 선우 1058 14 12-06
4358 기 타| sun****님의 WINPE 10 한글화 PE 간단 사용기입니다.. [17] 왕초보 1542 14 12-27
4357 기 타| Dream PE 2019 - 가상머신과 실컴에서 같이 사용하기 [12] suk 2125 14 02-01
4356 소프트웨어| pe-에 따라 다른 Macrium Reflect [9] 첨임다 815 14 02-01
4355 기 타| [25] Macrium Reflect 단일파일 만들기 입니다. [15] 왕초보 1248 14 02-23
4354 소프트웨어| 노턴 고스트 이미지 백업시 분할 되는 문제 해결방법 [15] 사랑맨 1244 14 03-04
4353 윈 도 우| 바로가기 만들기 파일 [27] 집앞의_큰 1351 14 04-13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