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x64 프로그램만 실행되는 진짜(?) x64PE 사용기입니다..

2018.03.25 20:25

왕초보 조회:998 추천:8

윈포뿐만 아니라..PE 관련하여서 필요없는 파일을을 깔끔하게 정리한...명품 PE들이..많이 소개가 되고 있습니다

역시..천상천의 고수님들의 작품은..그저 감탄이 나오는 작품들입니다..

저와 같은 초보는..윈도우에 대한 지식이나 PE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감히 따라해본 생각도 못할정도입니다..

 

다행히..초보도..x64 PE에서는..boot.wim용량은 아주 간단히 줄여볼 여지가 있어서..한번 하여 보았습니다

 

윈포에 소개된 x64 pe중에..VB6으로 된 백업, 복구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은..현상이 있는 저용량 작품이 있었습니다..

다른 pe에서는 작동이 잘되는데..이상하게..그 pe에서만 되지 않았습니다...pe에 포함된 트루는 잘 실행이 되는데요

나중에...알고 보았더니..이 PE에는..신기하게도 SysWOW64 폴더가 없었습니다....이 폴더가 없어도 pe가 부팅이 된다는 생각을 못했었습니다

한참 부족할때여서 당연히 있어야 하는 폴더인줄 알았습니다..

 

이 PE가 생각이나서..원키로 만든 x64에서...SysWOW64 폴더를 제거하여 보았습니다..그리고 WinSxS 폴더에서 x86 관편파일들을

삭제하여 보았습니다..다른것은 그대로입니다..아주 간단하죠

 

이렇게 pe 다이어트(?)는 간단하였지만...여기에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은..간단하지를 않네요..폴더 삭제후 pe가 부팅이 되었지만..실제 작동하는것은

파티션관련 프로그램 뿐이었습니다

 

x86 x64 공용으로 쓸수 있게 32bit로 컴파일된것을 64bit로 컴파일하고..켭쳐 프로그램은 인터넷에서 x64버전을 구하여서 추가를 하여 보았습니다

 

저의 경우..단순히 백업,복원용으로만 사용할 경우 실제 필요한 프로그램이 몇개 되지 않습니다..그래서 SysWOW64 폴더를 제거하고 사용하여도

백업,복구에는 지장이 없습니다..이렇께 특정 목적으로만 사용하려고 할때에는..SysWOW64 폴더가 없어도 될것 같습니다

 

 

초보가...고수님 작품들을 보고 따라할 능력이 안되어서..간단히(?) 폴더를 통채로 삭제하는 것으로 다이어트(?)를 하여 보았습니다

고수님들께서는 이미 초보시절에 한번씩을 다 해보셨을것 같습니다...

 

 

이렇게 요상하게 용량을 줄이는 초보가 있네 하여 주십시요

 

 

1. .SysWOW64 폴더를 삭제한 용량입니다.

1.jpg

 

2. 이 부분만 보면...32bit인줄 알것 같습니다....SysWOW64 폴더가 없습니다..WinSxS 폴더에서도 X86이 들어가 것들은 삭제를 하였습니다..

  이렇게 삭제해도 PE가 부팅이 되네요...

2.jpg

 

3. 기존에 사용하는 PETools.wim, PETools.ini 와 구분하기 위해서...Winpeset.exe를 수정해서 아래처럼 PETools64.ini PETools64.wim을 마운트 하도록 하였습니다...이렇게 구분이 안되면...x86 프로그램이 있는 wim을 마운트 하여서..수정을 하였습니다.

 

 x64 프로그램을 바이러스 검출이 잘 되지 않는다고 하여서...wim 마운트 방식보다..아래처럼...프로그램이 풀어져 있고...ini에 등록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습니다... 카멜님의 작품도..32bit 겸용이어서..죄송스럽지만..x64로 다시 컴파일 하였습니다....저의 경우..바로가기를 만드는 다른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현재는 카멜님의 작품으로만 사용하고 있어서..이렇게 할수 밖에 없었습니다....카멜님 눈감아 주십시요..

 

백업관련한 프로그램들은 모두 x64용을 다시 컴파일 하였습니다..

3.jpg

 

4.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램 사용률입니다.아니..이렇게 작게 나올줄은 몰랐습니다...백업,복원용 pe를 x64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진작에 이렇게 사용할것을 그랬나 봅니다..

 

왼쪽에..내컴퓨터,휴지통은..옆집의 작품에서 얻은 저용량 dll에..아이콘 2개를 교체한것입니다..저는 이 아이콘들이 좀더 이뻐보이네요.

4.jpg

 

5. 애용하는 캡처프로그램인 FSCapture의 x64 포터블 버전을 도저히 찾지 못하여서 WinSnap x64 버전을 추가하였습니다..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좀 그렇습니다...혹시.. FSCapture의 x64 버전도 있나요....있으신분이 계시면...잘 부탁드립니다..

5.jpg

 

6. 지인분의 부탁으로..pe부팅시 바탕화면을 램덤으로 보여주게 하였더니...이 백업 프로그램이 실행될때 사진이..원래 배경사진이 나오네요.

  pe에 많이 사용되어지는...바탕화면 교체 프로그램은 32bit 버전이어서...오토쿨에서 얻은 소스를 64bit로 컴파일 한것으로 바탕화면은 변경을 하였습니다...pecmd.exe로 하는것이 더 편할것 같습니다..

6.jpg

7. 백업,복원용이어서..등록된 프로그램이 거의 없습니다...

7.jpg

 

8. 파티션 관련 프로램들 입니다.저의 경우 파티션구루를 이상하게 잘 사용하지 않네요.. 실제 백업,복구만 하는 경우에는...이 프로그램들은 아마 pe에 없을것 같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실줄 아시는 몇분 안계셔서 그렇습니다..이런 프로그램을 사용할 정도 상황이라면..제가 직접해야 할 상황일것입니다.

 

8.jpg

 

9. 이런 프로그램은..주로 제가 사용하는 것입니다..레지 관련해서 아래 프로그램들이 너무나 유용하네요..이 프로그램들을 왜 진작에 배우지 않았나 하고 후회가 될 정도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다 윈포에서 고수님들께서 사용하시는것을 보고 배웠었습니다...너무 좋은것을 배운것 같습니다9.jpg

 

10. bootice x64 버전입니다..어느 고수님께서..한정판으로 한글화를 해주신 버전이네요..

   윈도우 설치 프로그램도 케멜님 작품대신에...아래것을 추가하였습니다...거의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이기는 합니다..언제가는 사용해 볼 날이 있겠죠...

10.jpg

 

11. SysWOW64 폴더를 삭제하였는데..아래의 우클릭에서 속성이 실행이 안됩니다..영향이 있나 봅니다.

11.jpg

 

12. 장치관리자는 모든 프로그램에서 실행을 해야 하네요. 

12.jpg

13. 마무리

단순히 백업,복원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여서...SysWOW64 폴더를 삭제를 하여 보았습니다..

이런 모습이구나하고 참고만 하여 주십시요

 

가장 아쉬웠던 부분은..로켓독이 작동을 안합니다....이 로켓독에서 프로그램 찾는것이 너무 편해서 이미 익숙해진 상태입니다..

이것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다보니까 너무 불편합니다...로켓독을 대신할 만한...x64 버전이 있는지요...

한번 편하게 사용해서인지...로켓독이 없으니까 어색하네요..

 

초보가...이상하게 다이어트(?)를 하였네 하여 주십시요

 

편안하신 일요일 되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 기 타| x64 프로그램만 실행되는 진짜(?) x64PE 사용기입니다.. [7] 왕초보 998 8 03-25
5874 소프트웨어| Win10XPE_2018-03-23 사용해봤습니다 [17] suk 2465 17 03-25
5873 기 타| x64전용 PE에 dll추가해서 x86 원격제어를 실행하여 보았습... [6] 왕초보 547 5 03-27
5872 기 타| (2탄) x64PE에서 원격제어시에만 dll을 추가하는 방식을 사... [4] 왕초보 349 5 03-27
5871 소프트웨어| EaseUS Data Recovery Wizard 사용기/설치기 입니다. [6] 유키92 1105 5 03-27
5870 소프트웨어| EaseUS Data Recovery Wizard 설치 및 사용기 입니다. [11] 한스 1277 8 03-27
5869 기 타| 컬러글씨 cmd 백업,복원 프로그램 사용기입니다.. [18] 왕초보 1149 10 03-28
5868 하드웨어| 보물 득템 -IP Searcher [29] 집앞의_큰 2689 18 03-29
5867 소프트웨어| [필테] EaseUS Data Recovery 사용기입니다 [8] 히이이잌 657 7 03-29
5866 서버 / IT| 무조건 받지 말자 [4] 무저울 3378 1 03-29
5865 윈 도 우| 솔*님 PE_v7.1 부팅후 무*산님 INSTALL.WIM 설치 부팅 체험기 [40] 선우 961 19 03-29
5864 기 타| LED 작업등 + 무선충전 [1] asklee 974 0 03-31
5863 윈 도 우| 간달프win10RS3_x64PE 한글화 적용하고 파일수정해 보았습니다 [10] lakeside 1093 11 03-31
5862 윈 도 우| 윈도우10 권한 진짜 쓰레기네요.... [2] 관앗산 2089 0 03-31
5861 기 타| 64bit Linkbar (런처) 사용기 입니다.. [13] 왕초보 1390 10 03-31
5860 윈 도 우| 원키로 RS4 빌드에 추가 파일입니다 [18] 제이유컴 1697 16 03-31
5859 기 타| winbuilder 2018-03-30버전 사용기입니다.. [8] 왕초보 1100 9 03-31
5858 기 타| (추가) RS4..윈키와 빌더를 합방(?) 시켜 보았습니다.. [7] 왕초보 1280 10 03-31
5857 기 타| RS4 원키빌드후 추가한 파일 [8] 집앞의_큰 911 12 04-02
5856 윈 도 우| 여러 고수님들의 도움으로 탄생한 rs4 rtm pe입니다. [74] sboat123 1927 33 04-02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