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추가) 원키 PE에서 USB에..PETools.wim이 마운트 되는 현상입니다

2018.02.28 09:49

왕초보 조회:1073 추천:8

 

ToPs님께서..USB에 U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려주셨습니다

pecmd.ini에 있네요......좋은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기능이 필요가 없으신분도 있으시죠...저는 필요가 없어서 작동을 중지시셨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댓글을 참고하여 주십시요

실제 적용사진은..사용기 끝에 추가하였습니다..

 

------------------------------------------------------------------------------------

 

저의 경우..테스트용 외장하드를 3개 파티션으로 나누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윈키 PE에서는...외장하드나..USB를 U 드라이브로 드라이브를 문자를 수정하여 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이..USB를 U 드라이브로 고정해서 사용하셔야 하는 분들에게는 아주 편리한 기능이어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하지만...저의 경우 필요가 없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외장하드가 파티션이 3개로 나누어져서..U, V, W 드라이브 문자가 주어집니다.

여기에..USB를 하나를 더 꼽으면...하는 궁금증이 있었습니다.....꼽아보았더니...추가한 USB가 Y: 가 되어버렸습니다

 

PETools.wim은 Y: 가상드라이브를 만들고..여기에 마운트를 합니다..하지만..이미 Y: 드라이브가 있다보니까..프로그램에서

Y: 가상드라이브를 만들지 않고 기존에 있는 Y:에 마운트를 하나 봅니다.

PETools.wim을 Y: 드라이브에 풀어버리네요..

 

사용기에는 사진 3장만 있습니다...입니다님 pecmd.exe로 교체하고..바로 테스트한것입니다

너무 간단합니다..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이미 고수님들은 다 아시는 내용일것이니다..편하게 보아 주십시요

 

 

1. 파티션 3개인 외장하드가..제일먼저 USB로 인식이 되어서..U V W 를 차지하였습니다..64GB의 경우...mbr,uefi 겸용이어서..Fat32가 I 를 할당받았습니다...

부팅후 바로 탐색기를 열었습니다..이때에는..아래 사진 오른쪽에 Y:가 보였습니다...갑자기 안보여서..연결이 끊어진줄 알았습니다

왼쪽에 보이시죠... USB_64가 당당히 Y:를 차지하고 있습니다..바탕화면에 아이콘이 있는것을 보면..PETools.wim이 마운트가 되었습니다.

3.png

 

2. Y: 를 차지한 USB에..PETool.wim이 마운트 되었습니다..  Y: 드라이브가 이미 있어서...가상드라이브를 만들 필요가 없었던것입니다.

4.png

 

3. 윈도우에서 본 모습입니다..이렇게 USB에 PETools.wim마운트한 내용들이 다 있습니다..이런 목적으로 마운트를 하는것이 아니죠..

5.jpg

 

4. 마무리

이미 고수님들은 다 아시는 내용일것입니다.

혹시..저처럼 외장하드를 나누어서 사용하시는 초보분들이 있으시면..참고하여 주십시요

별것 아니죠

 

 

즐거운 하루 되세요.

 

 

 

-----------------------------------------------------------------------------------------------

 

1. 저는 필요가 없는 기능입니다..괜히 작업할 이유가 없어서..// 로 작동을 중지시켰습니다..

a1.jpg

 

2. 외장 USB 하드 파티션들이 여기저기 흩어져있네요... 참고하여 주십시요

a2.pn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203 기 타| (추가) Win11 PE - 프로그램 모서리 둥글게 설정하기 입니다. [26] 왕초보 1089 36 08-18
3202 기 타| Easylight PE용 WimLib BR Lite v2.0 버전 사용기입니다 [90] 왕초보 1089 168 01-25
3201 윈 도 우| 컨텍스트 메뉴에 구분선 넣어보기 [29] 집앞의_큰 1089 38 04-07
3200 기 타| BCD-bcdedit 백업/bootice 복원 - 메뉴가 보이네요 [5] 왕초보 1089 12 12-02
3199 소프트웨어| RSESP 탑재 & 탑재해제 0.10 [22] 카멜 1089 15 03-02
3198 윈 도 우| Win10_Enter_Ltsb_x64_Super COLite 설치후 부팅 [44] 선우 1089 5 08-18
3197 게임| [GB] 게임보이 Gameboy 롬 700개 [5] 번개 1088 22 02-03
3196 기 타| [종료]TBWinPE - PE 부팅 (PE, 실컴용) [14] DengJang 1088 31 01-03
3195 윈 도 우| IRST 드라이버 통합된 PE 에서 인텔 11세대 노트북 디스크 ... [16] heykevin 1088 6 12-16
3194 윈 도 우| 윈빌더로 PE만들기 #1 [12] 4k8k 1088 16 12-16
3193 기 타| CGI 원키를 UEFI (GPT) 하드에서 실행하여 보았습니다. [16] 왕초보 1088 10 04-20
3192 윈 도 우| SOS 테스트....입니다 ! [12] 김영자 1088 8 07-17
3191 기 타| 9차 CN+OKR 부팅 시간 흡족 [208] 집앞의_큰 1087 283 07-06
3190 윈 도 우| 카조님 PE 어트렉트모드 + 마메로 고전게임 OS로 활용 [3] 센돔타오르 1087 3 01-06
3189 소프트웨어| AIO Boot에서 XP.vhd 부팅 지원해서 삽질을... [21] suk 1087 25 09-23
3188 기 타| KJ WindowsXPE147 수정빌더 (노랑**님) 사용기 입니다 [88] 격자 1086 122 09-03
3187 기 타| [종료]JU-ChumPE(19042.685).iso [430] 첨임다 1086 162 12-09
3186 윈 도 우| 무등X산님의 _RS3_AERO_x64_16299_248_2018.2.15 - 간단설... [11] 김영자 1086 14 02-17
3185 소프트웨어| HK Multi Boot PE 2차 수정 본 설치후기 입니다~ [17] 이어도 1086 4 02-05
3184 보안 / 해킹| 디펜더 죽이기 페이크 힌트(이름변경) [2] 내꼬 1085 15 12-2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