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추가) 원키 PE에서 USB에..PETools.wim이 마운트 되는 현상입니다

2018.02.28 09:49

왕초보 조회:1075 추천:8

 

ToPs님께서..USB에 U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려주셨습니다

pecmd.ini에 있네요......좋은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기능이 필요가 없으신분도 있으시죠...저는 필요가 없어서 작동을 중지시셨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댓글을 참고하여 주십시요

실제 적용사진은..사용기 끝에 추가하였습니다..

 

------------------------------------------------------------------------------------

 

저의 경우..테스트용 외장하드를 3개 파티션으로 나누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윈키 PE에서는...외장하드나..USB를 U 드라이브로 드라이브를 문자를 수정하여 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이..USB를 U 드라이브로 고정해서 사용하셔야 하는 분들에게는 아주 편리한 기능이어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하지만...저의 경우 필요가 없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외장하드가 파티션이 3개로 나누어져서..U, V, W 드라이브 문자가 주어집니다.

여기에..USB를 하나를 더 꼽으면...하는 궁금증이 있었습니다.....꼽아보았더니...추가한 USB가 Y: 가 되어버렸습니다

 

PETools.wim은 Y: 가상드라이브를 만들고..여기에 마운트를 합니다..하지만..이미 Y: 드라이브가 있다보니까..프로그램에서

Y: 가상드라이브를 만들지 않고 기존에 있는 Y:에 마운트를 하나 봅니다.

PETools.wim을 Y: 드라이브에 풀어버리네요..

 

사용기에는 사진 3장만 있습니다...입니다님 pecmd.exe로 교체하고..바로 테스트한것입니다

너무 간단합니다..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이미 고수님들은 다 아시는 내용일것이니다..편하게 보아 주십시요

 

 

1. 파티션 3개인 외장하드가..제일먼저 USB로 인식이 되어서..U V W 를 차지하였습니다..64GB의 경우...mbr,uefi 겸용이어서..Fat32가 I 를 할당받았습니다...

부팅후 바로 탐색기를 열었습니다..이때에는..아래 사진 오른쪽에 Y:가 보였습니다...갑자기 안보여서..연결이 끊어진줄 알았습니다

왼쪽에 보이시죠... USB_64가 당당히 Y:를 차지하고 있습니다..바탕화면에 아이콘이 있는것을 보면..PETools.wim이 마운트가 되었습니다.

3.png

 

2. Y: 를 차지한 USB에..PETool.wim이 마운트 되었습니다..  Y: 드라이브가 이미 있어서...가상드라이브를 만들 필요가 없었던것입니다.

4.png

 

3. 윈도우에서 본 모습입니다..이렇게 USB에 PETools.wim마운트한 내용들이 다 있습니다..이런 목적으로 마운트를 하는것이 아니죠..

5.jpg

 

4. 마무리

이미 고수님들은 다 아시는 내용일것입니다.

혹시..저처럼 외장하드를 나누어서 사용하시는 초보분들이 있으시면..참고하여 주십시요

별것 아니죠

 

 

즐거운 하루 되세요.

 

 

 

-----------------------------------------------------------------------------------------------

 

1. 저는 필요가 없는 기능입니다..괜히 작업할 이유가 없어서..// 로 작동을 중지시켰습니다..

a1.jpg

 

2. 외장 USB 하드 파티션들이 여기저기 흩어져있네요... 참고하여 주십시요

a2.pn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211 소프트웨어| 지후빠님의 ★ WimBootBR 일회성 윔부트, C드라이브 백업/복... [4] 삼시세끼 425 2 10-18
3210 기 타| 윈도우버전정보19.bat 테스트 [22] suk 1295 37 10-18
3209 기 타| 지후빠님 WimBootBR AHK - 취향대로 수정 활용기 [5] 왕초보 701 8 10-18
3208 윈 도 우| Windows 11 ISO 편집 [ Windows 10 ] [7] Airbrone13 1497 10 10-18
3207 기 타| WimBootBR 전용 PE에 문제점이 있네요.. [6] 왕초보 637 9 10-18
3206 기 타| 큰**님의 ISO탑재후WIM또는ESD추출그리고변환 사용기 입니다 [4] 천룡비 439 4 10-18
3205 윈 도 우| 찾아다니는 부팅 성공 [112] 집앞의_큰 1652 84 10-18
3204 기 타| WimBootBR 전용 PE 100% 활용하기 [8] 왕초보 1131 19 10-19
3203 윈 도 우| 움직이는 ㅋ.ㅋ님것 설치 [33] 집앞의_큰 1654 35 10-19
3202 기 타| WimBootBR - LaunchBar,Cmd자동실행 적용 [9] 왕초보 1268 15 10-19
3201 기 타| WimBootBR에 기존 SnapShot Cmd 수정해서 활용하기 [15] 왕초보 805 10 10-20
3200 윈 도 우| 찾아다니는 부팅 두번째 [225] 집앞의_큰 1789 124 10-20
3199 기 타| 찾아다니는 부팅 두번째 사용기 [18] do98 594 14 10-20
3198 소프트웨어| KNM님의 ★ 찾아다니는 부팅 두번째 ★ 실컴테스트 후기 [6] 삼시세끼 356 9 10-21
3197 윈 도 우| knm님의 [찾아다니는 부팅 두 번째] 실행기 [9] parannara 388 8 10-21
3196 기 타| 21H2-19044_1319 [144] 첨임다 2655 108 10-21
3195 소프트웨어| 지후빠님의 ★ TBWinPE.exe 이용한 WimBootOnceContextMenu ... [7] 삼시세끼 491 11 10-21
3194 기 타| 큰**님의 찾아다니는 부팅 두 번째 사용기 [7] 천룡비 370 6 10-21
3193 기 타| Windows 업데이트 설치하기3 - msu 그대로 설치.bat [19] suk 1473 28 10-21
3192 기 타| WimBootBR AHK를 Tray용 Launch로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19] 왕초보 959 8 10-2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