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PE VMWare 사용시도기 (실패) [Win10x64 RS3 Admin PE v5 (16299.64) by 솔향]

2017.12.16 15:34

TetraTheta 조회:705 추천:2

먼저 저는 PE에 대해서 아는게 정말 없다는 것을 알리고 시작하고자 합니다. 그냥 남들이 잘 만든거 가져다가 으헤헤헤 하면서 가져다 쓰는 딱 그정도입니다. 

 

일단 솔향님의 PE를 받아서 ISO에 넣은 후, VMWare로 실행시켰습니다. 아무래도 스크린샷은 찍어야 할거 같아서요.

 

결론만 말하자면 왠지 모르게 망했습니다. 다른 분들 사용기를 보면 잘 실행되던거 같은데 저는 안되네요. 오류가 범람했습니다.

분명 같은 파일일텐데, 안되는걸 보면 제가 뭔갈 잘못한거 같은데,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IMG 2017-12-16 15 13 39.png

 

IMG 2017-12-16 15 13 53.png

 

제가 사용한 프로파일의 설정입니다. 만들때 BIOS로 했던 기억이 나네요. 이게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bandicam 2017-12-16 15-05-04-340.mp4_20171216_151421.474.jpg

 

ISO를 CD쪽에 물려서 실행중입니다. 이전에 썼던 PE가 Stelec인가, 여튼 러시아산 PE를 윈포에서 한글화 한 PE였습니다. 아마 그거 한글화 한 때가 8월경이었던가, 그럴겁니다. 그거 쓸때에는 죄다 영어니까 약간 머리를 굴렸어야 하는데, 이건 한글이니까 굳이 머리 굴릴 필요는 없겠지, 하고 기대합니다.

 

bandicam 2017-12-16 15-05-04-340.mp4_20171216_151432.903.jpg

 

여기까진 일반적인 PE 실행의 모습으로 알고 있습니다.

 

bandicam 2017-12-16 15-05-04-340.mp4_20171216_151454.374.jpg

 

Administrator 세션을 쓸 것인지 System 세션을 쓸 것인지 묻는데 무슨 차이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여튼 전 Administrator 세션으로 들어가봅니다. A키를 누르면 바로 들어가집니다. 엔터 누를 필요 없이요.

 

bandicam 2017-12-16 15-05-04-340.mp4_20171216_151507.263.jpg

 

Administrator 세션이라 계정명이 Administrator인지, 아니면 Windows 10에서 숨겨져있다는 그 Administrator 계정인지는 모르겠습니다. 

 

bandicam 2017-12-16 15-05-04-340.mp4_20171216_151527.295.jpg

 

bandicam 2017-12-16 15-05-04-340.mp4_20171216_151539.921.jpg

 

시작하자마자 오류 메세지 두개가 반겨줍니다. HideHotplug.exe와 PENetwork.exe인데, 전자는 몰라도 후자가 오류 나서 실행이 안되었으니 아마 인터넷이 안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런거 치고는 바탕화면에 아무것도 없어서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지만...

 

bandicam 2017-12-16 15-05-04-340.mp4_20171216_151546.489.jpg

 

시작메뉴 버튼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우클릭 메뉴 역시 바닐라 상태 그대로라서 어찌할줄 몰라 VMWare 메뉴를 통해 껐습니다.

 

bandicam 2017-12-16 15-05-04-340.mp4_20171216_151610.438.jpg

 

System 세션은 이렇게 '지정한 도메인이 없거나 연결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세지만 뜨며 실행이 안되네요. 하지만 영상 찍기 전에 봤을 때에는 우클릭에 이런저런 메뉴가 있었고 바탕화면에도 아이콘들이 좀 있었습니다.

 

다만 그때 왜 그런진 몰라도 아이콘에 마우스를 가져다대면 배경이 사라지더군요. 정확히는 푸른색 반투명 사각형이 생기는 그 영역만 검정색으로 변해버립니다. 그때에도 시작메뉴는 작동하지 않았고요. 

 

 

마지막으로 제가 촬영했던 영상, 보여드리겠습니다. 별 소용은 없겠지만요.

 

%2525EB%2525B9%252584%2525EB%252594%252594%2525EC%252598%2525A4

 

 

 

 

 

원래 PE는 VMWare에서 실행이 안되는걸까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999 기 타| [sergei Admin 11PE 러최신버전] 간단 사용 방법 [34] 세이퍼컴 707 40 10-15
998 기 타| TBwinpe 때문에 기존 복구시스템 설정을 새로하여 보았습니다 [13] 왕초보 707 11 01-11
997 기 타| (추가) 첨임다님 Win10PE x64 3번째 작품 사용기입니다.. [26] 왕초보 707 9 08-21
996 윈 도 우| 사용기 - [sergei Admin PE] 러최신 버전 TEST 최종 [15] 상발이 706 16 10-04
995 소프트웨어| BurnAware - 디스크 굽기 [7] ʕ·ᴥ·ʔ 706 22 02-23
994 소프트웨어| AIMP #3 [6] 4k8k 706 8 02-25
993 기 타| QILING Disk Master - 멀티 OS에서 사용하여 보았습니다 [9] 왕초보 705 8 12-01
992 소프트웨어| 심플 런처 1 v0.2 - sLauncher1 [9] 지후빠 705 38 04-15
991 기 타| OBR CmdPE에 WinXShell를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9] 왕초보 705 26 08-09
990 기 타| PE VHD 설치작업중 듀얼 모니터용 [49] V무등산V 705 39 03-31
989 윈 도 우| 후루.님의 원격 피이 사용기입니다. [9] 달리기 705 6 07-22
» 윈 도 우| PE VMWare 사용시도기 (실패) [Win10x64 RS3 Admin PE v5 (... [2] TetraTheta 705 2 12-16
987 기 타| CGI 원키를 Hotkey 등록으로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11] 왕초보 705 6 04-24
986 소프트웨어| rsimagex 로 파티션작업과 윈도우설치-동영상 [8] 카멜 704 12 09-05
985 기 타| [종료]JU-ChumPE(21H1-19043.985)_iso [285] 첨임다 703 119 05-13
984 기 타| System PE에서 자격증명을 GUI로 하여 보았습니다 [15] 왕초보 702 22 10-03
983 윈 도 우| intel_bluetooth_23.60.0.1 [3] 16k 702 11 06-23
982 기 타| 지후빠님 WimBootBR AHK - 취향대로 수정 활용기 [5] 왕초보 702 8 10-18
981 기 타| Grub로 Eassos.System.Restore 실행을 보았습니다 [10] 왕초보 702 5 07-07
980 기 타| 레인미터 및 바탕화면 테마 설정입니다. [18] SHIELD 701 44 07-20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