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소프트웨어 esd 언어팩을 cab 으로 변환하기 - 베타 버전

2017.09.22 19:06

suk 조회:841 추천:6


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 도중에 항상 cab 파일로 나오던 언어팩 파일이 esd 파일로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아마 언어팩 사용하시던 분들은 당황하지 않으셨을까 하는데요. 제가 언어팩을 쓸 일이 거의 없어서...상황을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MDL 구경하다 보니까 역시 이런 부분도 외국 분들도 고민하셨나봅니다. 이미 툴이 만들어져 있네요. 베타 버전입니다만..

테스트 하려면 영문판 인사이더 프리뷰가 있어야겠네요. 제가 요즘 한글만 사용하다 보니까 영문판 UUPs 다운로드 했습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2017-09-22_090120.png

 

UUPs를 또 ISO로 변환해야 합니다. 사용하지 않다 보니까 이런 파일들은 어떻게 변환하는건지도 잘 모릅니다..일단 고고..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 영문판 iso 만드는게 더 일이네요 2017-09-22_103348.png

 

다행히 예전에 어렴풋이 한 기억이 나서 2가지 압축파일을 전부 UUPs 에 압축해제하여 bat 파일 실행했더니 나옵니다. 휴우..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 영문판 iso 만드는게 더 일이네요 2017-09-22_103445.png

 

전부 몰아넣은 광경입니다. 파일이 전부 스샷에 보이는건 아닙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 영문판 iso 만드는게 더 일이네요 2017-09-22_103553.png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 영문판 iso 만드는게 더 일이네요 2017-09-22_104138.png

 

다행히 iso로 변환이 무사히 완료 되었습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 영문판 iso 만드는게 더 일이네요 2017-09-22_104427.png

 

언제부터인가 인사이더 프리뷰는 설치 화면이 이렇더군요 ;; esd 파일이 분할 된 다음에 이렇게 된 것 같습니다. 2017년부터..

설치하는데 지장이 있는 건 아닙니다만...보기가 좋지 않지요.. 윈도와는 더 관계가 없습니다. 이 부분은 boot.wim 과 관계가 있습니다
윈도는 install.wim 이고 전혀 다른 파일이고 영역이 다릅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 영문판 iso 만드는게 더 일이네요 2017-09-22_104546.png

 

설치하는 것은 지나가는 과정으로 조금만 스샷했습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 영문판 iso 만드는게 더 일이네요 2017-09-22_105202.png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 영문판 iso 만드는게 더 일이네요 2017-09-22_105510.png

 

오랜만에 영문판 윈도 설치해보네요. 최신 인사이더 프리뷰 16294 빌드입니다. 뒤에 리비전은 별 의미 없습니다
ms에서 약간 수정하여 나온 듯 합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2017-09-22_105552.png

 

 

이제 본격적으로 esd로 된 언어팩을 cab으로 만들어봅니다. 간단하게 bat 파일을 만들어서 실행했습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2017-09-22_105740.png

 

이렇게 먼저 dism 명령으로 esd를 압축해제 한 다음에 

베타 버전을 이용하여 압축해제된 폴더 내용물을 cab 파일로 다시 만들고 있습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2017-09-22_105838.png

 

처음 시도했는데 무난하게 됐습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2017-09-22_110218.png

 

변환된 cab 파일을 가상머신에 넣었습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2017-09-22_110332.png

 

이 사실을 알고 얼마나 허무하던지..언어팩 cab 파일에 한정된 것입니다만...

cab -> mlc 로 확장자만 바꾸면 언어팩 설치 파일이 됩니다. 나원;;

cab 파일 설치하려면 dism 명령어 등을 이용해야 한다는걸 아시는 분들은 아실 겁니다. 그럴 필요가 없는거죠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2017-09-22_110359.png

 

이렇게 바로 언어팩 설치 파일이 됩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2017-09-22_110424.png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2017-09-22_110456.png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2017-09-22_111102.png

 

한국어 설치 완료 되었네요. 하지만 아무 변화도 없습니다. orz

한국어 설치는 되었지만, 한국어로 설정을 해줘야 한국어로 나옵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2017-09-22_111201.png

 

전에 했던 기억을 더듬어서...영문판이라서 언어의 장벽까지 가지고 해봤습니다
작업표시줄의 검색에서 제어판 -> control ~ 앞부분만 입력해도 자동완성이 되더군요. 그렇게 제어판을 열었습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2017-09-22_111353.png

 

그 다음이 막막하더군요. 더듬거리다가 저건가 싶어서 설정했습니다. 

로그오프 하라는 메시지는 생까고...좀 더 할 설정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2017-09-22_111607.png

 

위의 설정들을 더 해줬습니다. 이제 없겠지요..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2017-09-22_111719.png

 

부팅 때도 한글로 나옵니다 ^^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 성공-앱은안되네요 2017-09-22_111825.png

 

아쉽지만 앱 부분은 한글화가 저 1개 언어팩만으로는 안 되는 것 같습니다

앱 언어팩은 또 따로 있습니다. 한글판 분할된 UUPs 파일들 중에 여러 파일들이 있는데요. 
이런 파일들이 있을 정도면...그냥 한글판 UUPs 를 iso로 변환하여 설치하는 것이...낫겠지요;;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 성공-앱은안되네요 2017-09-22_111920.png

 

엣지 시작 페이지도 외국 사이트였다가 홈 버튼 누르니까 우리나라 페이지가 뜨네요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 성공-2017-09-22_112039.png

 

앱이 아닌 윈도 영역은 한글화가 제대로 된 듯 합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 성공-2017-09-22_112126.png

 

esd를cab으로변환하기-윈도10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언어팩이 cab이 아니라 esd로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필요해짐-영문판을한글화 테스트 본격 시작 -확장자를 mlc로바꿈 - 성공-2017-09-22_112319.png

 

esd 로 된 언어팩을 cab 으로 변환하는 툴은 베타 버전입니다만..이겁니다
https://ryanvm.net/forum/viewtopic.php?f=7&t=9945&p=143226#p143185

 

예제: DXTool_BETA_x64.exe /CT 폴더[esd를 압축해제] 입니다

제가 오늘 허접하게 만든 bat 파일이 필요하신 분들도 계실 지 모르겠네요;

esd를cab으로만들기-언어팩.bat


bat 파일은 항상 편의성이 주로 목적입니다. 수동으로 하는 부분들을 어느 정도 자동화해놨습니다
exe 파일 이름도 자동으로 찾고, esd 파일 이름과 압축해제 폴더 이름은 esd 파일 이름과 같게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cab 파일 이름도 esd 와 같게 만들어지더군요. 그리고 작업 후에는 자동으로 esd를 압축해제 했던 폴더는 삭제됩니다
esd를 압축해제 할 때는 윈도 내장 dism.exe 을 이용하기 때문에 윈도7 에서는 dism 압축해제 하는 옵션이 없어서 에러날 겁니다
본래 윈도10 인사이더 프리뷰를 위한 파일입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 윈도7은 에러 나오면 진행하지 않도록 수정함 2017-09-22_184223.png

 

dism.exe 에러 나는 경우는 에러 메시지 나오고 더 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했습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 윈도8.1은 작동하네요 2017-09-22_183210.png

 

윈도8.1은 윈도 내장 dism.exe 으로 apply 옵션이 있어서 진행이 됩니다

 

esd를cab으로변환하기- 윈도8.1은 작동하네요 2017-09-22_183614.pn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712 소프트웨어| [큰*무님] 까망+밤중 모드 간단 적용기 [7] Compuser 559 6 01-28
4711 윈 도 우| 박삿*님이 만든 RS5 Ent LTSC 2019 (DN170.6440)설치해 보... [19] 좋은데이 3883 6 12-31
4710 게임| AMD Ryzen 3 2200G 내장그래픽 오버워치 배그 테스트 [4] 항상감사 1880 6 01-16
4709 윈 도 우| 10 스토어앱에서 받은 무료 윈도우테마.. [7] bleach 2024 6 01-13
4708 서버 / IT| (내용수정) iPXE 원격부팅 iSCSI 연결 윈도우 배포서버 구축 [12] 항상감사 1911 6 01-19
4707 윈 도 우| *삿갓님 wimboot + vhd로 된 파일 부팅해봤습니다 [20] suk 1440 6 11-09
4706 윈 도 우| 창문 10개 깍는 중~~~ 1부 간단 설치기 입니다. [16] 박삿갓 1785 6 10-07
4705 윈 도 우| [CH임DA]Enterprise_1809(os 빌드 17763.1).. 간략기 [5] 김영자 802 6 10-03
4704 윈 도 우| [sun7님 VHD_PE] 사용기 보단 방황기? [12] 간장종지646 544 6 12-02
4703 기 타| IFW 부팅 ISO로 네트워크 복원을 하여 보았습니다 [8] 왕초보 764 6 09-10
4702 윈 도 우| 초초보자를 위한 Windows 7 SP1 이미지에 IE11 통합 하기 [12] Killertige 1493 6 09-02
4701 기 타| 선우님 pe홈텍스 테스트 [4] skrua 690 6 08-30
4700 윈 도 우| 서버 2019 인사이더 프리뷰 17738 빌드 구경하기 [9] suk 928 6 08-27
4699 윈 도 우| 윈도10 레드스톤5 인사이더 프리뷰 17746 빌드 나왔네요 [11] suk 808 6 08-25
4698 윈 도 우| 윈도10 레드스톤5 인사이더 프리뷰 17738 빌드 나왔네요 [5] suk 827 6 08-15
4697 윈 도 우| Win10_X64_PE를 VHD에 {풀어서} 설치해 보았습니다. [11] 멋진거지 962 6 07-25
4696 보안 / 해킹| RtkNGUI64.exe 바이러스(랜섬웨어) 주의 알림 [4] DeathWing 1546 6 07-24
4695 윈 도 우| 후루.님의 원격 피이 사용기입니다. [9] 달리기 694 6 07-22
4694 기 타| PE에서 Eassos로 백업, 복원을 하여 보았습니다... [7] 왕초보 655 6 07-17
4693 소프트웨어| (수정) Launcher로 핫키 등록이 저는 잘 안되네요... [25] 왕초보 786 6 08-3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