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Y: 으로 연결 되는 PE 부팅해봤습니다

2017.09.04 20:46

suk 조회:602 추천:6

https://windowsforum.kr/qna/9080014

오늘도 질문에 올라와서 궁금증을 참지 못 하고 부팅 테스트만 해봤습니다.

 

먼저 가상머신에서 구경을 해봤습니다. 시작메뉴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다행히 댓글에 선우님께서 StartMenu.7z 파일을 올려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가상머신에서는 잘 되는걸 확인했습니다

 

질문에서 가상머신보다는 실컴에서 안 되신다고 하셔서....가상머신은 스샷도 하지 않았네요.

실컴 작업만 스샷을 했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559.png

2가지 파일이 있으면 됩니다.

 

iso 의 sources 폴더의 boot.wim 수정부터 하려고 합니다. StartMenu 수정하기 위하여..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706.png

 

7집이 설치된 상황입니다. iso 우클릭으로 압축파일 열기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746.png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842.png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914.png

 

역시 wim을 복사하여 원본을 백업해놓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027.png

 

wim 수정은 다양한 툴들이 있습니다만...윈도 설치 때 항상 사용하는 RSImageX로 해봤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255.png

 

StartMenu 폴더 수정하는 것은 스샷에 전부 있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554.png

 

이렇게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됩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644.png

 

변경사항 저장 체크하고, 마운트 해제 합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wim 파일 위치는 어디에 있어도 관계없습니다. 실컴이든 가상이든 2017-09-04_163918.png

 

바로 boot.wim 파일을 VHDman.exe 이용하여 부팅 등록합니다. wim 파일은 어디에 있어도 관계없습니다

Y: 관련 파일들만 최상위 폴더 제한이 있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wim 파일 위치는 어디에 있어도 관계없습니다. 실컴이든 가상이든 2017-09-04_164247.png

 

부팅 등록을 그냥 확인해봤습니다. 안 해도 되는 과정입니다. 그냥 제 성격상...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Y드라이브로 연결된 파일들은 최상위 폴더에 있어야 됩니다-실컴 드라이브 문자는 Y가아니라도관계없습니다 PE로부팅하면서 Y으로 자동연결되는것입니다 2017-09-04_164438.png

 

Y: 관련 파일들은 역시 7집 우클릭으로....위 3가지만 실컴 파티션에 복사했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까 pecmdext.ini 내용이 없어서 제외해도 상관이 없었습니다

 

* CdUsb.Y가 필수 파일입니다. PE 부팅을 하면 cdusb.y 파일을 찾아서 Y:으로 탑재하게 됩니다

 

* 여담으로 위에 E:은 오늘 새벽에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 16281 빌드를 실컴에 설치하다가....드라이버 설치까지 하고 하니까..

  갑자기 나른해져서 그만둔 상태입니다. 아무래도 RTM 나오면 다시 설치해야겠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Y드라이브로 연결된 파일들은 최상위 폴더에 있어야 됩니다-실컴 드라이브 문자는 Y가아니라도관계없습니다 PE로부팅하면서 Y으로 자동연결되는것입니다 - 파일준비완료 2017-09-04_164721.png

위처럼 윈도가 있는 파티션이라도 관계가 없습니다. PE로 부팅 했을 때는 윈도도 단순한 파일들일 뿐입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2017-09-04_185211.png

 

이렇게 Y:이 잘 연결 되어서 실행 아이콘들이 잘 나옵니다. 부팅하자마자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2017-09-04_185427.png

 

시작 메뉴의 아이콘들도 정상적으로 나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2017-09-04_185542.png

 

레드스톤2 라서 스카이레이크도 인터넷 자동으로 잡힙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 cdusb.y 있는 파티션이 자동으로 Y드라이브로 잡힙니다 2017-09-04_185635.png

 

이렇게 실컴 윈도에서 E: 이었던 것이 PE로 부팅하여 자동으로 Y:으로 잡힙니다

Y:으로 잡혀야 프로그램들이 연결됩니다. 프로그램 경로가 Y: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E는 스크린샷에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893 기 타| flower3님)종합 유틸 마운트 소개 [28] 서기다 1486 9 09-17
4892 윈 도 우| 무*산님 10x64 (2017.9.20일) INSTALL.WIM 체험 스크린샷 [53] 선우 1157 12 09-17
4891 기 타| PE 유틸의 개인설정화(II) 사용기 [14] 연두소리 576 3 09-17
4890 기 타| 선우님 Win10x64PE_RS2_EXP_v2 사용기입니다.. [13] 왕초보 917 7 09-17
4889 기 타| pe옷갈아입히기 choice.ini 이야기 [5] 서기다 384 6 09-16
4888 윈 도 우| PE 유틸의 개인설정화(II) [9] 사랑인 807 7 09-16
4887 기 타| pe 옷 벗기고 입히기 [19] 서기다 1085 5 09-15
4886 기 타| HKBoot 3.3 1번 8pe 비바체 초간단 팁 [8] 서기다 566 4 09-15
4885 기 타| pe 다른옷입히기 [25] 서기다 1390 10 09-14
4884 기 타| flower3님이 다시 수정해주신 wim 마운트 cmd [19] 서기다 907 5 09-13
4883 기 타| 사랑인님의 PE 유틸의 개인설정화 사용기 [8] 서기다 387 4 09-13
4882 기 타| PE에서 USB Y 마운트(레지스트리) [6] adda 516 3 09-13
4881 기 타| reg export 명령어..♥사랑인님♥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8] 왕초보 386 3 09-13
4880 기 타| 프로그램 wim 마운트 cmd가 달라졌어요! [15] 서기다 732 4 09-12
4879 소프트웨어| EasyDrv를 윈도8.1에 사용하기 [17] suk 1324 12 09-11
4878 기 타| 선우님 Win10x64PE_RS2_EXP 사용기 [27] 서기다 637 5 09-11
4877 윈 도 우| PE 유틸의 개인설정화..... [23] 사랑인 1045 10 09-11
4876 윈 도 우| 집앞의 큰나무님 HKboot V3.3 실컴 드라이버 테스트 및 추... [27] 선우 720 10 09-11
4875 기 타| 집앞의 큰나무님 HKboot V3.3 사용기입니다. [61] 서기다 974 14 09-11
4874 윈 도 우| 윈도8.1 설치 방식이 달라졌네요 [23] suk 1793 7 09-10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