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Y: 으로 연결 되는 PE 부팅해봤습니다

2017.09.04 20:46

suk 조회:630 추천:6

https://windowsforum.kr/qna/9080014

오늘도 질문에 올라와서 궁금증을 참지 못 하고 부팅 테스트만 해봤습니다.

 

먼저 가상머신에서 구경을 해봤습니다. 시작메뉴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다행히 댓글에 선우님께서 StartMenu.7z 파일을 올려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가상머신에서는 잘 되는걸 확인했습니다

 

질문에서 가상머신보다는 실컴에서 안 되신다고 하셔서....가상머신은 스샷도 하지 않았네요.

실컴 작업만 스샷을 했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559.png

2가지 파일이 있으면 됩니다.

 

iso 의 sources 폴더의 boot.wim 수정부터 하려고 합니다. StartMenu 수정하기 위하여..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706.png

 

7집이 설치된 상황입니다. iso 우클릭으로 압축파일 열기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746.png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842.png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914.png

 

역시 wim을 복사하여 원본을 백업해놓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027.png

 

wim 수정은 다양한 툴들이 있습니다만...윈도 설치 때 항상 사용하는 RSImageX로 해봤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255.png

 

StartMenu 폴더 수정하는 것은 스샷에 전부 있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554.png

 

이렇게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됩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644.png

 

변경사항 저장 체크하고, 마운트 해제 합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wim 파일 위치는 어디에 있어도 관계없습니다. 실컴이든 가상이든 2017-09-04_163918.png

 

바로 boot.wim 파일을 VHDman.exe 이용하여 부팅 등록합니다. wim 파일은 어디에 있어도 관계없습니다

Y: 관련 파일들만 최상위 폴더 제한이 있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wim 파일 위치는 어디에 있어도 관계없습니다. 실컴이든 가상이든 2017-09-04_164247.png

 

부팅 등록을 그냥 확인해봤습니다. 안 해도 되는 과정입니다. 그냥 제 성격상...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Y드라이브로 연결된 파일들은 최상위 폴더에 있어야 됩니다-실컴 드라이브 문자는 Y가아니라도관계없습니다 PE로부팅하면서 Y으로 자동연결되는것입니다 2017-09-04_164438.png

 

Y: 관련 파일들은 역시 7집 우클릭으로....위 3가지만 실컴 파티션에 복사했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까 pecmdext.ini 내용이 없어서 제외해도 상관이 없었습니다

 

* CdUsb.Y가 필수 파일입니다. PE 부팅을 하면 cdusb.y 파일을 찾아서 Y:으로 탑재하게 됩니다

 

* 여담으로 위에 E:은 오늘 새벽에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 16281 빌드를 실컴에 설치하다가....드라이버 설치까지 하고 하니까..

  갑자기 나른해져서 그만둔 상태입니다. 아무래도 RTM 나오면 다시 설치해야겠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Y드라이브로 연결된 파일들은 최상위 폴더에 있어야 됩니다-실컴 드라이브 문자는 Y가아니라도관계없습니다 PE로부팅하면서 Y으로 자동연결되는것입니다 - 파일준비완료 2017-09-04_164721.png

위처럼 윈도가 있는 파티션이라도 관계가 없습니다. PE로 부팅 했을 때는 윈도도 단순한 파일들일 뿐입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2017-09-04_185211.png

 

이렇게 Y:이 잘 연결 되어서 실행 아이콘들이 잘 나옵니다. 부팅하자마자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2017-09-04_185427.png

 

시작 메뉴의 아이콘들도 정상적으로 나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2017-09-04_185542.png

 

레드스톤2 라서 스카이레이크도 인터넷 자동으로 잡힙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 cdusb.y 있는 파티션이 자동으로 Y드라이브로 잡힙니다 2017-09-04_185635.png

 

이렇게 실컴 윈도에서 E: 이었던 것이 PE로 부팅하여 자동으로 Y:으로 잡힙니다

Y:으로 잡혀야 프로그램들이 연결됩니다. 프로그램 경로가 Y: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E는 스크린샷에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0506 기 타| 00 [34] V무등산V 1307 102 04-10
10505 소프트웨어| 지룡자솔루션 멀티부팅 까지 24년 1월 신버전 [60] 지룡자 1550 102 01-13
10504 기 타| Ghost + CmdPE 1개 숨김파티션 백업 복원으로 구성하여보았... [60] 왕초보 728 102 09-06
10503 기 타| Backupper - Cmd명령어로 백업,복원을 하여 보았습니다 [53] 왕초보 1016 102 09-15
10502 기 타| QuantumPE AdminF_x64_PE_2_wimboot 추가 수정중 [170] V무등산V 2037 102 05-25
10501 기 타| 【수정배포3】 Imagine 1.3.1 update StartMenu PE [41] 딸랑쇠 2097 101 10-10
10500 기 타| 19045.3271 무봉인 설치 파일 [44] 집앞의_큰 1067 101 07-27
10499 기 타| IFW Lite v7.0 - USB용, BCD, 폴더 아이콘등을 적용 하였습... [49] 왕초보 837 101 06-29
10498 기 타| CN --> PE 부팅 후속 조치 [52] 집앞의_큰 967 101 08-02
10497 소프트웨어| 퀀텀pe 최적화 수정판 [80] ʕ·ᴥ·ʔ 1942 101 02-12
10496 소프트웨어| 수정-퀀텀pe 최적화 버전 [78] ʕ·ᴥ·ʔ 2014 101 02-09
10495 기 타| IFW 백업 + PE 설정 조합으로 구성하여 보았습니다 [69] 왕초보 1296 101 08-05
10494 윈 도 우| 단일 PE (wim) 뼈대 파일 2020.09.03 [61] suk 4886 101 09-03
10493 윈 도 우| (수정) Win10XPE89 만들어 본 것 [76] 대하리 3066 101 09-16
10492 윈 도 우| [종료]실컴용 19H-18362.116 [470] 첨임다 4422 101 05-29
10491 소프트웨어| 디펜더 기록 삭제 [38] 집앞의_큰 1528 100 04-19
10490 기 타| 수정 테스트 중 [89] V무등산V 910 100 10-01
10489 기 타| [ 공유 ] 초짜가 만든 허접한 PE [89] 시종일관 1668 100 02-11
10488 기 타| PE [235] 첨임다 3492 100 07-15
10487 기 타| [종료]다시받으세요-죄송합니다-JU-ChumPE(19042.782).iso [534] 첨임다 2391 100 01-22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