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Y: 으로 연결 되는 PE 부팅해봤습니다

2017.09.05 05:46

suk 조회:602 추천:6

https://windowsforum.kr/qna/9080014

오늘도 질문에 올라와서 궁금증을 참지 못 하고 부팅 테스트만 해봤습니다.

 

먼저 가상머신에서 구경을 해봤습니다. 시작메뉴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다행히 댓글에 선우님께서 StartMenu.7z 파일을 올려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가상머신에서는 잘 되는걸 확인했습니다

 

질문에서 가상머신보다는 실컴에서 안 되신다고 하셔서....가상머신은 스샷도 하지 않았네요.

실컴 작업만 스샷을 했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559.png

2가지 파일이 있으면 됩니다.

 

iso 의 sources 폴더의 boot.wim 수정부터 하려고 합니다. StartMenu 수정하기 위하여..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706.png

 

7집이 설치된 상황입니다. iso 우클릭으로 압축파일 열기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746.png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842.png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914.png

 

역시 wim을 복사하여 원본을 백업해놓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027.png

 

wim 수정은 다양한 툴들이 있습니다만...윈도 설치 때 항상 사용하는 RSImageX로 해봤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255.png

 

StartMenu 폴더 수정하는 것은 스샷에 전부 있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554.png

 

이렇게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됩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644.png

 

변경사항 저장 체크하고, 마운트 해제 합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wim 파일 위치는 어디에 있어도 관계없습니다. 실컴이든 가상이든 2017-09-04_163918.png

 

바로 boot.wim 파일을 VHDman.exe 이용하여 부팅 등록합니다. wim 파일은 어디에 있어도 관계없습니다

Y: 관련 파일들만 최상위 폴더 제한이 있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wim 파일 위치는 어디에 있어도 관계없습니다. 실컴이든 가상이든 2017-09-04_164247.png

 

부팅 등록을 그냥 확인해봤습니다. 안 해도 되는 과정입니다. 그냥 제 성격상...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Y드라이브로 연결된 파일들은 최상위 폴더에 있어야 됩니다-실컴 드라이브 문자는 Y가아니라도관계없습니다 PE로부팅하면서 Y으로 자동연결되는것입니다 2017-09-04_164438.png

 

Y: 관련 파일들은 역시 7집 우클릭으로....위 3가지만 실컴 파티션에 복사했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까 pecmdext.ini 내용이 없어서 제외해도 상관이 없었습니다

 

* CdUsb.Y가 필수 파일입니다. PE 부팅을 하면 cdusb.y 파일을 찾아서 Y:으로 탑재하게 됩니다

 

* 여담으로 위에 E:은 오늘 새벽에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 16281 빌드를 실컴에 설치하다가....드라이버 설치까지 하고 하니까..

  갑자기 나른해져서 그만둔 상태입니다. 아무래도 RTM 나오면 다시 설치해야겠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Y드라이브로 연결된 파일들은 최상위 폴더에 있어야 됩니다-실컴 드라이브 문자는 Y가아니라도관계없습니다 PE로부팅하면서 Y으로 자동연결되는것입니다 - 파일준비완료 2017-09-04_164721.png

위처럼 윈도가 있는 파티션이라도 관계가 없습니다. PE로 부팅 했을 때는 윈도도 단순한 파일들일 뿐입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2017-09-04_185211.png

 

이렇게 Y:이 잘 연결 되어서 실행 아이콘들이 잘 나옵니다. 부팅하자마자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2017-09-04_185427.png

 

시작 메뉴의 아이콘들도 정상적으로 나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2017-09-04_185542.png

 

레드스톤2 라서 스카이레이크도 인터넷 자동으로 잡힙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 cdusb.y 있는 파티션이 자동으로 Y드라이브로 잡힙니다 2017-09-04_185635.png

 

이렇게 실컴 윈도에서 E: 이었던 것이 PE로 부팅하여 자동으로 Y:으로 잡힙니다

Y:으로 잡혀야 프로그램들이 연결됩니다. 프로그램 경로가 Y: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E는 스크린샷에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6547 윈 도 우| 윈도10 RS1 14393.82 설치 특이현상 있네요 [22] suk 3510 6 08-25
6546 소프트웨어| 철이님꺼 사용기 옛날에님주신 뼈대에 넣어보았습니다. [8] 복태취업했 981 6 06-10
6545 기 타| [2탄] 숨김파티션에서 레인미터를 사용하여 보았습니다. [6] 왕초보 519 6 08-14
6544 윈 도 우| 지연서연아빠님 나만의 PE 만들기 2탄 결과물 [11] w20060101 1344 6 09-07
6543 윈 도 우| WinforumPEx64 받으신 회원님들 참고 하세요 [78] 선우 2694 6 09-09
» 기 타| Y: 으로 연결 되는 PE 부팅해봤습니다 [7] suk 602 6 09-05
6541 윈 도 우| 윈도10 에서 winre.wim 대신에 PE 사용하기 [18] suk 1744 6 07-03
6540 윈 도 우| 다른 님이 언급하지 않으신(?) 철이님 PE 기능 및 파티션 ... [18] 무주처사 1208 6 06-07
6539 윈 도 우| 윈도10 버전1703 관리자계정에 앱실행 - 무인설치 테스트 [15] suk 2776 6 06-08
6538 윈 도 우| WinPE W10x64 mid v3.8.1 (사용 중 !) [32] 리엣 3328 6 10-12
6537 윈 도 우| OldMaC님수정본 SXC_Win10Pro3_X64_15063_2in1_KO_KY [13] ㅅrㄹrㅇe 924 6 06-19
6536 소프트웨어| 윈도10 업데이트 미니툴로 업그레이드 자유롭게 하기 [7] suk 2323 6 10-22
6535 윈 도 우| 윈도10 롤백 테스트 - 1달이 훌쩍 지났네요 [6] suk 1934 6 10-30
6534 소프트웨어| [파일추가 2016-11-07] 고성능/균형조정/절전 전환 bat 테스트 [16] suk 2540 6 11-04
6533 기 타| flower3님 10x64 사용기 입니다. [22] 서기다 787 6 08-23
6532 윈 도 우| 윈도우 레드스톤3 빌드16199 사용기 [5] 달리기 1697 6 05-28
6531 기 타| 백업,복구 프로그램에 드라이브 목록을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15] 왕초보 876 6 06-30
6530 소프트웨어| sunshine님 도스 리커버리 DR1.9_307FD_FIX 프리도스 사용기 [10] John316 831 6 06-19
6529 기 타| 스크린샷의 8pe 32bit 라이트 한글화 버전 간단 사용기입니다 [6] 왕초보 891 6 07-02
6528 기 타| RS4 CMDPE용 허접! 짝퉁! 레인미터 사용기입니다.. [6] 왕초보 958 6 05-03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