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우연히! PE에서 레지수정으로 VHD가 Y:로 연결이 되네요

2017.09.02 12:26

왕초보 조회:759 추천:5

어제부터 PETools.VHD 연결을 하면..처음에는 빈드라이브 문자로 연결이 되었다가..한번 Y:로 연결이 되면 해제후..다시 연결시에는

바로 Y:로 연결이 되어서...Bootice로 계속 Y:를 수정하면서 테스트를 했었습니다

 

저는..이것이 제일 궁금했었습니다..한번 Y:가 되면..왜! 다음부터는 앞에 빈 드라이브 문자가 아니라..Y:로 되는지요..

오늘...모임이 있어서...1시에 출발을 해야하는데...아래 사용기를 다쓰고 나서도 시간이 있어서..VHD manager v1.3을 pe에 적용을 하여 보았습니다.. 

당연히...Y:로 되지는 않네요

 

 

그래서...어제부터 궁금했던것을..한번 테스트 하여 보았습니다..아니 그런데..Y:로 마운트가 잘 되네요

고수님들께서 보시면..웃으시면서 당연한것을 가지고..놀라네 하실것 같습니다..

 

cmd에서..연결후 바로 Y: 드라이브로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가 필요가 없는...것입니다..

저도 궁금해서..그리고..재미 삼아 보아 주십시요

 

 

 

1. 아래처럼..PE에서 VHD 연결을 하도록 하여 보았습니다... VHD manager v1.3 cmd명령어에서 드라이브 문자를 지정하는것이 없어서 그냥 연결만 되는것입니다..

0.png

 

2. VHD 연결은 잘 되었습니다.이미 기능은 윈도우에서 확인을 했었죠....드라이브 문자중에서 빈 문자로 연결이 되었습니다.

1.PNG

 

3. 수동으로 VHD manager v1.3를 실행하였습니다...

2.PNG

 

4. VHD를 추가를 하면..현재 연결이 되어 있어서..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3.PNG

 

5. bootice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렇게 편하게 Y:로 수정할수 있습니다..어제 귀찮게..일일히 변경을 한것을 생각하면....너무 좋습니다..

4.PNG

 

6. VHD가 Y:로 연결이 잘 되었습니다..

5.PNG

 

7. 아주 오래전에..드라이브 문자들이 레지에 등록되어 있는것을 보았던것 같습니다. 그래서..Y:로 레지를 모두 검색하여 보았습니다

  F3을 누르면 다음 검색을 계속 합니다.

6.PNG

 

8. 찾았습니다... Y: 드라이브로 연결된것이 보이네요...위에 이상한것에도..데이터 값이 같은것이 있네요...Y: 로 된것이 필요하죠...

7.PNG

 

9. 레지를 내보내기를 하여 보았습니다..

8.PNG

 

10. Y:만 남겨 놓고 다 삭제를 하였습니다....나머지는 필요가 없죠..

9.PNG

 

11. RESET.reg 파일에 추가를 하였습니다..

10.PNG

 

12. 7z이 너무 편합니다...boot.wim에 수정한 파일을 추가하였습니다.

11.PNG

 

13. PETools.VHD가 Y:로 연결이 되었습니다...이렇게 기억된곳이 있으면 그쪽으로 연결이 되네요..

12.PNG

 

14. 마무리

저도..궁금해서 해보기는 하였습니다..이렇게 쉽게 될줄은 생각도 못했네요...

이미..cmd에서 Y: 드라이브로 변경이 너무 간단하게 되어서..필요가 없는것입니다.....그리고 VHD 파일이 바뀌면..레지값도 바뀌겠죠.

 

초보가..너무 궁금해서..한번 테스트 하여 본것입니다...초보가 또 요상한짓을 하네 하여 주십시요

 

가족분들과...웃음이 가득힌 식사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403 기 타| PE에서 프로그램 관리하는 6가지 방법 사용기입니다 [25] 왕초보 1405 18 08-31
4402 소프트웨어| pe 찾아서 부팅 그 두번째(추) [190] 집앞의_큰 1404 150 01-02
4401 윈 도 우| 총알 8PE 3탄 수정(변경) 항목 사용기+USB3.0 [20] compuser 1404 7 05-04
4400 기 타| 설치후 부팅이안된다고... [19] 첨임다 1403 15 02-20
4399 윈 도 우| 이번 DreamWTG 작업중 생긴 문제(해결) [6] 갑파니 1403 5 03-15
4398 기 타| PE 4종 수정 및 빌드 사용기 [97] DengJang 1402 76 12-18
4397 윈 도 우| [BR테스트]BigTree님 OKRPE 사용기 입니다. [44] SHIELD 1402 11 10-23
4396 윈 도 우| 윈도우 11 프로 윈도우 Copilot 제거 [6] asklee 1401 28 11-18
4395 소프트웨어| SnapShotBR 1.2 한글 테스트 [40] 지후빠 1401 68 08-27
4394 기 타| 민밋한 대기시간 바꿔보기 [33] 집앞의_큰 1401 35 10-21
4393 기 타| Image for UEFI V3.55 버전 사용기 입니다 [30] 왕초보 1400 40 09-18
4392 윈 도 우| 1회성 PE 부팅 설치 및 맛보기 [27] 내꼬 1400 43 09-27
4391 기 타| 요즘 Ventoy가 iso 부팅이 잘 되지 않아서 테스트해봤습니다 [26] suk 1400 26 01-22
4390 소프트웨어| 온전한? Image for Windows BR 테스트 [30] 지후빠 1400 34 11-07
4389 윈 도 우| Windows 10 버전 21H1 MSDN 파일이 맞는지 확인해봤습니다 [6] suk 1400 9 05-20
4388 소프트웨어| KJ + Fe A.L.D사용기 [37] 집앞의_큰 1400 25 05-01
4387 보안 / 해킹| 꼴통 "AhnLab Safe Transaction" 길들이기 [10] 세이퍼컴 1399 12 06-05
4386 윈 도 우| 우인님 Quantum PE 헤쳐모여 설치 체험기 입니다. [135] 입문자 1399 42 12-23
4385 윈 도 우| Quantum PE 10.9 간단 사용기 [11] 비선실세 1399 18 02-12
4384 기 타| [종료]깔끔이-ChumPE-21H1 (OS BILD 19043.844) [489] 첨임다 1399 176 02-19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