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2탄] 숨김파티션에서 레인미터를 사용하여 보았습니다.

2017.08.13 21:52

왕초보 조회:548 추천:6

지난 사용기에서...레인미터를 boot.wim파일 밖으로 꺼내서 복구시스템에서 사용하는것만 생각을 하다보니..

복구시스템에서 백업파일이 저장되는 파티션이 숨김파티션으로 되었을 때를 생각을 못하였습니다..

 

PE에서 숨김파티션을때 해제하는 내용을 보지 못한것 같아서 확인을 하여 보았습니다.

짐작대로 숨김파티션을 PE부팅시 해제하는 명령어가 없어서 MountStorPE.exe를 적용하고..확인을 하여 보았더니..

아!!! 레일미터에서 바탕화면에 있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지가 않네요. 어째 초보가 생각지도 않게 레인미터를 쉽게 적용헸다 하였습니다

결국 이렇게 복병이 나타났습니다

 

숨김파티션을 해제하고나서..이 파티션을 Y: 드라이브로 바꾸지를 못하나 봅니다..

할수 없이..초보답게...무식한 방법으로 해결을 해보았습니다...

아마..고수님들께서는..더 좋은 방법이 있으실것입니다...초보가...초보답게 해결을 했네 하여주십시요

 

이런일도 있을수 있구나 하여 주십시요

 

 

1. 백업용 파티션을 숨김파티션으로 하였습니다..

1.png

 

2. 아래처럼 숨김파티션을 해제하는 명령어를 추가하였습니다....두번째 빨간네모에 Hardr 이 있는 파티션을 Y:로 만드는 명령어가 있습니다

2.png

 

3. 부팅을 하여 보았습니다...숨김파티션이 해제가 되었습니다만 숨김파티션 해제후 Y: 드라이브로 변경이 되지 않고 K: 드라이브 그대로 있습니다.

3.png

 

4. 시작메뉴에 있는 아이콘들은...Recovey.ini에서..만드는것이다보니..Y:로 바뀌지 않아도 현재 드라이브로 등록이 정상적으로 됩니다...

   오른쪽 빨간네모에 보이시죠..K: 드라이브로 바로가가 등록이 되어서 잘 실행이 됩니다

4.png

 

5. 숨김파티션이 해제되고 Y: 드라이브로 변경이 되지 못하여서..Pro.ini에 등록된 Y: 드라이브는 쓸모가 없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문제입니다..복구시스템을 만들때 주로 숨김파티션으로 합니다...숨김파티션을 만들지 않고 D: 드라이브에 만드는 경우도 많기는 합니다

  하지만 진짜 초보 지인분들은..숨김파티션에 백업하도록 하게 있습니다..

5.png

 

6. 할수없이...아래처럼 Pro.ini를 만드는 Pro.cmd를 추가를 하였습니다..cmd에서..현재의 드라이브 문자를 가지고..Pro.ini를 만들도록 하였습니다

   조금 불편하더라도..프로그램 추가는 Pro.cmd에 하면 됩니다

6.png

 

7.Pro.cmd 파일 내용입니다...Pro.ini에 등록될 내용을 여기에서 처리 하도록 하였습니다

 Pro.ini에 특수기호가 있어서..두번째 빨간네모처럼 처러를 하였습니다.. "|"를 cmd에서 ini 파일에 쓸려고 하면 "^|" 이렇게해야 하네요..

  참고하여 주십시요

7.png

 

8. 어쩔수 없이..레인미터가 실행되기 전에 Pro.cmd가 실행되도록 한줄을 추가하였습니다..

8.png

 

9. 부팅후 바탕화면에 있는 메뉴를 실행한 모습입니다..다행히 잘 된것 같습니다.

9.png

 

10. Pro.cmd에서 만든 Pro.ini 내용입니다...이제는 Y:, 드라이브로 바꾸지 않아도 될것 같습니다, 숨김파티션만 해제를 하고 바로 적용한 것입니다

10.png

 

11. 마무리

초보가 뭘 해보려고 하면..한번에 잘 되는 경우는 거의 없는것 같습니다..

그래도 다행히.운이 따라주어서..숨김파티션을 사용할때에도.레인미터를 활용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좀 무식한 방법이기는 합니다..

 

초보가..숨김파티션 문제를 이렇게 해결했네 하시면서 웃어주십시요..

 

편안하신 밤 되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0764 소프트웨어| WimInfo v0.8.3.0 - VSS 지원. 직접 연결 [20] 입니다 986 40 02-26
10763 기 타| WimLib Cmd + Launcher + 진행바 구성을 하여 보았습니다 [17] 왕초보 847 21 02-26
10762 윈 도 우| 수정_vhd 부팅하기 _ Windows 11 Enterprise LTSC 2024 [15] 16k 1017 17 02-26
10761 윈 도 우| 초보에 윈도우 원격설치 고수님 자료 사용기^^ [4] 수리수리 598 17 02-26
10760 윈 도 우| 로컬 컴퓨터 드라이버 백업 [103] 집앞의_큰 1366 152 02-26
10759 기 타| Dism Cmd - 윈도우에서 바로 백업하여 보았습니다 [25] 왕초보 946 27 02-25
10758 기 타| WimLib Cmd + Launcher(pecmd.exe) 로 구성하여 보았습니다 [17] 왕초보 881 32 02-25
10757 소프트웨어| WimInfo v0.8.1.0 DISM 구버전 지원 [26] 입니다 1124 50 02-24
10756 기 타| WimLib Fast Cmd 버전 사용기 입니다 [11] 왕초보 811 22 02-24
10755 소프트웨어| 지금까지 만든 프로그램과 만드는 프로그램들 [5] 굿듀님스토 1151 43 02-24
10754 윈 도 우| 엣지 크롬_브라우저 업 데이트 에러 _디컨 에러 [1] 16k 219 2 02-24
10753 윈 도 우| 노랑** 님 xpe 빌드를 우여곡절끝네 성공기 및 질문 [2] 마로94 324 6 02-24
10752 소프트웨어| 오픈vpn 프로그램 [10] 굿듀님스토 700 26 02-24
10751 소프트웨어| 맨살링 미디어 플레이어 실험 [2] 굿듀님스토 247 7 02-24
10750 기 타| WimLib Simple Cmd - 캐플님 UI를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9] 왕초보 800 19 02-23
10749 소프트웨어| 유튜브 다운로더 오디오 기능 추가 [14] 굿듀님스토 778 30 02-23
10748 윈 도 우| 사용 중에 윈도우 백업 [33] 집앞의_큰 1419 89 02-22
10747 기 타| 캐플님 ImageX 자동 복구시스템 XARS 사용기 입니다 [12] 왕초보 1028 30 02-22
10746 윈 도 우| 디펜더 기록 삭제 [51] 집앞의_큰 1814 108 02-22
10745 기 타| WimLib Drag Cmd - 증분 백업,복원을 적용하여 보았습니다.. [16] 왕초보 872 29 02-2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