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서버 / IT 랜섬웨어 예방법

2017.05.26 19:27

gooddew 조회:2521 추천:9

램섬웨어로 부터 자신의 데이타를 보호 하려면 주기적으로 외부로 백업을 하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이런 작업을 할수 없는 상황이라면 주기적으로 윈도우 자체 기능인 시스템 복원을 이용해서 백업을 해놓으면

 

데이타 복구를 하는데 유용합니다.

 

01.png

 

시스템이 신종 랜섬웨어 걸렸습니다. 몇가지 복구 툴을 해보니까 안되었습니다.

 

ShadowExplorer 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복구를 해보겠습니다. ShadowExplorer 것은 램섬웨어 복구툴은 아닙니다.

 

하지만 ShadowExplorer 는 윈도우 시스템 복원 이미지에서 내가 필요한 파일(암호화된 파일의 백업 파일)만 골라서 가져올수 있는 도구 입니다.

 

윈도우 복원 방식을 이용해서 랜섬웨어로 부터 자료를 보호 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파티션 또는 디스크를 분리해서 데이타 전용 드라이브를 만듭니다.

 

강좌에서는 하나의 디스크에 파티션을 두개로 나누었습니다.

 

28.png

 

 

데이타 전용 드라이브를 "자료 (D:)" 드라이브로 만들었습니다.

 

 

 

27.png

 

D:\자료 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데이타 자료를 넣어 보았습니다. 사용량이 34 MB 입니다.

 

 

탐색기를 열고

 

31.png

 

컴퓨터에서 속성으로 들어 갑니다.

 

32.png

 

시스템 보호로 들어갑니다.

 

 

33.png

 

자신이 선정한 데이타 전용 드라이브를 "자료 (D: )" 를 선택후에 구성 버튼 클릭합니다.

 

 

34.png

 

이전 버전 파일만 복원 체크 하고 하단에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35.png

 

만들기 버튼 클릭

 

 

37.png

 

적당한 복원 이름을 입력합니다. 만들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38.png

 

닫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39.png

 

구성으로 들어 갑니다.

 

 

40.png

 

백업 사용량이 약 7메가 정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윈본 자료의 34 MB 사용량이 압축 되어서 백업이 됩니다.

 

 

만약 현재 상태에서 자신의 시스템이 랜섬웨어가 걸렸다면

 

https://www.shadowexplorer.com/downloads.html 사이트에게 가서 최신버전 포터블 받으세요

 

압축을 풀고 shadowexplorer.exe 를 실행을 합니다.

 

 

44.png

 

백업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복원 날짜를 선택한 다음 하단에 백업한 폴더(자료) 를 선택을 하면 우측에 백업 자료 리스트가 나옵니다.

 

복원할 자료에 마우스 우클릭하고 export 누르면

 

 

48.png

 

복원할 경로를 지정하는 창이 나오는데 경로를 지정하고 확인을 누르면 경로에 자료가 복구 됩니다. 

 

주기적으로 만들기를 해서 복원 지점을 생성하면 됩니다.

 

시스템 복원을 윈도우가 설치된 C: 드라이브를 하게 되면 윈도우 까지 백업을 하게 되어서 백업 용량이 크지만

 

위 강좌로 데이타만 분리해서 백업을 하면 백업 용량이 작아서 부담이 없습니다.

 

 

 

 

 

* ShadowExplorer 프로그램을 데이터 복구 특징

 

① 기존에 시스템 복원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던 PC 환경에서 복구 가능 

② 암호화된 데이타를 해독하는것이 아니라 백업된 복원 이미지안에 동일한 파일명을 복구 시점 날짜 기준으로 파일을 복구함 

 변종 또는 신종 랜섬웨어(Ransomware) 로 인해서 복구툴이 없는 경우 차선의 방법

④ 개인의 실수로 삭제된 파일 복구 가능( 휴지통에 없는 파일 )

 

 

결론 : 랜섬웨어로 부터 데이타 보호를 위해서 윈도우 복원 기능은 중요한 기능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632 윈 도 우| OldMaC님수정본 SXC_Win10Pro3_X64_15063_2in1_KO_KY [13] ㅅrㄹrㅇe 924 6 06-19
4631 소프트웨어| 도스 리커버리 1.9 테스트 [24] sunshine 1560 9 06-18
4630 윈 도 우| 감사스샷 - Win10PE_x86x64(EFI)_compact(2018)--- x86 &am... [5] 항상감사 1486 7 06-17
4629 윈 도 우| ghkdrudtj님의 KOx64 와 왕초보 님의 파티션세이빙Tag 4.11... [29] 선우 926 5 06-16
4628 윈 도 우| 고정출연자 님 pe [13] 1992 1389 7 06-14
4627 윈 도 우| 무산님 실컴에 멀티로 부팅.. [4] 당일 634 3 06-14
4626 윈 도 우| 선우님의 감사한 PE를 다시 수정해보았습니다. [12] 촌꼬마 1008 9 06-13
4625 윈 도 우| 윈도 설치 + PE 부팅 x86 x64 겸용 뼈대에 pe,mbr설치uefi... [16] 복태취업했 1463 7 06-13
4624 소프트웨어| HDD raid 0 속도 및 부팅속도 측정 [6] 웃기는짬뽕 1456 3 06-13
4623 소프트웨어| sunshine님의 도스 리커버리 1.8 테스트 [고스트 편] [16] John316 668 6 06-13
4622 윈 도 우| 옛날에님 뼈대 UEFI 부팅실패 [1] 바이두매니 831 1 06-12
4621 윈 도 우| 풍년에 깜부기 간소한PE 작업표시줄 붙박이 아이콘 등록하기 [29] 선우 2028 13 06-12
4620 윈 도 우| OldMaC님 Windows 10 RS2 1703 VOL x64 Lite pk0377 한글화  [37] ㅅrㄹrㅇe 1023 6 06-12
4619 기 타| "철이"님 PE, Y_고정 [23] 옛날에 1852 12 06-11
4618 윈 도 우| 풍년에 깜부기 간소한PE 포터블 빼기하여 보았습니다 [26] 선우 959 4 06-11
4617 소프트웨어| EasyDrv [WanDrv] 윈도8.1 설치 테스트 [11] suk 1119 3 06-11
4616 소프트웨어| 철이님꺼 사용기 옛날에님주신 뼈대에 넣어보았습니다. [8] 복태취업했 981 6 06-10
4615 기 타| 집앞의_큰나무님의_W10x64LitePE_파일추가 해보기 [24] 첨임다 1228 11 06-10
4614 기 타| "철이"_Win10PE_RS2_x86x64_뼈대 [31] 옛날에 2443 15 06-10
4613 기 타| 풍년에 깜부기 간소한PE_W10x64LitePE.ISO_뼈대 [17] 옛날에 1413 9 06-10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