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

2017.05.04 08:22

선우 조회:1379 추천:8

안녕하세요 

분주했던 하루해가 다 지나가고 벌써 늦은 밤이 되었네요 피곤하신 몸 편히 쉬시는 밤이 되시길 바랍니다

쪽지를 주신 회원님이 계셔서 허접 하나마 식상한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허겁지겁 스크린샷 한다고

많이 미흡하고 설명이 부족 할수도 있네요 고수님들 께선 입문자의 몸부림 이라 흘려 보아 주십시요^^*

아래로 퍼뜩 올리고 쉬러 갈까 합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22.jpg

우선 빠른 Wim 마운트와 편집을 위하여 SSD 루트에 PE를 설치하고 usb포트가 아닌 사타 포트에 바로 물려서 작업을 하였습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01.jpg

작업표시줄 아이콘을 모두 삭제하고 본인이 원하는 아이콘을 추가하는 작업을 위해 먼저 boot.wim 복사본을 만들어 줍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02.jpg

틱톡님의 T.Dism 을 실행하고

1번 : Y드라이브 sources 경로에 boot.wim을 불러 옵니다

2번 : 탑재실행, 3번 : 탑재완료 확인

4번 : 표시한 경로로 가서 , 5번 : 레지스트리 파일 "TaskBar_icon_6in.reg"를 삭제 합니다

6번 : 표시한 경로로 가서 , 7번 : 바로가기 아이콘 6개를 삭제 합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03.jpg

탑재가 된 열린 탐색기 창을 1번,2번, 모두 닫아주고 3번 탑재해제 를 합니다

컴퓨터를 재부팅 합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04.jpg

위 처럼 작업표시줄 아이콘이 모두 삭제 되었습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05.jpg

이제 본인이 원하는 아이콘을 작업 표시줄에 등록을 해보겠습니다 

1번 : 등록 하고자 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후 바탕화면 잘 보이는 곳에 준비합니다

2번 : Regshot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3번 : 눌러서 

4번 : 바탕 화면을 선택 

5번 : 확인 (레지샷 데이터를 편리하게 보기위해 바탕 화면으로 지정 하였습니다)


 

이제 아래로 레지샷 작업을 하겠습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06.jpg

우선 "첫째 저장(1)" 항목을 클릭하고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07.jpg

전체 레지스트리를 선택 합니다 (레지샷 아래쪽에 데이터 읽어 들이는 숫자가 막 올라감)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08.jpg

준비한 바로가기 아이콘에 마우스 포인터를 대고 우클릭후 "작업 표시줄에 고정(K)" 항목을 클릭 합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09.jpg

준비한 아이콘 모두를 하나씩 그렇게 등록을 합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10.jpg

원하는 아이콘 등록이 모두 끝났으면 레지샷 "둘째저장(2)" 를 눌러 줍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11.jpg

둘째저장 누르고 "전체 레지스트리"를 클릭합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12.jpg

1번 : 하이키로컬머신의 체크가 생기면 해제 하였습니다 HKEY_USERS 만 저장을 하면 되더군요, 2번 : 확인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13.jpg

레지샷 첫번째 저장과 두번째 저장 데이터 파일이 생성 되었는데 아이콘 위치 변경후 생성된 두번째 데이터를 사용 하겠습니다 

첫번째 데이터가 Undoreg.txt 라면 두번째는 RedoReg.txt 입니다 바로 RedoReg.txt를 사용하기 위해 메모장으로 열어 줍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14.jpg

저장B는 두번째 저장을 뜻합니다 첫번째 저장은 A로 기록되어 있더군요 이제 위쪽 불필요한 문자는 삭제 하겠습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15.jpg

표시된 네모칸의 문자는 모두 삭제 합니다 물론 아래쪽 에도 많은 부분 삭제 할것이 있지만 잘 모를땐 안건드리는 것이 최고입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16.jpg

불필요한 문자 깨끗하게 삭제 하였으면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하여 줍니다 저는 TaskBar_icon6in.REG 란 이름으로 바탕화면에 저장을 하였습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17.jpg

이제 준비된 레지스트리 파일과 바로가기 아이콘을 boot.wim 마운트후 작업으로 이어 지겠습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19.jpg

다시 틱톡님의 T.Dism 을 실행하고

1번 : Y드라이브 sources 폴더의 boot.wim 을 선택합니다 

2번 : 탑재실행

3번 : 바로가기 아이콘 들을

4번 : 표시된 경로에  복사하여 붙여넣기 합니다 

5번 : 조금전에 만들어둔 레지스트리 파일 "TaskBar_icon6in.REG" 선택하여

6번 : 표시된 경로에 복사하여 붙여넣기 합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20.jpg

1번,2번 : 마운트 폴더 열린 탐색기 창을 모두 닫아주고 3번 : 탑재 해제를 하여 줍니다 

컴퓨터를 재부팅 하여 줍니다 


 

Win10PE_SWx64_Net 작업표시줄 아이콘 삭제후 생성하기_21.jpg

재 부팅후 등록 하고자 하였던 아이콘이 제대로 작업이 되었나 확인해 보았습니다 


 

설명은 길었는데 실제로 고수님들이 하시면 1분안에 끝나는 작업이라 생각 합니다 제가 레지스트리 개념과 Wim파일 마운트

개념이 없을때 한달도 넘게 고민한 부분 이었습니다 물론 제게 요청하신 회원님 께선 모두 알고 계신 내용이라 생각 되고요

단지 입문자의 자료가 부족함이 많아서 표준을 벗어나는 바람에 잠시 혼돈이 있으셨다 생각 합니다 이 포스팅은 제가 공부해

보는 차원에서 올린것이고요 혹시라도 참고가 되시는 회원님이 한분 이라도 계신다면 참으로 보람 있는 포스팅이 아닌가 생각

하게 됩니다 지금도 제게 알려 주시려고 애쓰셨던 고수님 A*DA 님이 많이 생각 납니다 언제 까지나 감사 드리는 마음 이고요

늘 건안 하시길 바랍니다 입문자의 허접한 포스팅 끝까지 보아 주셔서 감사 드리고요 입문자의 재롱으로 보아주신 윈포의 여러 

고수님들 께도 무한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편안 하신밤 되십시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592 윈 도 우| 철이님 Win10PE_RS2_x64_Admin 감사스샷 몇장 올립니다 [42] ㅅrㄹrㅇe 1211 10 06-07
4591 윈 도 우| 관리자계정으로 무인설치하기 테스트 [14] suk 1792 12 06-06
4590 소프트웨어| NTLITE 참 좋아졌군요! [7] bleach 1601 4 06-06
4589 윈 도 우| jucom님 PE 무등산 편집 10x64 (2017.6.1일) ~~ usb 설치기... [6] 당일 1670 4 06-06
4588 기 타| sunshine님의 DR1.5_TEST 사용기 [11] John316 2866 3 06-05
4587 윈 도 우| 인텔 코어i7-7세대 7700 (카비레이크)에 원도우7 설치 [11] 방랑객 3138 4 06-04
4586 윈 도 우| 무★산님 [496] 돌미나리 4899 50 06-04
4585 윈 도 우| 무♥산 님의 열정이 담긴 윈도우와 PE 설치후 곧바로 멀티부... [19] 선우 2064 7 06-03
4584 기 타| 선우님의 감사한 PE를 수정해보았습니다 ! [11] 촌꼬마 874 3 06-03
4583 윈 도 우| 초저가 윈도우 10 정품 구입후기와 미국 마소 라이브챗 후기 [14] 사가문 2216 4 06-02
4582 윈 도 우| 배송 받은 선우님 PE 후기입니다.. [16] 은주얌 1055 4 06-01
4581 보안 / 해킹| 과태료 위반을 가장한 램섬웨어 주의 요망 [14] gooddew 2059 7 05-31
4580 윈 도 우| 윈도우10 RS2 공간음향 - DOLBY ATMOS 테스트 [6] 비설 3022 4 05-30
4579 윈 도 우| 윈10 rs2 설치시 사블카드문제로 롤백되는 문제 해결 [3] 비설 859 5 05-29
4578 윈 도 우| 윈도우 레드스톤3 빌드16199 사용기 [5] 달리기 1697 6 05-28
4577 소프트웨어| 도스 리커버리 1.8 테스트 [32] sunshine 2647 18 05-28
4576 윈 도 우| 선우님의 Win10PE Boot_Mini x86_USB 사용기 [28] John316 1836 9 05-27
4575 서버 / IT| 랜섬웨어 예방법 [11] gooddew 2521 9 05-26
4574 윈 도 우| 무♥산님 PE를 USB에 설치하기 [71] 선우 3128 18 05-22
4573 소프트웨어| 와! 144프레임으로 동영상을 보니 신세계네요! [12] bleach 2472 2 05-22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