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32비트 pe를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기

2017.01.31 21:24

suk 조회:2419 추천:12

강좌성 내용입니다만...강좌는 뭔가 딱딱 맞춰서 써야 할 듯 해서 자유로운 사용기에 씁니다. [내용상 설치/사용기라고 우길 수도 있고요;]

 

늘 그래왔듯이, 가상이나 실컴이나 부팅 원리는 같습니다. 여러가지 편의상 이런 테스트는 가상을 주로 이용합니다

* UEFI와 BIOS 겸용 부팅이 가능한 일반적인 컴퓨터를 가정하고 쓴 글입니다.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 2017-01-31_203303.png

 

32비트 pe를 mbr 방식으로 부팅합니다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 2017-01-31_203517.png

 

WinNTSetup.exe를 실행합니다. 참고로, RSImageX도 EFI 파티션 만들기 가능합니다 [밑에 별도로 추가했습니다]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 2017-01-31_203647.png

 

bootice.exe를 실행합니다. EFI 파티션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 2017-01-31_203855.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 2017-01-31_203957.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 2017-01-31_204146.png

 

여기가 핵심인데요. 크기를 삭제해버리는 것이 하나의 요령입니다

 

EFI 시스템파티션은 아래 에서 체크하면 되기 때문에...결국 윈도만 만드시려면 단일 파티션으로 하시면 됩니다. 제일 간단합니다

위에 3개 전부 크기를 빈칸으로 만드시면 나머지 용량은 자동으로 알아서 됩니다

 

만약 위와 같이 2개 파티션으로 하시려면..MB 단위로 입력하셔야 됩니다

저는 테스트라서 대충 입력했습니다. 1GB를 1024MB로 계산하시면 대략 맞습니다.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 2017-01-31_204405.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winntsetup 재실행 2017-01-31_204735.png

 

부트파티션 [EFI 시스템파티션] 선택하시면 오른쪽에 녹색불이 전부 들어옵니다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winntsetup 2017-01-31_205124.png

 

부트 드라이브는 EFI 시스템 파티션으로 하시고

설치 드라이브는 윈도 파티션으로 지정하시면 됩니다. [다음에 윈도 재설치 하실 때는 오른쪽에 "F" 클릭하셔서 포맷도 해주셔야 합니다]

 

* 다음에 윈도 재설치하실 때는 재파티션은 하실 필요가 없고...포맷만 신경써서 하시면 됩니다. 윈도는 무조건 포맷하셔야 하는데요

  EFI 시스템파티션은 자유입니다. 저는 EFI 시스템파티션을 포맷해버리면 여러가지 부팅 메뉴를 다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포맷하지 않습니다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winntsetup 2017-01-31_205303.png

 

이건 수정하지 않으시고 엔터 - 통과 하시면 됩니다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winntsetup 2017-01-31_205527.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winntsetup 2017-01-31_205654.png

 

가상머신이라서...EFI로 수정하여 부팅합니다. 실컴은 보통 mbr과 uefi 겸용이기 때문에 건드리지 않으셔도 됩니다

uefi 좋은 점이 부팅파일 만들면 자동으로 1순위로 잡히더군요. 그래서 바이오스에서 부팅순위 조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winntsetup 2017-01-31_205820.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winntsetup 2017-01-31_210008.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winntsetup 2017-01-31_210220.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winntsetup 2017-01-31_210327.png

 

--------------

위에 쓴대로 RSImageX도 EFI 파티션 만들기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중간에 파티션 만들기가 내장되지 않은 RSImageX 버전들도 있었습니다]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rsimagex 2017-01-31_222425.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rsimagex 2017-01-31_222542.png

 

이 과정은 실제로는 안 하셔도 됩니다. 저는 보여주기식으로 디스크 전체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드리기 위하여 디스크 초기화 부터 해봤습니다

밑에 파티션 만들기 하시면 먼저 디스크 초기화부터 하게 되어서 실제 하실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rsimagex 2017-01-31_222650.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rsimagex 2017-01-31_222810.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rsimagex 2017-01-31_223108.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rsimagex 2017-01-31_223255.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rsimagex 2017-01-31_223525.png

 

성공 메시지의 확인을 클릭하셔야, 다음 스샷에 나오는 부팅파일이 만들어집니다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rsimagex 2017-01-31_223553.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rsimagex 2017-01-31_223734.png

 

PE 32비트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하는 방법-rsimagex 2017-01-31_224119.png

 

저도 사실은 디스크 전체를 포맷할 일은 거의 없기 때문에 이렇게 해본 것은 별로 없어서 새롭네요.

윈도 재설치 하실 때는 파티션 만들기는 필요하지 않고, 윈도만 포맷하시고 설치하시면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748 윈 도 우| MiniTool® Partition Wizard V11.5 New Released [9] skylly 2410 12 07-04
4747 윈 도 우| 유출된 영문RS1에 한글 랭귀지팩 설치 성공 [2] 반속성 2411 0 08-02
4746 소프트웨어| Samsung PC Cleaner [7] 내꼬 2411 7 05-19
4745 윈 도 우| ["석"님 배치 파일로 업데이트통합]_2 [2] 옛날에 2412 3 07-23
4744 소프트웨어| Autoit 스크립트 최적화(자료올림) [15] DeathWing 2412 18 03-18
4743 기 타| 오로지 설치 백업 복원을 위한 P2 [307] 집앞의_큰 2413 213 12-16
4742 기 타|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꾸벅~~ [142] 빨강모자 2413 166 01-01
4741 윈 도 우| 이번엔 데스크탑에 10074를 설치해보았습니다. rhfo 2414 0 05-17
4740 윈 도 우| [종료]18362.207 [231] 첨임다 2414 82 06-28
4739 기 타| Lenovo OneKey Recovery 9.0 (MBR) 백업,복원을 하여 보았... [7] 왕초보 2416 10 06-06
4738 윈 도 우| 윈도10 SMB1.0 활성 확인 해봤습니다 [스샷 많음] [15] suk 2418 13 06-13
» 윈 도 우| 32비트 pe를 mbr 방식으로 부팅하여 uefi 64비트 윈도 설치... [14] suk 2419 12 01-31
4736 윈 도 우| Windows 10 Enterprise Version 1709 (Korean) [12] 디폴트 2419 16 10-08
4735 윈 도 우| Windows 11 Pro Phoenix LiteOS 한글화입니다 [28] 슈퍼사이즈 2419 21 04-01
4734 윈 도 우| Rn w10 ltsb wmc 설치 [3] foros 2420 1 01-05
4733 소프트웨어| Office 2016 pdf 기능과 0neNote 2016 OCR TEST [2] OASUSO 2421 0 12-11
4732 윈 도 우| 디심이 백업 복원 [107] 집앞의_큰 2421 88 11-10
4731 하드웨어| 초보를 위한 UEFI 멀티 설치용 USB 만들기 [14] 밤톨이 2423 9 07-07
4730 소프트웨어| "카스퍼스키"에서 바이러스 검색 [4] 옛날에 2424 7 07-12
4729 윈 도 우| win10x32. iso 하드용배포[순수 하드용입니다] [14] 땅콩 2425 6 07-1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