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윈 도 우 PE 드라이버& 적용방법

2016.10.12 17:14

집앞의큰나무 조회:6767 추천:10

안녕들 하신지요

PE  드라이버 입니다. (디스플레이 어뎁터)

통합 하는것 아니고 Easy 개념의 드라이버라는것 먼저 밝혀두며

86PE는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가 용이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64PE에서는 장치관리자에 보면  특히 디스플레이 어뎁터가 노란깃발을 들고 있어서

해상도가 나쁘고    화면 보기가 거북한분이 가져가시면 되겠습니다.


한두대 경유하는 PE라면 드라이버 통합이라는 수단을 이용하면 되겠지만

이곳 저곳을 옮겨 다니면서 쓰는 PE라면  다홍치마의 원리상 그래픽 설치가 되는게 좋겠지요


장치관리자 디스플레이.png

위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뎁터가 설치 되지 않은 상태의 PE만  가능 합니다.

***   빌드때 기본 그래픽 드라이버를 잡은  PE는 현재 불가 하네요   곧 알아볼께요 *****


86/64  한묶음 이며  용량이 큽니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을   별도로  마운트 하는PE만  담는게 좋겠네요

아니면 꼭필요한 드라이버만 놔두고 지워서 쓰셔도 누가 뭐라 안할꺼구요

최신 글픽도라이바 다 들어 있으나 제가 일일이 확인은 못하기에  장담까지는 못해요

설치가 안되더라도 원망은 하지 마시길...


링크:https://pan.baidu.com/s/1dENep01

암호:e5hq


아참 ~!!

대충 이라도 방법을 적어볼께요  잘알지도 못하지만...


1,먼저 BCD를 확인 해봐야 하는데

일반 Bios Legacy 부팅에서는 확인이 필요없이 잘 깔리고요

UEFI  부팅부만 수정 하면 됩니다.     EFI\Microsoft\Boot 에 있는 BCD를

BOOTICE로 아래와같이 테스트모드에체크 합니다.

그래픽 드라이버랑   테스트 모드와 무슨 상관인지 모르겠습니다.. 아직은!!

UEFI부팅때  우측 하단에  테스트모드 워터마크가 생기는PE는 볼필요도 없습니다. 그냥 됩니다.


  BCD.png


2, 실행 되게 하는 방법 입니다.

    2-1)부팅때 자동 설치를 하고 싶으면

          대부분의 PE      System32 폴더에 있는   autorun.cmd에 아래의 구문을 넣어주면 됩니다.

         마운트를 Y로 하는PE는   아래처럼   하면 되구요

         Program Files에 넣으실분은 X:\Program Files로  시작하면 되겠네요


          Hiderun.exe Y:\PEApps\PEdrv64\VGADRV.cmd auto2             디스플레이 설치

          Hiderun.exe Y:\PEApps\PEdrv64\NETDRV.cmd auto2             네트워크설치      


    2-2) 부팅후 수동설치를 하고 싶다면

           만운트된 드라이브가   Y 일때   Y:\PEApps\PEdrv64\VGADRV.cmd  와  NETDRV.cmd 를 

           바로가기 링크로 빼거나    PECMD.INI에  링크 시키면 되겠습니다.


끝으로    드라이버 서명 확인창   설치 하시겠슴꽈??   이런것 안나오게

            아래와 같이 레지 적용이 되어 있으니까 수정 하지 않아도 될거예요


            REGI HKLM\SYSTEM\Setup\SystemSetupInProgress=#1
            REGI HKLM\SYSTEM\Setup\SystemSetupInProgress=#0

  

            깊이 있는 강좌는 아니고  팁정도로 봐주세요   용이하게 쓰시고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294 소프트웨어| PE에서 작업표시줄과 시작메뉴에 아이콘 고정에 대해서. [15] 대추사랑 2422 16 02-12
293 소프트웨어| Win10PE 2016_LTSB_x64 PE 만들기 [24] 대추사랑 6003 25 02-12
292 윈 도 우| PE 드라이버 설치 (솔향PE 해상도 조정) [14] 솔향 3421 11 01-04
291 윈 도 우| W10 RS3 사운드카드 죽는 현상 해결하기 TetraTheta 2773 1 12-30
290 윈 도 우| 만능 윔 설치 파일 만들기 [13] kenshin007 10679 26 12-25
289 하드웨어| PE 드라이버를 준비하는 Tip [8] 집앞의_큰 4405 7 09-02
288 윈 도 우| PE용 드라이버팩 다운로드 사이트 [6] 히이이잌 3635 3 06-29
287 윈 도 우| 윈도우7 을 재설치 없이 메인보드 교체하기 [2부] [13] gooddew 3934 4 05-16
286 윈 도 우| PE Wim 파일을 iso 파일에 추가하기 간단설명 [56] 선우 10892 19 04-21
285 윈 도 우| USB에 iso 파일 설치하기 간단설명 [37] 선우 5350 16 04-21
284 윈 도 우| 에즈윈, AMD AM4 메인보드 Windows 7 설치 패치 프로그램 [3] 번개 2655 0 03-26
283 윈 도 우| 윈도우10 시스템 복원 활성화 및 복원 지점 설정 방법 [2] 컴맹이ⓗ 5465 1 03-25
282 윈 도 우| Windows 7 Starter - light setup & tweak [4] 지후빠 3391 8 03-23
281 윈 도 우| 윈도우에서 ELAM (Early Launch Anti-malware) 비활성화 방... Star★Bros 1975 1 02-18
280 윈 도 우| Windows Sysprep 팁 [25] CraXicS 10303 15 01-18
279 윈 도 우| 윈도우10 IDE 모드 와 AHCI 모드 상호 전환하기 [22] gooddew 12992 19 01-08
» 윈 도 우| PE 드라이버& 적용방법 [14] 집앞의큰나 6767 10 10-12
277 하드웨어| 인텔 USB 3.0 에 대하여... (내용추가) [21] 디폴트 6637 10 10-10
276 소프트웨어| PE에서 AOMEI Backupper 백업안되는 문제 해결방법 [50] 지연서연아 6057 12 10-07
275 윈 도 우| 네트워크 어댑터 없다고(인터넷 연결안됨) 뜨는 현상 [13] 삿갓구름 10803 5 09-05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