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WIN10PESE 윈도우 원본교체후 BUILD 체험기

2016.04.03 13:06

선우 조회:1918 추천:12

안녕하세요

휴일을 맞이하여 윈도우 PE빌드했던 PE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궁금 하던 차에 주주앤님께 자문을 구하여 윈도우10 원본 dvd

파일을 교체하여 빌드를 하여 보았습니다 일단 여러가지 문제들이 당연히 나타 나는것일테고

워낙 초보인 저가 수정 하기엔 힘든 상황이라 테스트후 나타난 현상에 대하여 몇가지만 올려 봅니다


ko_windows_10_pro_10547_x64_dvd
ko_windows_10_enterprise_10525_x64_dvd


상기의 두 파일은 저가 테스트 하였던 원본 순정 윈도우들 이구요 여기에선

프로그램들이 대부분 실행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제목표시줄 색상이 정상대로

바뀌어 진다고 콜레오님과 주주앤님께서 말씀하셨는데 저는 뭔지 감이 오질 않네요

위의 두파일을 적용해서 빌드 하였을땐 윈도우 기본값 테마의 아이콘 사진이 출력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FastStone Capture 를 실행하여 캡쳐하면 프로그램이 종료되어 버리는 버그가 있었습니다

그외 대다수 프로그램들이 에러를 보여 주었습니다


ko_windows_10_enterprise_version_1511_x64_dvd_7225029


위의 파일로 테스트 하였을땐 상황이 많이 달랐습니다 FastStone Capture 로 캡쳐 하였을때 잘 되었구요

이미지 파일 저장도 잘 되었습니다 그리고 포터블 포토샵도 실행 하여 jpg 변환후 저장시 바탕화면이 새카맣게

되어 버리는 현상은 있었는데 그래픽이나 메모리 관련 에러 같았습니다 또한 많은 프로그램들이 동작을 해주더군요

몇가지 안되는게 있었는데 아래 사진으로 내려가며 보겠습니다


sG19.png

sG21.png

WIN10PESE 빌드시 체크 하였던 내용들 입니다




sG14.png


우선 ko_windows_10_enterprise_version_1511_x64_dvd_7225029

상기의 원본으로 빌드 하면서 FastStone Capture 를 포터블 추가하는 셋팅 창에서 연결하여 설치를 하였습니다




sG15.png


VMware 내부에서 FastStone Captuer를 실행하여 자체 캡쳐를 하여보았습니다 일단 편집기 창이 뜨면서 캡쳐가 되었네요




sG17.png


그리고 이미지 저장이 가능 하였습니다


ko_windows_10_pro_10547_x64_dvd
ko_windows_10_enterprise_10525_x64_dvd

상기의 두 파일로 빌드를 하였을땐 이미지 저장이 안되고 FSCapture 가 강제종료 되어 버리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sG22.png


윔툴이 DLL을 요구합니다




sG23.png


EasyBCD 도 에럭가 발생 하는데 이건 콜레오님 말씀처럼 NET Framework 를 추가 하면 실행이 될것 같군요




sG24.png


콜레오님 말씀처럼 DISM GUI 도 넷프레임웤을 요구 합니다




sG25.png


카카오톡도 실행이 되는군요 @@




sG26.png


포터블이 업데이트 안되어 로그인 실패로 나옵니다 ㅜㅜ




sG27.png


오피스 엑셀 프로그램이 저가 알수없는 에러로 인해 실행이 거부됩니다

이건 오히려 전의 파일에선 실행은 되었는데 문서를 열려고 하면 종료되어 버리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sG28.png


포토샵을 실행해 보았는데 잘 됩니다




sG29.png


포토샵 실행이 완료 되었군요




sG30.png


메뉴보기 원할하게 동작 합니다




sG31.png


사진한장 불러와서 간이작업 해봅니다 컬러조정 되네요^^*




sG32.png


포토샵은 리소스를 많이 차지하는 프로그램이 아닌가요? 명부암부 번갈아 가며 선택을 하여 보았는데

잘 진행 되었구요 레이어 복사도 실행하여 보았는데 막 잘 되네요 ㅋㅋㅋ




sG33.png


대충 그렇게 해놓고 저장을 해보려고 합니다




sG34.png


새이름으로 저장 jpg 선택하여 주고 저장 해봅니다




sG35.png


퀄리티 지정하고 확인하여 봅니다 여기서 언듯 메모리 뭐뭐 뭐 란 글자가 살짝 보이면서 화면이 시커멓게 변해 버렸습니다...ㅜㅜ




sG36.png


ko_windows_10_pro_10547_x64_dvd
ko_windows_10_enterprise_10525_x64_dvd

상기의 두 파일로 빌드를 한것은 똑같이 위의 스샷처럼 윈도우기본값 테마의 사진이 검게 나옵니다

아래도 보시면 바탕화면 늘리기 확대 셋팅하는 곳이 없구요




sG37.png


ko_windows_10_enterprise_version_1511_x64_dvd_7225029

상기의 파일로 빌드를 하였을땐 이렇게 정상적으로 테마 파일 썸네일이 정상적으로 표현이 됩니다

그리고 아래로 보이는 바탕화면 배경 쪽과 색상변경 하는곳이 나타나 보입니다 하지만 실행은 되지 않더군요



일단 너무 궁금하여 이렇게 저렇게 몇가지로 빌드해보고 테스트 해보는 사이에 시간이 벌써 오후로 접어들었군요

오늘 날씨가 찌뿌등 하여 꽃구경 하시는데 차질이 많으신가요 그래도 힘내시고 즐거운 휴일 보내시길 바랍니다

위의 PE에 대하여는 저 보다 월등히 실력이 좋은신 분들의 도움을 받아야 될것으로 보이는군요

저도 가만 있지는 않고 다른 윈도우 원본 파일을 구하여 계속 빌드해볼 생각 입니다

PE빌드에선 건드리지 않은 깨끗한 윈도우가 필요한가 봅니다 그점을 참고하여

정보 아시는 분들은 조언좀 주시면 감사 드리겠습니다 그럼 허접하나마 빌드 하였던 체험기

포스팅을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즐거운 휴일 되십시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4062 소프트웨어| 반디집MSE 앱버전 간단 사용기 [11] 내꼬 1744 15 04-05
4061 기 타| ChkDskGui 단일 파일 사용기 [10] DengJang 1345 15 06-26
4060 기 타| 빈**님과 입**님, 와*님께 감사인사드립니다. [15] 더불어~~~ 578 15 04-29
4059 소프트웨어| Driver Easy Pro 5.71 [15] 4k8k 2623 15 04-26
4058 윈 도 우| CHUM_KJ-PE-Win11-708.iso _VHD_Boot [25] 4k8k 1931 15 05-27
4057 윈 도 우| Windows 11 (22000.706) 업데이트 설치 테스트 [12] suk 965 15 05-21
4056 기 타| PE에서 플루이드 모션 사용기 (AMD+팟플레이어) [32] DengJang 1635 15 07-03
4055 보안 / 해킹| 디펜더 죽이기 페이크 힌트(이름변경) [2] 내꼬 1076 15 12-28
4054 기 타| qnd님 297mb 인터넷 Wifipassword..버전 부팅기 입니다 [13] 왕초보 1000 15 10-18
4053 윈 도 우| Windows 11 (22622.586) 2022.08.25 베타 채널 [11] suk 704 15 08-25
4052 윈 도 우| 이비자4.5번 컴 재부팅하면 시계표시안된문재해결환료 수정중 [8] V무등산V 636 15 09-07
4051 기 타| cmd 창 포지션 고정 레지 [12] DengJang 645 15 12-08
4050 기 타| R-DriveImage Linux 버전 활용하기 입니다 [11] 왕초보 830 15 10-07
4049 기 타| Easylight+ 왕초보님 PE 사용기 [24] qnd 884 15 01-11
4048 윈 도 우| DeskLnk, SuperHidden, SwitchTheme - cmd 수정 사용기 [11] 지후빠 1098 15 10-21
4047 기 타| 지후빠님 WinXShell 강좌를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8] 왕초보 843 15 10-21
4046 기 타| 화면 스크린샷만........이씀2. [12] 빨강모자 480 15 10-23
4045 소프트웨어| SetDpi(모니터 DPI 변경) [5] 내꼬 962 15 11-27
4044 기 타| 노랑**님의 Windows_XPE_147 수정본 사용기 [15] 시종일관 860 15 12-19
4043 기 타| Win7용 ADK의 StartCD.exe를 런처로 활용을 하여 보았습니다 [9] 왕초보 790 15 11-12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