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윈10 10586빌드 통합용 테스트

2016.02.05 15:09

suk 조회:5311 추천:12


wim 파일만 있는 윈도 파일, 그외 여러가지 윈도 통합하신 경우...install.wim만 넣으시면 되는 파일입니다

보통은 32비트 사용하시면 되고 -64비트까지 설치됩니다- uefi모드인 경우 64비트 사용하시면 됩니다


uefi모드는 또 하나의 핸디캡이 있는데요. 메인보드에서 ntfs포맷 usb 부팅을 아직 지원해주지 않는 경우가 있더군요. 최신 보드라도

그래서 결국 범용적으로 fat32 포맷으로 구성하셔야 하는데요. 이러면 단일파일 4G 제한이 발생합니다

울트라iso로 무심코 구으면 fat32로 자동포맷이 되어서 질문게시판을 장식하곤 했었죠..install.wim 파일이 이상하게 잘려서..


암튼 install.wim을 잘라서 넣으셔야 합니다. 이때 또 주의사항이 있는데요

uefi모드는 64비트만 사용하신다고 64비트만 추출하시면? 안 됩니다. 왜? 자르는데도 또 용량 제한 이런게 있지요

32비트 파일을 밑에 깔아줘야 잘라도 문제가 안 생깁니다. 64비트는 순정이면 용량이 적어서 통과입니다만

업데이트 통합본은 용량 때문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습니다. 그래서 그냥 32비트는 번들로 놔두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uefi모드는아직fat32로포맷해야부팅되는메인보드가많아서이렇게잘라야합니다2016-02-05_141832.jpg



imagex /split z:\sources\install.wim e:\sources\install.swm 4095


Dism /Split-Image /ImageFile:L:\sources\install.wim /SWMFile:q:\install.swm /FileSize:4095


윈8 이상인 경우는 그냥 윈도 내장 dism으로 하시면 되고, 윈7인 경우는 imagex로 하시면 되실 겁니다

하긴 dism만 추출한 파일로 하셔도 되긴 됩니다만...파일이 많죠. imagex가 간단하실 듯 하네요

제가 호기심에 4096 으로도 해봤는데요. 용량이 크다고 제한에 딱 걸리더군요. 그래서 4095 MB가 최대치입니다. 자르는..


아...통합본 iso를 마운트 하시고 위 작업 하시면 됩니다. 뒤에 파일 이름과 확장자는 반드시 install.swm으로 해주셔야 합니다

윈도 setup.exe은 install 이름만 인식합니다. swm은 wim을 자른 파일이라는 확장자입니다.


uefi모드는아직fat32로포맷해야부팅되는메인보드가많아서이렇게잘라야합니다-64비트뼈대iso에넣습니다2016-02-05_142044.jpg


이것을 통합용 기초파일 sources 폴더에 넣으시면 됩니다

아니면 통합용 기초파일=뼈대파일 부터 usb에 구으시고...usb의 sources폴더에 넣으셔도 됩니다.


자르기 싫으시면? 기초파일로만 usb로 부팅하시고...sources폴더 install.wim 포함 한 파일들은 ntfs포맷에 넣어두시면 됩니다

그게 다른 usb가 되었든, 외장하드가 되었던...파티션 된 같은 usb이든지...그냥 내장 하드이든지 관계없습니다

루트에 sources폴더에 두시면 알아서 윈도 설치프로그램이 검색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드라이브 순서에 주의하셔야겠죠

먼저 걸리는 것이 당첨 되므로..[이 부분은 밑에서 보충합니다]


uefi모드는아직fat32로포맷해야부팅되는메인보드가많아서이렇게잘라야합니다-64비트뼈대iso에넣습니다2016-02-05_142808.jpg



uefi모드는아직fat32로포맷해야부팅되는메인보드가많아서이렇게잘라야합니다-64비트뼈대iso에넣습니다2016-02-05_143133.jpg



uefi모드는아직fat32로포맷해야부팅되는메인보드가많아서이렇게잘라야합니다-64비트뼈대iso에넣습니다2016-02-05_143215.jpg


uefi모드는아직fat32로포맷해야부팅되는메인보드가많아서이렇게잘라야합니다-64비트뼈대iso에넣습니다2016-02-05_150754.jpg


참고로, GPT 디스크 아니면 위와 같은 EFI 시스템파티션은 생길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나름 인증샷으로 맨날 디스크관리 보여드리는 겁니다. MBR 디스크에는 저 파티션 만들 수 없습니다


MBR은 32비트 sources 에 install.wim으로 넣으시면 되므로...굳이 글은 안 썼습니다

uefi모드는 여러가지로 어려움이 있어서 글로 써봤습니다.


* 윈10 이면 다 됩니다. 레드스톤도 - 윈10에서 상위 빌드도 되므로...윈7과 윈8.1도 됩니다

래서 지난 번 10240 빌드로 만든 뼈대 파일로도 됩니다만..그냥 최신빌드로도 만들어봤습니다


----------------------

2016-02-21 05:04 

댓글보고 install.wim을 자르지 않고 설치하는 방법에서 좀 글을 잘못 쓴 것을 발견했습니다. 아는 것이지만 실제 사용할 일이 별로 없어서 깜박했군요

해당 iso 파일에서 sources폴더에서 boot.wim만 빼고 전부 삭제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setup.exe만 삭제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해당iso에 sources폴더를 원하시는 드라이브에 복사하시고 - boot.wim 포함, 전체를 복사하셔도 됩니다 - install.wim만 추가하시면 됩니다

원리는 먼저 부팅한 setup.exe를 찾고 없으면, 각 드라이브의 루트의 sources폴더의 setup.exe를 찾아서 install.wim을 찾습니다. 


또는 그냥 방금 위에 sources폴더만 이용하셔서 하드에서 설치하기로 하시는 것도...

sources폴더에 boot.wim만 부팅등록하시면 됩니다. 방법은 다양합니다. 

그리고, boot.wim은 사실 sources폴더에 있어야 한다는 제약도 없이 자유입니다. 아무데서나 부팅해도 됩니다. 

setup.exe과 install.wim이 제약이 있습니다. 이것도 수동으로 지정해주면 제약이 없어집니다만, 그냥 사용하면 제약이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834 소프트웨어| 드라이브 문자 할당 & 제거하기 bat 테스트 [12] suk 2311 8 02-15
3833 윈 도 우| Windows 10 Pro K th2 10586.104 (x64) 간략 설치기 [24] it초보 4431 4 02-15
3832 윈 도 우| UEFI모드에서 보험용 EFI 파티션 만들기 [12] suk 4278 4 02-14
3831 윈 도 우| Oneclick 윈도우 7 설치 [20] 터치잇 4921 10 02-14
3830 윈 도 우| Windows 10 Version 1511 Build 10586.104 [3] Waffen-SS 3864 3 02-13
3829 윈 도 우| 윈도우7 업데이트 확인 느릴 때 해결 방법 한 가지 [12] 휘슬링 5581 6 02-13
3828 윈 도 우| 빈자리님 Windows7 Pro K x86 VMware설치과정 스샷 해봤습... [14] 선우 2206 4 02-13
3827 윈 도 우| 빈자리님 무봉인 Windows7 Pro K x64 설치 하였습니다 [23] 선우 3329 7 02-12
3826 소프트웨어| 석님의 랜섬웨어 감지용 프로그램 좋네요 [5] 오늘을사는 3275 2 02-12
3825 소프트웨어| [수정]랜섬웨어 감지용으로 만들어봤습니다. 개인용 [26] suk 4391 13 02-11
3824 기 타| 외장하드 멀티 부팅하기-멀티 윈도 설치와 PE부팅 [28] suk 9403 12 02-11
3823 소프트웨어| 프리모캐쉬.. 성능이 좋아졌군요.. [6] bleach 3691 1 02-09
3822 소프트웨어| 7 Star 브라우저 잠깐 사용기 [7] BLIFE 3348 2 02-06
3821 윈 도 우| GWX 폴더 접근 제한하기 [1] gooddew 1915 3 02-06
3820 하드웨어| 최근 구입한 4테라 배드섹터 하드 근황 [6] suk 3451 1 02-06
3819 윈 도 우| 일전에 윈도우7 만능고스트를 만들다 [5] jang3554 4148 1 02-05
» 윈 도 우| 윈10 10586빌드 통합용 테스트 [19] suk 5311 12 02-05
3817 윈 도 우| 윈도우10 NetWork Ux Broker 에러 번개 1532 0 02-05
3816 소프트웨어| WinNTSetup.exe도 가상머신 vhd 설치 가능하군요 [9] suk 2652 6 02-05
3815 윈 도 우| EZ vhd용량축소 [9] 虎視 2436 6 02-04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