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윈 도 우 UEFT GPT 디스크 형식으로 윈도우 vhdx 자식 2개 운영하기

2015.12.22 13:16

ANT-MAN 조회:4200 추천:4

뭐 사진은 없습니다 바빠서 캡처할 시간은 없어서 나중에 자세히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UEFI GPT 디스크 형식에서 사용하는 vhd, vhdx 강좌는 진짜 거의 없는 것 같아서 올려봅니다. 툴을 사용하는 방법은 아니고 전 그게 더 어렵고 복잡하다고 느껴져서 고전직인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과거 스누피님 블로그를 통해서 터득한 방법입니다. 자식 vhdx 파일 생성하는 부분 까지 똑같고 부팅 메뉴에 등록해 주는 건 스누피님이 배치 파일을 만드셨는데 그건 vhd는 되는데 vhdx는 먹히질 않아 뺏습니다.(UEFI 환경에서도 작동되게 수정했는데 GUID 값을 알아내서 부팅 메뉴에 등록하시는 방식이 부모를 살짝 건드리는지 블루 스크린이 뜨더군요. 그래서 bcdboot를 사용했습니다.)



1. 윈도우 설치 이미지를 DVD나 USB 드라이브에 굽습니다 그리고 부팅할 때 F2나 DEL 키를 연타하여 UEFI BIOS로 진입합니다. 거기서 Boot(부팅) 부분에서 부팅 순서를 UEFI:~~나 USB-UEFI:~~~ 를 1순위로해주고 저장하면 다시 부팅하게 됩니다. 아무 키나 누르라고 하면 아무 키나 눌러줍니다.


2. 파티션 나누는 부분에서 이미 윈도우가 GPT 형식으로 설치되어 있다면 보통 파티션이 4개로 나눠져 있죠 그걸 걍 다 삭제해서 합쳐버립니다. 그리고 [새로 만들기]를 눌러주면 GPT 형식으로 4개가 만들어 집니다. MSR 파티션 같은 거  필요없다고 걍 diskpart로 수동으로 하는 분들이 있는데 전 자동으로 나눠지는게 편해서 그걸 사용합니다.


3. 4개 파티션이 생성되면 그 중에서 뭐 맨 밑에꺼 주 파티션 선택하고 [포맷] 버튼을 눌러저 파티션을 포맷해줍니다. 그리고 Shift + F10 눌러서 아래 명렁어를 입력하여 부모 vhdx를 생성해 줍니다. 메모장에 저장해 놓고 복붙하시면 됩니다.


md G:\VHD  <--G 드라이브는 앞의 과정에서 포맷한 파티션. VHD 폴더를 생성하여 그 안에 vhdx 파일들을 넣어 깔끔하게 관리하기 위함입니다.
diskpart
create vdisk file=G:\VHD\win10.vhdx maximum=102400 type=fixed <-- 저 같은 경우는 HDD에서 사용이라 고정 방식으로 했는데 SSD 사용자는
attach vdisk                                                                                     expandable로 사용하시면됩니다.
convert gpt
create partition primary


4. 그리고 명령 프롬프트 종료 후 파티션 화면에서 [새로 고침] 눌러주면 100GB 짜리가 생성됩니다. 용량은 위해서 알맞게 하시면 됩니다. 100GB 짜리 선택 후 설치하시면 됩니다.


---------------------------------------------------------------------------------------------------------------------

여기 까지가 GPT 디스크 형식으로 파티션 나누고 부모 vhdx 파일을 생성하여 윈도우를 설치하는 과정입니다.

초보자를 위해 BIOS 진입부터 파티션 나눈 것 까지 자세히 설명하느라 내용이 길어졌는데 해보면 진짜 별거 아닙니다

---------------------------------------------------------------------------------------------------------------------


5. 설치하고 난 다음 업데이트 하고 드라이버, 백신, 프로그램 등등 설치할 꺼 다 해주고 설정도 다 해줍니다. 그리고 자식 vhdx를 생성하면됩니다.


6. 스누피님의 자식 2개 운영하는 방법인데 윈도우 설치 이미지로 부팅하여 Shift + F10 눌러서 명령 프롬프트 띄우고 아래 스크립트 복붙해줍니다. vhdx 파일 이름은 마음대로 수정하셔도 됩니다. 여긴 드라이브가 C가 되는데 PE상에서는 D드라이브가 C로 바뀌기 때문입니다.

diskpart
create vdisk file=C:\VHD\child1.vhdx parent=C:\VHD\win10.vhdx
exit
copy C:\VHD\child1.vhdx C:\VHD\child2.vhdx
copy C:\VHD\child1.vhdx C:\VHD\clean.vhdx


---------------------------------------------------------------------------------------------------------------------

여기 까지가 child1.vhdx, child2.vhdx, clean.vhdx 파일을 생성해 주는 과정입니다.

(자식 1번, 자식 2번, 깨끗한 자식 이렇게 총 3개를 생성해 주는 과정입니다.)

---------------------------------------------------------------------------------------------------------------------


7. 그리고 자식 vhdx 파일을 부팅 메뉴에 등록해 줘야 합니다. 먼저 아래 명령어로 EFI 파티션에 드라이브 문자 할당해줍니다.

diskpart

lis vol

sel vol 3 <-- 150MB 파티션을 찾아서 선택해 줍니다.

assign letter=S 드라이브 문자 S를 할당합니다.


그리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자식 1번을 부팅 메뉴에 등록해 줍니다.

diskpart

sel vdisk file="C:\VHD\child1.vhdx"
attach vdisk
select partition=1
assign letter=V
exit
bcdboot V:\windows /s s: /f uefi /L ko-kr <-- V: child1.vhdx 파일이 탑재된 드라이브 이름, S: EFI 파티션


자식 2번을 탑재하기 위해 아래 처럼 child1.vhdx 탑재된 것을 분리해줍니다.

sel vdisk file="C:\VHD\child1.vhdx"
attach vdisk

detach vdi


그리고 다시 아래 스크립트로 자식 2번을 등록해 줍니다.

diskpart
sel vdisk file="C:\VHD\child2.vhdx"
attach vdisk
select partition=1
assign letter=V
exit
bcdboot V:\windows /s s: /f uefi /L ko-kr


---------------------------------------------------------------------------------------------------------------------

여기 까지가 자식 1, 2번을 부팅 메뉴에 등록해 주는 과정입니다.

배치 파일이나 다른 툴로 편하게 할 수도 있겠지만 블루 스크린이 뜨기도 해서 bcdboot를 사용합니다.

---------------------------------------------------------------------------------------------------------------------


그리고 명령 프롬프트 창 꺼주고 부팅 순서를 다시 Windows Boot Manager인가? 그걸로 해줍니다. 부팅 메뉴 화면이 윈도우8 부터 바뀌었기 때문에 이름이 다 Windows 10으로 뜨더라도 밑에 child1.vhdx 이런식으로 적혀 있기에 구분이 될겁니다. 자식 1번, 2번 중에 아무거나 부팅합니다.


부팅 메뉴를 기존 도스 화면처럼 뜨게 하려면 찾아보면 나옵니다 전 부팅 과정이 2번 되더라도 윈도우8부터 바뀐게 좋아서 그걸로 사용 중입니다.


부팅한 다음 첨부한 윈도우 7 BCD 종합 관리도구.zip를 통하여 압축을 풀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6번을 눌러서 부팅 메뉴 이름을 수정해주면 됩니다. 이러면 자식 2개 운영하기 끝입니다.


스샷도 없고 내용이 많아서 그렇지 별거 아닙니다. 저 스크립트를 [부모 vhdx 만들기] / [자식 vhdx 만들기] / [자식 1, 2번 부팅 메뉴에 등록하기] 이런식으로 구분해서 메모장에 적어둔 다음 USB 드라이브 등에 저장해 두고 복사 붙여넣기를 통해서 가져오면 아주 편하게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Shift + F10 누르면 나오는 명령 프롬프트에서 notepad 입력하여 메모장 띄우고 저장된 텍스트 파일 불러오면 됩니다. 텍스트 파일에서 해당 스크립트 부분만 복붙 해주면 끝이죠.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2868 기 타| Baidu 다운로드 받기 [4] 가자™ 6042 4 01-04
2867 소프트웨어| 랜섬웨어 치료(암호해독)프로그램 배포★ [13] Star★Bros 7854 8 01-03
2866 윈 도 우| 윈도우7,8에서 로그인암호를 잃어버리거나 생각이 안날때 ★... [5] Star★Bros 5418 2 01-03
2865 모 바 일| [팁] 아이폰에서 기본 앱 숨기기 asklee 3503 0 01-03
2864 윈 도 우| 윈도우 10 옛날 볼륨컨트롤로 복원하기 ★ [5] Star★Bros 4493 4 01-03
2863 윈 도 우| 모르고 넘어갈 수도 있는 간단한 팁 ★ 윈도우업데이트 바로... [6] Star★Bros 7213 4 01-02
2862 윈 도 우| 윈도우10 탐색기의 기본공유폴더 표시삭제하기 ★ [13] Star★Bros 6019 6 01-02
2861 서버 / IT| 가입 통신사DNS 와 구글 DNS를 IPv6로 지정하기 ★ [10] Star★Bros 6550 9 01-01
2860 윈 도 우| 윈도우10 windows 사진뷰어로 복원시키기 ★ [17] Star★Bros 6392 5 12-31
2859 소프트웨어| Windows Update MiniTool 한글 적용하는 방법 [11] suk 3991 6 12-30
2858 소프트웨어| 탐색기종료후 재시작을 간편하게~ ★리뉴탐색기 v0.9 배포 [6] Star★Bros 3120 2 12-30
2857 윈 도 우| 부팅시 항상 F8키를 눌러 부팅메뉴로 진입할 수 있게하기 ★ [2] Star★Bros 4114 2 12-30
2856 서버 / IT| 마소 서버2012R2 인텔 I218-V 드라이버 설정하는 방법입니... [3] 쏘가리차차 2539 0 12-29
2855 윈 도 우| 윈도우10에서 기본적으로 허용되어있는 개인정보데이터수집... [5] Star★Bros 6104 8 12-29
2854 윈 도 우| 윈도우10에서 드라이버 서명적용 체크 영구적으로 해제하기 ★ [4] Star★Bros 4882 2 12-29
2853 기 타| [팁] NAS(시놀,헤놀)관련-서버에 간단히 torrent 다운로드 ... [5] sokury 3568 0 12-28
2852 윈 도 우| IE 11 인터넷 익스플로러 옵션 레지스트리 [6] 또냥이 8389 5 12-27
2851 윈 도 우| 작업표시줄(보관용) 머린 3425 2 12-26
2850 윈 도 우| 꼴보기 싫은 windows.old 폴더 깨끗이 삭제하기 ★ [8] Star★Bros 6779 5 12-25
2849 윈 도 우| MediaCreationTool 0x8000FFFF - 0x20016 에러 솔트 2242 1 12-25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