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윈 도 우 윈도 ESD파일 간단하게 설치하기

2015.09.20 22:11

suk 조회:11537 추천:15

특히 요즘 인사이더 프리뷰는 윈도 업데이트로 배포될때는 ESD 파일로 다운로드 됩니다. [다운로드 도중에는 엉뚱한 이름과 확장자입니다]

다운로드 완료 되면 잠시 원본 ESD로 존재하다가 해독되어서 install.esd 파일로 됩니다.


원본 esd는 해독되지 않아서..그냥은 설치가 안 됩니다. 

rsimagex나 winntsetup이 esd 설치지원을 합니다만..어디까지나 해독된 esd 파일 입니다


또 툴 중에 esd < > wim도 있는데...역시 마찬가지로 해독된 esd만 해당됩니다

그래서 원본 esd는 반드시 해독하는 과정을 밟아야 합니다. 이런 면에서 불편합니다만...그래도 원본의 값어치 때문에 원본을 고집합니다

편의성으로만 보면 해독된 install.esd가 좋습니다. [파일이름과는 달리 내용물은 iso입니다] 그래도 뭔가 파일 이름도 개성없고..그렇죠


암튼 그리하여 원본 esd를 사용하는데요. iso로 변환하려면 좀 귀찮습니다. 시간도 3~5분정도 걸립니다

원본 esd를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은? 사실 위에 이미 답이 나와있습니다. 해독만 하면 됩니다. 해독은 또 순식간에 됩니다

원본 esd를 보존하려면 백업하는 복사시간이 추가됩니다만...원본 esd 보존하지 않는 경우는 정말 순식간에 해독됩니다


윈10-10547-원본esd향기-수정한날짜-2015-09-20_214140.jpg



원본 esd 보존하시려면, 원본을 복사하셔서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이 decrypt.cmd는 원본 백업해주지 않습니다



윈10-10547-esd해독만하면1초도안걸립니다.jpg


5번이 바로 해독만 해주는 옵션입니다 [참고로, 백업 ON으로 하려면 9번 누르면 된다고 나와있네요.9번부터 누르고 5번 누르시면 됩니다]


윈10-10547-esd해독만하면1초도안걸립니다2.jpg


정말 순식간에 끝납니다. 1초도 안 걸립니다.



윈10-10547-esd해독만하면1초도안걸립니다-rsimagex로못읽죠.jpg


rsimagex로 하면 기본 imagex.exe로 설정되어 있어서...해독된 esd 파일이라도 읽지 못 합니다

오른쪽 위에 dism 체크하시면 읽을 수 있습니다 


윈10-10547-esd해독만하면1초도안걸립니다-rsimagex로못읽죠-dism은esd파일읽습니다.jpg



그냥 dism 체크한다고 바로 읽지는 못 하고, 새로 고침하고 다시 파일 선택해야 합니다


설명을 위하여 이렇게 돌아왔습니다만...

esd로 설치하시려면, 처음부터 dism 체크부터 하시고 esd 파일 선택하시면 됩니다


윈10-10547-esd해독만하면1초도안걸립니다-rsimagex로못읽죠-dism은esd파일읽습니다-밑에파일검색으로다시찾아보면맨아래에방금선택한파일이있습니다.jpg


esd 파일은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항상...iso 파일이기 때문에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install.wim에 해당하는 파일은 항상 4번에 있습니다.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무조건 4번 선택하시면 됩니다~


보충: 1,2,3번은 뭘까요? iso라는 것이 힌트가 될 겁니다. 2,3번은 boot.wim입니다. 본래 2개 이미지가 boot.wim에 있습니다

이 중에 항상 2번째 setup으로 부팅하여 윈도를 설치하고 계신 겁니다. 1번은 2,3,4번인 boot.wim과 install.wim을 뺀 iso 에 있는 파일들입니다


윈10-10547-esd해독만하면1초도안걸립니다-rsimagex로못읽죠-dism은esd파일읽습니다-이렇게원본esd로간단하게설치가능합니다.jpg


그러면 이렇게 별도의 cmd 창이 뜨게 됩니다

주의하실 것은 100% 완료 되면 cmd 창을 닫으셔야 다음 단계의 작업이 됩니다

100%는 단지 이미지 압축해제만 완료됐다는 뜻입니다. 다음 작업은 창을 닫으셔야 진행됩니다

활성화라든지 mbr라든지 부팅파일 만드는 중요작업이 다음에 진행됩니다[스샷은 단순히 이미지 테스트라서 체크 안 되었습니다]


[보충: 이 팁은 rsimagex 강좌는 아니고 위 스샷대로 하시면 설치 안 됩니다. bcdboot 같은 부팅 파일 만드는 것이 체크 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걸 보충하려니 너무 길어집니다. uefi모드까지 설명해야 하므로..rsimagex 사용법은 별도로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일단 간단하게 mbr 모드 설치는 윈10 설치 부분만 체크하시면 나머지 밑에는 자동 체크 됩니다. 설치_복원만 하시면 됩니다

윈10-10547-esd를rsimagex로설치방법.jpg

위에 쓴대로 100% 되면 반드시 검은 cmd 창을 닫으셔야 부팅파일이 만들어집니다.

참고로 저는 처음의 허술한 듯 한 스샷대로 해도 설치됩니다. 멀티부팅 메뉴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보충 끝]


winntsetup.exe는 제가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만, 역시 esd 파일도 읽고 설치 가능합니다. 

마찬가지로 해독된 esd 파일만 설치 가능합니다. 이건 제가 잘 사용하지 않아서 그냥 잠시 언급만 하고 넘어갑니다.


--------------

2015-09-21 01:33

rsimagex와 winntsetup 모든 버전이 esd 설치를 지원하는 건 아닙니다. 그렇지만 꼭 최신버전이어야만 설치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rsimagex는 작년 10월에 나온 2.30부터 되네요. winntsetup은 역시 관심부족으로 버전은 모릅니다만 비슷한 시기로 알고 있습니다

rsimagex에 내장 dism 버전은 윈8.1 with update만 되면 윈10 어떤 빌드라도 설치 됩니다. 그래서 작년에 나온 rsimagex로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윈10-10547-esd설치는rsimagex2.30부터가능하네요.jpg


winntsetup에도 조금 관심을 줘서...테스트해보니까 3.2.0부터 되네요. 


윈10-10547-esd설치는winntsetup은3.2.0부터가능하네요.jpg


윈7에서도 잘 됩니다. 다만, dism 버전 때문에 rsimagex는 그 당시 같이 배포된 dism폴더가 필요합니다



윈10-10547-esd설치는rsimagex2.30부터가능하네요-win7에서도됩니다.jpg


윈10-10547-esd설치는winntsetup은3.2.0부터가능하네요-win7에서도됩니다.jpg 


휴우...제목대로 알고 보면 사실은 간단한 이야기입니다. 굉장히 길어져서 괜히 복잡하게 느껴지는데요

사실 달랑 2가지 사실만 아시면 되는 겁니다. rsimagex나 winntsetup 사용법을 아시는 분들은..

rsimagex나 winntsetup이 esd 파일을 바로 설치할 수 있다는 사실과 원본 esd 파일은 decrypt.cmd 5번으로 해독만 하면 된다는 ....

달랑 이 2가지 사실만 써도 되는 팁인데...이렇게 길어졌습니다. 거기에 이런 넋두리까지 추가하여 더 복잡하게 만듦

어쩌면 2줄 요약으로 간단하게 정리가 되실 지도 ㅎㅎ;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3523 하드웨어| [카조님의 의견으로 이동] RapidShare 60초 제한 풀기 [17] 텐도진짜(Te 11549 0 12-13
3522 윈 도 우| ReadyBoost와 USB Hardware Policies [9] deeelite 11542 0 08-05
» 윈 도 우| 윈도 ESD파일 간단하게 설치하기 [15] suk 11537 15 09-20
3520 소프트웨어| 이스트소프트 알툴즈를 대체할 프로그램 "소개" [39] wmy100 11530 0 08-07
3519 소프트웨어| 한컴오피스 2014 업데이트 설정하는 법 [7] 유기농초코 11528 2 11-17
3518 윈 도 우| 변경하지 않고 사용할 때 원도우8 바로 종료하기 편리합니다. 찬별 11513 0 09-16
3517 소프트웨어| [v4.1 업데이트]오피스 2016 골라서 설치하기 v2 [15] 달마s 11512 20 09-26
3516 소프트웨어| "마우스 우클릭 드래그+복사 기능 차단" 뚫어보... [16] YhK군 11511 8 02-18
3515 서버 / IT| 윈도우 8 기본 VPN 활용하기 [1] DOS 11510 1 09-30
3514 하드웨어| 크롬에서 펌방지해제가 안되는이유 [2] 진모씨 11507 2 07-24
3513 VISTA 64Bit 설치기 [6] ASUS 11498 1 09-28
3512 윈 도 우| 윈도우 8.1로 업그레이드 하신분들, windows.old 폴더 지우기 [2] wopd 11486 1 10-18
3511 기 타| 레지스트리로 Aero Effect를 활성 비활성으로 하는 방법 [6] gooddew 11483 1 09-17
3510 VISTA의 BCDEDIT로 간단히 XP 멀티부팅정보 추가하기 [1] 오다가다 11482 0 10-16
3509 소프트웨어| 진짜 쉬운 부팅USB 만들기(2) - PowerISO 사용 [3] 그루터기 11472 10 08-19
3508 윈 도 우| 2012 & Win8에 7용 드라이버 설치법. [8] ASUS 11467 1 10-02
3507 윈 도 우| 윈도우7 부트매니저 부팅관리자 없애거나 숨기는법 [1] SEVEN 11466 1 08-17
3506 윈 도 우| 윈7,윈8 마우스 우클릭 등록레지스트리 [3] 클레멘타인 11463 3 09-06
3505 구매시 XP가 기본 장착된 모델인 경우 VISTA OEM으로 [6] 오다가다 11455 0 10-13
3504 하드웨어| VMWare에 해킨토시 설치하기 [3] PiPS 11446 0 05-2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