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wimboot를 이용한 멀티부팅추가하기

2015.09.04 21:30

불꽃초선 조회:3664 추천:6

15.jpg
이런 식으로 단일 wim으로 win8.1 로 3개의 멀티부팅상태입니다.
윈10도 하나 있는데 테스트해야할것들이 자주 생겨서 설치해놨습니다.


단일 wim하나 가지고 여러개의 멀티부팅을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제가 bcd를 wimboot를 편집해도 구성을 잘못해서 억지로 사용한 방법입니다.
wimboot는 그냥 bcd에 추가하면 부팅이 안되는지 모르것습니다.;;)
dism으로 수정하면 된다는데 아직 거기까지 해보진않았습니다.
나중에 공부해볼 생각이었는데...아직몬했네요.
GimageX 를 이용해서는 되던데 Bootice 로는 안되서.;;

별것없습니다. 초보자용으로 스샷을 다 찍어서 장황할뿐입니다.

D 드라이버가 SSD원본이구요...
D:\wimboot 폴더 안에 wim파일이 있는 상태고,
부팅 bcd는 저는 HDD안에 넣어놨습니다. O드라이버가 HDD입니다.
(아직도 160G하드를 다쓰네 하시겠지만...회사는...고장나기전엔 버리질 몬하니깐요)

wimboot설치한 상태에서 그다음에 또 같은 wim을 사용해서 멀티부팅을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wim파일 위치입니다.
윈도우 업데이트와 유틸, 한글,오피스,원격프로그램등 업무 필요파일들이 셋팅된 상태입니다.
전 항상 멀티부팅이라서...PE가 필요없는데도 이상하게 PE를 삭제할수가 없네여.;;

01.jpg

가상디스크를 만들어줍니다.
최초셋팅은 최근에 윈도우 업데이트가 한번있어서....1기가가 좀 넘어갑니다.
테스트로 해보는 것이기에 vhd는 10기가만 만들었습니다.
(뭔가 더 설치하지 않는한 이정도 크기만으로도 업무에 지장은 없습니다.)

02.jpg

디스크 초기화 후에, 포맷까지 완료하고 준비해둡니다.
e:드라이버로 잡혔습니다.

03.jpg

WinNTSetup 유틸을 사용합니다.
다른 유틸들도 되지만...전 이걸 첨에 배워서 그런지 제일 친숙한.;;
웬만하면 부팅드라이버의 위치는 C 에 있을 텐데 저는 특이하게 ssd를 뗏다 붙였다 해야해서...
O 드라이브(HDD)에다가 남겨뒀습니다.

04.jpg

잊지말고 체크해주셔야 멀티부팅메뉴가 알아서 구성됩니다.

05.jpg

설치 완료되면, ghost를 이용해서 백업해둔 gho파일을 해당 파티션에 풀어줍니다.

06.jpg

07.jpg

사용자별로 미리 셋팅을 구성해뒀습니다.
윈8.1과 윈10별로....업무자와 아르바이트용으로 각각 gho파일을 미리 백업해둔 상태입니다.

08.jpg

09.jpg

헤갈려서 다른 vhd에 풀지 마세요...
약간의 센스만 있으면 찾아내실 수 있습니다.

10.jpg

11.jpg

12.jpg

포인터만 구성되는 것이니까...1분도 안걸립니다.

13.jpg

완료되면 이렇게 초기 셋팅상태로 바로 업무 투입가능한 상태로 준비가 됩니다.

14.jpg

이렇게 한개 추가 완성.
16.jpg


PS. wimboot는 그냥 vhd생성해서 부팅메뉴 바로 수정하는 방법이 없나요.
그것만 알면 이렇게 윈셋업안해도 되고 멀티부팅 구성하는데 5분도 안걸리고 끝낼수 있을거 같은데 말이죠.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512 윈 도 우| 8.1_Enter_x64_Lite2 수정본 사용기 [20] 뿌리 1561 5 10-08
3511 윈 도 우| 8.1_Enter_x86_Lite 설치 인증샷 [51] 선우 2448 4 10-08
3510 윈 도 우| 8.1_Enter_x86_Lite 설치 중판기..ㅋ [10] 네버그린 1639 3 10-08
3509 윈 도 우| 8.1 Enter x64 Lite 설치기. [22] 뿌리 1680 4 10-07
3508 윈 도 우| 8.1 Enter x86 Lite 설치기 [19] 가지고싶은 1361 3 10-07
3507 윈 도 우| 8.1 Enter x86 Lite 초간단 설치기 [12] NaVi 1363 3 10-07
3506 윈 도 우| 8.1 Enter x86 Lite [11] 들길 1760 6 10-07
3505 윈 도 우| 8.1 Enter x86 Lite 간단 설치 사용기 [12] 칼새 1353 4 10-07
3504 윈 도 우| 8.1 Enter x86 Lite 설치기! [20] 천국과지옥 1572 6 10-07
3503 윈 도 우| 8.1_Enter_x86_Lite 설치 [15] mkv 1573 5 10-07
3502 윈 도 우| 8.1_Enter_x64_Lite 설치 인증 스크린샷 정도 입니다 [38] 선우 1708 5 10-07
3501 윈 도 우| 8.1_Enter_x64_Lite 간단 사용기 [13] go백 1522 3 10-07
3500 기 타| 통합 스크립트로 업데이트 통합하기 [17] suk 3347 5 10-06
3499 윈 도 우| windows 10 fix edition lite버젼 사용기입니다. [8] sboat123 2837 2 10-06
3498 윈 도 우| Pro x86 Ltsb 10240 Lite 사용기 [2] 칼새 2015 2 10-06
3497 소프트웨어| HDD의 파티션이 RAW로 되었을 경우에 데이터복구~ [6] 마니또우 2292 3 10-06
3496 윈 도 우| 8.1_Enter_x64_Lite 설치기 [6] mkv 1685 3 10-06
3495 윈 도 우| 8.1_Enter_x64_Lite 설치기 입니다. [13] 천국과지옥 2106 4 10-06
3494 하드웨어| Delll과 HP 노트북 분해 비교기 [1] 뷰리풀투데 3064 0 10-06
3493 윈 도 우| 8.1_Enter_x64_Lite (트윅)설치기 [15] 가지고싶은 1876 4 10-06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