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기 타 단추 모양의 전지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2015.06.28 21:47

asklee 조회:4985 추천:7

우리가 흔히 수은전지라고 부르는 단추모양의 전지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과거 단추모양의 전지 안에 수은을 사용했었는데, 다 쓴 배터리를 함부로 버려 수은 오염을 불러와 현재 수은 전지는 생산 및 판매가 금지되어 있습니다. 다만 옛날부터 써온 말이라 작은 승합차를 모두 봉고라 하는것처럼 단추 모양의 전지를 수은전지라하는데 이제는 다른 말로 바꿔야만 합니다.


단추모양(Button Cell) 전지 혹은 동전 모양(Coin Cell)의 전지라 부르는 납작한 배터리는 1차 전지로 한번 방전되면 다시 충전시킬 수 있는 2차전지와는 다르게 버려야 합니다.


요즘 나오는 대부분의 coin cell의 내부 전극으로는 리튬-이산화 망간(Li-MnO2)과 산화은(Ag2O) 그리고 알카라인 전지로 나뉩니다.


리튬 전지는 리튬 폴리머등 여러가지로 휴대전화 배터리나 그외 여러가지 전자제품의 2차 전지로 사용되나 1차전지인 Coin Cell에 들어가는 전극으로는 리튬-이산화망간이 대부분이며 기전력은 직류 3 V입니다.


리튬 코인 셀의 크기는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ion)에서 만든 것을 주로 사용하며 앞에 CR을 붙이고 뒤에 4자리 숫자로 표현합니다.


즉 컴퓨터 메인보드의 BIOS 백업과 RTC 백업용으로 주로 사용하는 CR2032를 예로 들면,


CR은 리튬 코인셀이란 뜻이고 앞에 20은 지름을 mm 로 표기한 것이며 뒤의 두자리 숫자 32는 셀의 높이로 3.2 mm 를 뜻합니다.


CR2320은 역시 리튬 코인셀에 지름이 23 mm에 높이가 2.0 mm 란 뜻입니다.


문제는 같은 규격의 코인 셀이라도 제조사마다 약간씩의 크기 차이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가지고 있는 전파시계에는 소니의 CR2450 리튬셀이 두개 들어가는데, 토시바 제품을 사용하면 배터리 커버가 닫히지 않습니다. 즉 토시바 셀이 아주 약간 큽니다. 따라서 셀을 기기 안에 내장할 경우에는 크기 때문에 같은 제조사의 셀을 구입하시는게 좋습니다. 물론 작동에는 아무 문제없습니다.


전극으로 산화은을 사용하는 전지의 기전력은 1.55 V이고 알카라인 배터리는 기전력이 1.5 V입니다. 차이점은 산화은 전지가 알카라인 배터리보다 용량이 약 50% 더 크고 전압 강하 비율이 알카라인 배터리보다 서서히 떨어집니다. 따라서 광도계처럼 일정 전압 이하에서는 작동하지 않는 기기를 사용할 경우 산화은 전지가 유리합니다.


표기법으로는 산화은 전지는 앞에 SR이 붙고 알카라인 배터리는 LR이 붙습니다.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은 리튬 셀과 같은 4자리 숫자를 사용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3476 윈 도 우| 집앞의_큰나무님의 "우클 PE 부팅" 원클릭화 (TE... [5] 레마클로 2181 7 01-23
3475 모 바 일| 갤럭시s10 카메라 간단한 필수팁 [5] ton3d 3253 7 12-14
3474 소프트웨어| 빈 폴더 구조 복사와 파일을 0byte로 복사하기 [10] 지후빠 2079 7 10-07
3473 소프트웨어| TC 선택한 파일명으로 폴더 만들기, 이동하기 [16] 지후빠 1439 7 09-14
3472 소프트웨어| 엑셀 사용자 정의 함수와 내장 함수 활용 [6] 지후빠 2414 7 09-13
3471 기 타| 트래커 매일 갱신 사이트 [5] 깨블리 4020 7 05-28
3470 소프트웨어| 1클릭으로 BCD 편집하기 [쉬운 모드, 전문가 모드] [9] 박삿갓 3325 7 01-31
3469 윈 도 우| 크롬 깔끔한 터치친화 UI 쓰기 [13] 유기농초코 17863 7 06-13
3468 기 타| dos에서 글자 색상 바꾸기 (영상) [3] 코요88 751 7 08-11
3467 윈 도 우| 배치파일로 업데이트 알림 구현하기 [5] 히이이잌 3742 7 03-09
3466 기 타| 블로그 게시글을 통해 배치파일 변수 받아오기 [3] 히이이잌 931 7 04-12
3465 기 타| 소소한 배치파일 예제 3가지 [11] 히이이잌 3789 7 10-24
3464 소프트웨어| [팁] 크롬 버전 확인하기 [8] suk 3147 7 08-10
3463 하드웨어| PE 드라이버를 준비하는 Tip [8] 집앞의_큰 4406 7 09-02
3462 윈 도 우| 윈도우즈 새로고침 안되는 증상 [10] 페이지 4137 7 03-16
3461 윈 도 우| MS 윈도우 10 탐색기 내부 광고 차단 [5] 도전정신 4521 7 03-13
3460 소프트웨어| 바이두 인증 고민해결 (인증파일정보) [60] 지연서연아 6486 7 10-20
3459 윈 도 우| SSD 최적화 설정 [18] DOS 12356 7 04-03
3458 하드웨어| 하드디스크의 비밀아닌 비밀. [34] 5tar★8ros 6051 7 02-22
3457 윈 도 우| 국민 UEFI 부팅 손쉽게 해보자! ★ [19] Star★Bros 12104 7 01-05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