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win10 - 10147 wimboot 되는군요 [오타 수정]

2015.06.19 21:55

suk 조회:3895 추천:2

저는 win8.1부터 wimboot를 한다면 전체 설치 후에 wimboot 옵션으로 캡처한 다음에 포맷하고 wimboot로 설치했습니다

이 방식이 win10도 초기에는 된 걸로 아는데요. 이상하게 어느 순간부터 캡처는 되는데 포맷 후에 wimboot 옵션이 먹히지 않더군요

그래서 wimboot 지원해주지 않나? 옵션이 달라졌나? 생각하다가...


오늘은 iso의 install.wim으로 설치해보니까 되네요. 


win10-10147빌드-Wimboot처음설치부터해야되는군요.사용하던윈도는캡처는되는데wimboot로설치가안됩니다.png


사실 프리뷰라서 그냥 사용해도 불안한 면이 있어서, wimboot는 엄두도 나지 않았습니다

가끔 궁금하면 설치해봅니다. 테스트 차원에서만...


set scratchdir=d:\scratch

set srcwim=e:\sources\install.wim

set dstwim=f:\Win10_10147.wim

set drv=c

set label=1-W10-10147K


if not exist %scratchdir% md %scratchdir% 

dism /export-image /sourceimagefile:%srcwim% /sourceindex:1 /destinationimagefile:%dstwim% /wimboot

diskpart

sel vol %drv%

format quick fs=ntfs label=%label% OVERRIDE

exit

dism /apply-image /imagefile:%dstwim% /index:1 /applydir:%drv%:\ /scratchdir:%scratchdir% /wimboot 

rd %scratchdir%

bcdboot %drv%:\windows /L ko-kr /s %drv%:


* 이상하게 오타로 저장되어 있더군요. scratchdir


iso에서 sources폴더의 install.wim 파일을 적당한 곳에 복사하신 다음에...
boot.wim으로 부팅하셔서...그냥 윈도 설치하실 때처럼 부팅하시면 ..그것이 boot.wim입니다.
시프트 + f10으로 cmd 실행하셔서...
notepad 실행하셔서..위 저장한 txt 파일 여시고...붙여넣기 방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자주 하다 보면 숙달됩니다.

diskpart
list vol로 드라이브 문자를 찾아내셔도 되고 notepad로도 드라이브들이 다 나옵니다.
wimboot를 win10에서 버렸다고 하시는 분도 계시던데요. 아직은 안 버린 듯 합니다 ㅎㅎ

--------------------
2015-06-19 22:39
win8.1에서 옆파티션에 win10을 위 방식으로 wimboot 설치가능하네요. 
저 같은 경우는 괜히 boot.wim으로 부팅한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윈도에서 작업하는게 편합니다. 쓸쓸한 boot.wim보다는...

win10-10147-wimboot멀티부팅.jpg

-------------------
2015-06-20 00:07
위에서도 뭔가 착각을 했군요. 음. 결과적으로는 문제가 없었습니다만
iso를 마운트한 h:\의 install.wim을 지정해주면 됩니다. 저는 이미 하드에서 설치하기 방식으로 설치를 했기 때문에
별도로 복사해둔 install.wim이 있었기 때문에 그걸 지정했군요. iso 마운트만 한 상태에서 전부 가능합니다. 윈도에서 하는 경우는..
마운트한 install.wim을 직접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어차피 wimboot로 처리하면서 내보내기를 한번 거치기 때문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017 소프트웨어| 윈도우PE 부팅 시 드라이버 자동 설치 방법 [30] -0- 2949 25 12-04
3016 소프트웨어|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 비 활성화 4k8k 541 8 12-05
3015 기 타| Win10PE by PC Clinic v2에 파일 추가하기 [22] suk 1189 21 12-05
3014 윈 도 우| 윈도우 11에서 defender control 실행과 카조님 XPE 131 빌더 [31] 하늘은높고 1729 32 12-05
3013 기 타| 클리닉님 Win10 PE 21H2 완성본 부팅하기 [28] suk 1589 23 12-06
3012 소프트웨어| Wim파일에 추가하기(-append)- RSimageX이용 [8] 카멜 883 16 12-06
3011 기 타| 백업 프로그램의 버튼을 변경하여 보았습니다. [8] 왕초보 751 12 12-06
3010 윈 도 우| 윈도우 PE 생성기로 1분만에 뚝딱 만들어보는 PE [17] heykevin 1321 7 12-06
3009 기 타| 백업 프로그램이 이제서야 보기가 조금 좋아졌네요.. [22] 왕초보 1275 19 12-07
3008 기 타| 클리닉님 Win10 PE 21H2 완성본 - 단일 wim 만들기 [34] suk 1301 24 12-07
3007 윈 도 우| Clinic님 PE 감사합니다. [24] do98 1009 23 12-07
3006 기 타| 지후빠님 소스를 초간단 백업,복원으로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7] 왕초보 735 14 12-08
3005 소프트웨어| RSImageX2.83-볼륨레지삭제 [27] 카멜 1424 40 12-08
3004 기 타| 지후빠님 소스를 멀티 OS 용에 활용을 하여 보았습니다.. [5] 왕초보 659 7 12-08
3003 기 타| PE에서 RaiDrive 첫 설치 테스트 [7] suk 835 8 12-08
3002 기 타| PE에서 RaiDrive 설치 테스트 [9] DengJang 650 9 12-08
3001 기 타| 132, 132L + Win11 빌드 테스트 [65] DengJang 1257 47 12-08
3000 윈 도 우| drvindex_ko_4009.exe [12] 레마클로 1348 10 12-08
2999 윈 도 우| 뻘짓... 고전.... 스샷만... ㅡ.,ㅡ; [19] 메인보드 1122 17 12-09
2998 소프트웨어| 배포 프로그램 디지털 서명해보기 [19] -0- 1431 6 12-09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