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VHD에 멀티로 윈도설치하기 - 윈도설치프로그램 이용 -

2015.04.30 17:30

suk 조회:4232 추천:5

win7때부터 iso 가 아니라 install.wim으로 설치를 해왔는데요 - 윈도설치프로그램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

요즘 win10 프리뷰 ..특히 10061부터 wim으로만 설치하면 에러가 심한 것 같습니다. 시작메뉴 먹통 ;


그래서 저도 일반적 설치방식인 윈도 설치프로그램으로 설치 하고 있습니다. 

win10 부담없이 멀티로 설치하시려면....VHD가 편하실 겁니다. 파티션 줄이는 것도 의외로 잘 줄여지지 않는 경우가 있더군요

그래서 vhd가 편합니다. vhd 를 못 만든 적은 아직 없습니다


근데 vhd를 윈도설치프로그램으로 설치하기는 어렵죠. 가상디스크라서 기본적으로 디스크가 아니라 파일이라서...

연결을 해줘야 합니다. 바로 이 연결만 해주면 윈도 설치프로그램으로도 설치가능합니다


autounattend.xml 과 vhd설치.bat은 한쌍입니다

vhd설치.bat은 vhd가 생기기 원하시는 파티션, 루트에 두시면 됩니다. 여러개 두시면 안 됩니다만 

처음 생긴 동적vhd 파일 용량은 매우 작습니다.  1MB도 안 되죠.


vhd설치.bat을 여셔서 용량은 수정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MB 단위입니다

vhd 파일이름은 windows.vhd 입니다. 수정하실 수도 있습니다만...여러부분 정확하게 하셔야 합니다.

*이 파티션 루트에 windows.vhd가 있다면 삭제됩니다. 


하드에서설치하기-파일복사포함.cmd는 

그냥 usb로 복사하기 귀찮으므로...하드에서 설치하기로 하는데요. 필수적 파일만 복사합니다. 

boot.wim 

install.wim 

setup.exe

이것 뿐입니다. ei.cfg는 자체적으로 만듭니다.


설치iso를 마운트 하신 후에 실행하시면 됩니다. 마운트 안 된 경우는 ...문구가 나옵니다


하드에서설치하기-파일복사포함.cmd는 위 파일들이 복사되기를 원하시는 파티션에서 실행하시면 됩니다

복사와 boot.wim 부팅등록으로 단계적으로 됩니다. boot.wim 이미 등록된 경우는 파일 복사까지만 하고 있습니다.


* 하드에서 설치하기는 autounattend.xml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로컬이라서 그렇지요. 

이때는 이동식usb에 autounattend.xml만 넣으두시면 됩니다. usb에 설치파일이 있으면 안 됩니다만..sources폴더 이름만 살짝 변경하시면 됩니다.


옆파티션에 늘 설치하다가...vhd에 설치하면 어떨까? 하고...오늘 vhd에 설치하기를 추가해봤습니다

하고 보니까 예전에도 올린 것 같네요. 비슷하지만 같지는 않습니다. 그때는 완전무인설치여서..윈도설치프로그램으로 설치하는건 아니었습니다

이번에는 vhd 생성만 하고...나머지는 윈도설치프로그램으로 진행하는겁니다. 


vhd는 파티션 항목에서 제일 마지막에 나타납니다. 그래서 찾기는 쉽습니다

"할당하지 않은 공간"으로 나옵니다. 그냥 여기에 설치하시면 됩니다. 포맷하실 필요도 없습니다. - 윈도 설치프로그램이 다 알아서 해줍니다 -


이제 부담없이 - 기존 윈도 포맷없이 - win10을 테스트로 vhd에 설치해봅시다~ 기분전환되고 좋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154 소프트웨어| Acronis True Image 2021 35860 x86 & x64 PE버전 [15] elios 1779 21 12-28
3153 소프트웨어| AOMEIPartAssist9.6 단일버전[오진패스!] [10] 내꼬 919 21 02-17
3152 윈 도 우| 탐색기 재시작 딜레이방지 [15] &카리스 1259 21 01-08
3151 윈 도 우| Windows 10 업데이트 설치하기2 bat 테스트 [14] suk 1225 21 02-25
3150 소프트웨어| LG Smart Recovery 전체 제작 과정 [6] 카멜 1894 21 04-24
3149 기 타| PE용 팟플, AIMP 뻘짓 중... [15] DengJang 945 21 07-10
3148 기 타| W10_S-Lite_PE 실컴에서 사용 [19] 멋진거지 1646 21 04-15
3147 윈 도 우| OnekeyBR 겸용 844PE 사용 체험기 [59] 선우 705 21 03-18
3146 기 타| 기타 드라이버 설치는 [30] 집앞의_큰 1162 21 03-18
3145 기 타| 벤또문제.... [22] 첨임다 1647 21 04-08
3144 윈 도 우| QuantumPE_7U_ 2022-03-18 초 간단 트윅 [21] 4k8k 1257 21 03-21
3143 윈 도 우| GPT <=> MBR 서로 상호 변환 테스트완료 [19] 악마와동침 1208 21 04-22
3142 기 타| [수정]첨임*님, 실컴용_install(21H1-19043.962) 감사합니다. [25] do98 1115 21 04-29
3141 윈 도 우| Boot.wim LaunchBar + Ventoy 재미난기능 영상만... [24] 메인보드 801 21 02-06
3140 기 타| 큰*무님 퀀텀 어드민PE 토렌트지원 [17] 더불어~~~ 1358 21 02-18
3139 기 타| [종료] PRINC CmdPeDual + WimBootBR + WimLib 입니다 [25] 왕초보 1539 21 10-06
3138 기 타| 147-Win11-Admin 부팅 시 검은 화면 딜레이 없애기 [19] DengJang 1085 21 01-14
3137 윈 도 우| 1회용 VHD 또는 PE로 부팅하기 우클릭에 넣기 [10] maniaa 1299 21 11-01
3136 윈 도 우| Workstation v3 사용기 [22] 하늘은높고 1322 21 01-15
3135 기 타| Ventoy 1.0.59 테스트 후기 [12] SHIELD 1026 21 11-12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