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윈 도 우 WIMBoot 제대로 활용하기 (초보자용) Partition Saving 활용

2015.04.27 16:41

FLP386 조회:8131 추천:10

 
https://windowsforum.kr/lecture/6385616

 

WIMBoot 제대로 설치하기 (초보자용)에 이어 

WIMBoot 활용편 강좌를 써보겠습니다.

 

WIMBoot는 왜 사용하는가? 대부분이 용량을 아끼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것도 이유이겠지만, WIMBoot는 백업과 복구의 효율성이 매우 높습니다.

 

WIMBoot는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OS와 PE의 절충적인 모습이 매우 강한 방식입니다.

 

설치된 윈도우8.1을 WIMboot.wim의 화일을 만들었다면

부팅 드라이브에는 WIM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는 Pointer file이 생성이 됩니다. WIMBoot.wim 화일에 없는 증분되는

화일은 C:에 하나씩 쌓여 나가는 구조가 WIMBoot방식이 되겠습니다.

 

 

작업을 함에 있어 6.3.9600.17031계열 PE가 필요한데~ 구하기 힘든 분도 분명 있을겁니다.

 

 

6.3.9600.17031계열 PE가 없으면, 윈도우10 프리뷰 설치DVD에서 WIMBoot 설치하면 됩니다.

 

WIN10_01.jpg

 

반드시 6.3.9600.17031계열 PE나 그 이상의 PE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없으면 없는데로 방법을 찾으면 되는것이죠.

윈도우10 프리뷰 설치 첫화면에서 SHIFT + F10을 눌러줍니다.

윈도우10 프리뷰 설치 OS 자체가 PE입니다.  

 

 

WIN10_02.jpg

 

CMD창에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후 WIMBoot작업을 해주면 됩니다. 윈도우8.1 WIMBoot작업을 윈도우10 프리뷰 설치 DVD에서

작업해줘도 무방합니다.

 

 

WIN10_03.jpg

 

윈도우10 프리뷰 설치 DVD 설치메뉴상에서도 DISM은 정상 작동합니다.

 

6.3.9600.17031계열 PE나 그 이상 버전의 PE를 구하기 힘든 분들은 윈도우10 프리뷰 설치 DVD에서 WIMBoot작업하면 되겠습니다.

주의할점은 윈도우10 프리뷰 설치 DVD에서는 winNTsetup은 정상작동하지만 그 이외 프로그램들은 라이브러리가 부족하기에

실행되지 않는 프로그램들이 많습니다.

 

 

 

WIMBoot_01.jpg

 

WIMBoot만드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존재하지만, 본 강의는 GimageX로 이미지를 만들고

winNTsetup으로 WIMBoot생성을 한다는 조건으로 강의를 시작해보겠습니다.

 

Dism이라던지 RSimageX로 wimboot옵션을 넣고 이미지 생성할 경우, 추후 사용용도에 제한이 생깁니다.

물론 Dism이라던지 RSImageX로 wimboot옵션 넣지 않고 생성할 경우 winNTsetup으로 WIMBoot작업해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러나 같은 원소스 윈도우8.1을 캡쳐하더라도 RSImageX가 용량이 GimagX보다도  큽니다.

 

wimboot옵션없이

원소스 상태로 일반 이미지를 gimageX로 생성하는 것이 추후 활용에 더 유리하기에 gimageX로 이미지 생성할것을

개인적으로 추천합니다.   추후 WIMBoot방식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다시 GimageX를 풀어주면 일반방식 윈도우8.1로 사용할수가

있습니다. 복구에도 매우 유리하단 이야기죠.

 

WIMBoot작업은 gimageX로 생성한경우 반드시 winNTsetup으로 작업을 해줘야 합니다.

 

 

간단히 설명해본다면 윈도우8.1을 설치한후 관리자권한으로 CMD창에서 Dism을 실행해보면

6.3.9600.17031 버전으로 나온다면 WIMBoot 생성준비가 끝난것입니다. 

GimageX이미지 생성할때 자동으로 hiberfil.sys, pagefile.sys swapfile.sys 를 제외시켜주기에

이미지생성전에 가상메모리삭제라던지 최대절전 관련을 OFF할 필요는 없습니다.

 

 

GimageX로 이미지를 생성후

 

 

 

WIMBoot_02.jpg

 

winNTsetup으로 WIMBoot 설치를 완료하고

 

부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강좌는 시작하겠습니다.

 

WIMBoot_03.jpg

 

 

C:에 WIMBoot 설치를 한 상태에서 용량을 확인해보면 300mb~400mb 용량이 생성이 됩니다.

C:\부팅 드라이브에 생성된 화일들은, WIMBoot.wim화일이 담긴 D:\나 그 이외 파티션에 있는  WIM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는

Pointer file이 생성이 된것입니다.

 

부팅을 하지 않은 상태이기에  hiberfil.sys, pagefile.sys swapfile.sys 화일들은 아직 생성이 되지 않았습니다.

 

 

 

WIMBoot_04.jpg

 

이 상태에서 고스트라던지 트루이미지라던지 사용자가 선호하는 백업프로그램으로

 

WIMBoot가 설치된 C:를 백업을 해줍니다.

 

 

 

WIMBoot_05.jpg

 

 

initial.GHO 라는 175mb용량의 고스트백업화일이 생성이 되었습니다.  훗날 사용하다가 윈도우가 문제가 발생하거나

재설치를 해야할 상황이 될 경우 이 백업화일로 쉽게 처음상태로 돌아갈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본 강좌의 목적은 무엇인가? 전체복구를 하지않고 부분복구만으로 쉽게 복원을 통한 활용이 이번 강좌의

주 목적이 되겠습니다.

 

 

MS에서는 custom.wim이라는 복원방식을 WIMBoot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만. 화일은 한번만 만들수 있고, 또한 복잡한

복원이라던지, 간혹 블루스크린이 뜨는 불안한 면이 강하죠.  WIMBoot에서 복원은 Custom.wim을 반드시 쓸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사용하지 않고, 상용이라던지 공개 백업프로그램으로 사용하는게 더 현명하겠죠.

 

 

가령 트루이미지라던지 고스트로

 

A시점

B시점

C시점

D시점

.....

 

 

아이들이 마음껏  컴퓨터를 사용해도 초기복원이 용이

은행,쇼핑몰, 증권, 카드사 보안인증 설정 시점

각종 액티브X 설치가 설치된 시점

각종 액티브X 설치가 설치되지 않은 시점

새로운 프로그램 테스트를 위한 깨끗한 상태의 시점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한 셋팅을 한 시점

업데이트 실패나 업데이트 호환문제로 다시 원하던 시점으로 돌리고 싶을 때

초기 셋팅 시점

바이러스나 심각한 시스템 문제가 발생했을때 원하는 시점으로 신속히 복구

특정 온라인게임을 할때 셋팅 시점

사용안할때도 메모리에 상주하여 시스템자원을 점유하는 프로그램인 경우

필요할때만 복원해서 사용하는 시점

공용PC로 A, B, C 가 함께 사용하는 PC인경우 각사용자에 맞는 복원 시점

 

 

백업을 해준다면 적은 용량으로도 원하는 시점으로 복원이 가능합니다.

 

 

고스트나 트루이미지, Partition Saving 백업프로그램들은 단순히 데이터만 복구하는 것이 아니라 통채로 파티션을 복원해줍니다.

안정성이나 유용성은 고스트나 트루이미지,Partition Saving은 확인이 된 백업, 복원 프로그램들이죠.

 

 

그럼 이게 다인가? 여기서 강좌를 마치면 재미가 없죠.

 

 

공용PC라던지, 관공서라던지 어린이방 PC라던지 하루지나면 처음상태로 돌려야하는 PC가 많습니다.

매번 오랜시간 복구프로그램을 복원하기도 그렇고 손이 많이 갈수가 있죠.

 

 

그럴때 매니안닷컴 왕초보님이 공개해주신 PartitionSaving_Recovery 쉽게 처음상태로 초기화 할수가 있습니다.

 

 

 

이 과정을 하기에 앞서

 

 

준비할 프로그램을 나열해 본다면

 

 

 

EasyBCD 2.3 버전

Partition Saving Recovery 1.4 (1.3,1.3F,1.4.....)

Partition Saving v1.6 , 1.51버전 (생략가능)

 

이 프로그램들이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본격적인 강의를 시작해보겠습니다.

 

WIMBoot_06.jpg

 

마음에 드는 Partition Saving Recovery 버전을 선택하면 되겠습니다만 본 강의는 1.4 버전을 기준으로 하겠습니다.

배포된 Partition Saving Recovery 1.4 버전의 압축을 해제해보면 iso화일이 있습니다.

 

이것을 CD마운트하던가 ISO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열어봅니다

 

 

 

 

WIMBoot_07.jpg

 

다른 것은 필요없고, boot.wim 화일 한개만 추출을 한후

 

WIMBoot화일이 있는 폴더에 넣어줍니다.

 

 

 

 

 

WIMBoot_08.jpg

 

그런 다음 Win.Tag 화일을 WIMBoot가 설치된 드라이브에 복사해 넣습니다. 일반적으로 C:\에 윈도우 작동이 되기에

C:\에 Win.Tag 화일을 복사해 넣었습니다.

 

 

 

 

 

WIMBoot_09.jpg

 

 

C:에 윈도우를 작동시킨다면 C:이외의 파티션에 \Backup\menu\menu.1st 를 복사해 넣습니다.

다른것은 다 필요없고, menu.1st 화일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폴더는 :\Backup\menu\menu.1st 이렇게 구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백업화일을 D:에 보관할 예정이기에 D:\Backup\menu\menu.1st 에 복사해 넣었습니다.

 

 

 

 

EasyBCD2.2는 버그가 있기에, 반드시 EasyBCD 2.3으로 BCD작업을 할것을 당부드립니다.

 

 

BCD작업후 백업을 해줘야 하기에 재부팅하지 않은 PE상태에서 easyBCD 2.3 버전으로 BCD작업을 반드시 진행을 해야합니다.

 

 

 

 

WIMBoot_17.jpg

 

이젠 easyBCD 2.3 버전을 실행시켜 줍니다.  비상업용으로 쓸것이냐? 상업적으로 쓸것이냐? 물어봅니다.

비상업적으로 사용하실분은 확인을 눌러주면 됩니다.

 

 

WIMBoot_18.jpg

 

사용중인 OS에서는 괜찮은데 PE라던지 제2의 OS에서 BCD콘트롤을 해줄때 2.2 버전은 약간의 버그가 있습니다.

 2.3 버전을 다운로드후 실행시켜 줍니다.

 

 

 

WIMBoot_19.jpg

 

순서대로 해줍니다. boot.wim은 Partition Saving Recovery ISO에 있는 boot.wim입니다.

부트메뉴는 "초기화"로 정해있지만 사용자가 원하는데로 변경해주셔도 됩니다.

 

 

WIMBoot_20.jpg

 

부트메뉴 설정을 해줍니다. 카운트 시간은 1초로 맞춰줍니다.

 

 

 

최소량의 데이터를 백업해주는 것이 목적이기에 부팅하지 않은 상태에서 백업을 해줘야합니다.

 

공용PC라던지 극초기 백업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는 최초 최소용량 백업을 굳이 할 필요는 없습니다만,

 

이 강의를 쓴 주 목적은

 

 

매일 처음 상태의 초기화를 해줘야 하는 시스템이나

그에 비슷한 사용환경을 구축해야 하는 분들을 기준으로

작성된 강의임을 말씀드립니다.

 

=======================================

여기서부터 생략가능

 

 

여기서부터는 이 부분 생략이 가능합니다. 이것을 강의에 넣은 이유는 Partition Saving 작동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서 넣은 것입니다.

 

WIMBoot_26.jpg

 

최초 윈도우8.1 WIMBoot 부팅전에 초기화 메뉴로 백업화일 두개를 만들어주면 Backup.Tag, Original.Tag 결과물은 똑같습니다.

 

 

 

 

WIMBoot_10.jpg

 

 

이젠 Partition Saving 프로그램을 작동시켜봅니다. 여러가지 버전이 존재합니다. 사용자가 마음에 드는 버전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선택이 어렵다면

 

Partition Saving v1.6_7zip.exe 버전을 추천합니다.   백업을 해줍니다.

 

 

 

 

 

WIMBoot_11.jpg

 

Pointer file화일들이 있는 C: 드라이브를 백업을 시작합니다

 

 

 

 

 

WIMBoot_12.jpg

 

Backup.Tag 65.7mb 용량의 백업화일이 생성이 되었습니다.

 

 

 

 

WIMBoot_13.jpg

 

Backup.Tag 화일을 Original.Tag로 이름을 바꾸어 줍니다.

 

 

 

 

 

WIMBoot_14.jpg

 

백업화일을 두개를 만들 예정입니다. 이름을 변경해준후

 

 

 

 

 

WIMBoot_15.jpg

 

한번 더 백업을 해줍니다.

 

 

 

 

 

WIMBoot_16.jpg

 

이렇게 두개의 백업화일을 만들었다면 기본 준비 과정은 끝났습니다.

 

 

↑ 

여기까지 생략가능

=======================================

 

 

 

 

PE라던지 제2의 OS를 종료하시고 WIMBoot시스템이 설치된 OS로 부팅을 해줍니다.

 

 

 

WIMBoot_21.jpg

 

부팅시 그냥 놔두면 부팅메뉴가 1초이기에 윈도우8.1로 부팅이 됩니다.

부팅과 동시에 키보드 방향키  아랫키를 여러번 눌러줍니다.

그럼 부팅메뉴가 pass되지 않고 메뉴판이 보입니다. 여기서 초기화 부트 메뉴를 선택해줍니다.

 

 

 

WIMBoot_26.jpg

 

PE나 제2의 OS에서 Partition Saving으로 백업화일 2개를 만들어주지 않았다면,  최초 윈도우8.1 WIMBoot 부팅전에 백업화일 두개를

만들어줘야합니다.  한번이라도 윈도우8.1 WIMBoot 부팅후 백업을 만들어주면 백업용량이 늘어납니다.

 

빠른초기화 최소용량 백업이 목적이기에 가급적 최초 윈도우8.1 WIMBoot 부팅전에 백업화일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WIMBoot_22.jpg

그럼 PartitionSaving_Recovery가 실행이 됩니다.

 

방금 Backup.Tag, Original.Tag 백업화일을 만들었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으로 복원시킬수가 있습니다.

백업용량은 65.7mb이기에 PC환경에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복원은 10초내외로 할수가 있습니다.

 

 

WIMBoot_23.jpg

 

 

 Partition Saving Recovery의 최대 장점은 복원을 두가지로 할수 있는게 최대 장점이죠.

초기상태 복원 확인의 비밀번호는: 1234   입니다.

 

초기상태 복원 시점을 변경하고 싶다면

D:\Backup\menu\menu.1st가 있는 D:\Backup\ 폴더에 Original.Tag 화일을 삭제하면 초기상태 복원 메뉴가

초기상태 백업 메뉴로 바뀝니다.

사용하다가 처음상태로 복원이라던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으로 쉽게 복원할수 있는 WIMBoot의 최대 장점을 활용할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매번 초기화하는 것은 좋은데, 매달 OS업데이트라던지, 프로그램수정등을 유지하면서 초기화할수는 없는것인가?

Gimagex로 이미지를 생성시키고, winNTsetup으로 WIMBoot설치한 이유가 여기 있는 것이죠.

 

WIMBoot설치후 윈도우업데이트나 프로그램이나 새로 증분되는 화일들은 WIMBoot 설치된 C:에 차곡차곡 쌓이기에

WIMBoot.wim 원소스화일을 다시Capture를 안해줘도 무방하겠지만, 잦은 초기화내지 공용PC이기에 매일  초기화해야 하는 사용자의 경우는

사용방법이 달라지겠죠.

 

한달에 한번이나 몇개월에 한번정도 C:를 포멧시킨후 GimageX로 이미지 생성된것을 gimageX나 WIM관련 프로그램으로 푼후 업데이트나

프로그램 수정후 다시 GimageX로 이미지 생성을 해주고 winNTsetup으로 WIMBoot작업을 주기적으로 해주면 됩니다.

 

고스트와 트루이미지등 다른 백업은 보관의 의미가 강하지만 WIMBoot는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활용면에서 매우 유리한

방식이라 볼수 있습니다.

 

WIMBoot방식도 초기화 하지 않고 용량을 줄일 목적으로 한번 설치후 계속 사용하는 사용자가 있는가하면,

WIMBoot의 백업, 복구의 최대잇점을 이용한 공용PC의 경우 부분복구로 초기화할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죠.

 

사용자가 어떻게 쓰는냐에 따라 WIMBoot의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WIMBoot_24.jpg

 

윈도우 8.1k  2015년 4월 최근 업데이트를 해준 원소스 이미지 용량이 3.77GB입니다.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용량, 백업, 복구, 초기화... 매우 유리한 방법이 되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2732 윈 도 우| PE를 이용한 망윔 설치하기 [3] 컴마을 8186 4 07-20
2731 윈 도 우| Gimagex를 이용하여 OS 통합하기 [17] gooddew 8182 11 02-23
2730 윈 도 우| 적절한 시점에 자동으로 컴퓨터 끄기 [5] 우금티 8182 1 06-22
2729 기 타| 공유기 실제 IP 변경 (iptime 공유기 기준) 타사도 동일... [5] 아이언 8176 8 05-31
2728 Vista sp1 rc1 v668을 포맷후 설치하기...후기. [16] 퍼플라인 8170 0 12-08
2727 윈 도 우| VHDX등을 WIM으로 만들기 에러가 나는경우 [6] 보[boram]람 8169 1 10-30
2726 윈도우7 미디어 센터 팁(추가) [2] 하이브 8160 0 01-22
2725 윈 도 우| 구글 WebM플러그인 for IE9 [5] Star★Bros 8159 0 03-17
2724 스타 색깔 이상해지는것 해결 방법 [9] 바나마나 8159 0 08-20
2723 윈 도 우| Win 8, bypass PAE/NX/SSE2 check [4] 고기먹자 8158 0 07-12
2722 기 타| [팁] 유튜브 광고 차단 [14] 천경지위 8145 28 12-03
2721 윈 도 우| Windows 7 Aero 설정이 안되는 경우 [4] 선지자 8144 0 06-29
2720 기 타| 외국어 윈도우에서 한글 설정하기 도움말 [3] gooddew 8140 0 07-22
2719 하위버전에서 7264로 업그레이드하기 [14] bluespy 8136 0 07-01
2718 기 타| 바이두에서 오프라인 다운받기 [1] 진한커피 8133 2 06-04
2717 윈 도 우| 신형 REFS 파일시스템으로 보조 및 외장 HDD/SSD 포맷하기 [4] 메트로작전 8133 3 11-14
2716 하드웨어| 소프트 인증 및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하시기전에 확인해야... gooddew 8133 0 06-17
» 윈 도 우| WIMBoot 제대로 활용하기 (초보자용) Partition Saving 활용 [13] FLP386 8131 10 04-27
2714 소프트웨어| Comodo + VMWare > vmx86.sys error 가리산특공 8130 1 06-14
2713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설치 없이 구글 광고 차단하기 [7] YIU 8130 1 12-19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