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VHD,, 일반 사용자에게 필요한가?

2009.12.12 07:44

is즈 조회:16407

최근에 VHD 부팅을 많이들 이용하시는거 같아서 글을 써봅니다.

 

저도 스누피님의 영향을 받아서 현재는 VHD 구성을 해서 사용하고 있는데요.

사용해본 느낌은 과연 이렇게 구성하는게 효율성이 있는것인가에 의문이 드네요..

최근에 differance VHD 사용법까지 알려져서 조금더 나아지긴 했는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신기한 부분에 혹해서 효율성이라는 본질은 잃고 있는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듭니다.

 

일반 사용자에게 VHD 부팅의 목적은 크게

1. 멀티부팅 2. 백업

이 2가지로 볼수 있는데요.

 

우선 멀티부팅을 생각해보면 VHD가 윈도우 7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생각해 볼수있는 멀티부팅의 예는

32비트 윈도우7

64비트 윈도우7

을 동시에 이용하는것이 되겠죠.

 

하지만 굳이 이것때문이라면 VHD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요즘에 하드디스크를 분할해서 사용

안하시는 분은 없을테고, 설치 난이도도 VHD를 이용한 멀티부팅이 더 귀찮은 작업입니다.

또한 7이외의 운영체제의 멀티부팅은 VHD랑은 전혀 관련이 없는 이야기 이구요..

 

그리고 부팅 속도도 SSD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VHD 부팅은 현저하게 느립니다.

(고정식 VHD를 사용하면 조금 줄어들긴 하지만 그러면 용량의 낭비가 심해지죠.)

부팅 후에의 퍼포먼스도 체감이 거의 안되긴 하지만 분명히 속도저하가 있습니다.

(VHD는 읽고 쓰기 과정에서 한단계의 과정이 더 추가가 되기 때문에,, 관련 벤치도 있구요.)

 

그리고 SSD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부팅때마다 VHD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쓰기 작업이 심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아마 dirty 현상이 더 빨리 올꺼란 생각도 드네요. (SSD 수명에도 영향이 있겠죠..)

 

두번째로 백업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것도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요즘 백업 프로그램들은 그냥 클릭 몇번에 백업과 복구가 되는데요.

VHD 구성은 조금 난이도가 있는편입니다.

한번 구성해 놓고 익숙해지면 그래도 할만하긴 한데, 그냥 전문 백업 프로그램에 비할바는 아니죠.

 

그리고 부트매니저 부분이 한번 꼬여버리면 시동복구후에 VHD 연결을 일일이 다 해줘야 합니다.

만약 모든 부팅 파디션을 VHD 로만 구성했다면,, 커멘드 명령어까지 다 외우고 있어야 하죠ㅋ

(어려운건 아니지만 귀찮은 작업임에는 틀림없습니다. 부트 매니저 자체에 GUI가 있어서 이런 작업을

클릭 몇번에 가능하게 해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상상은 해봅니다만,,)

 

백업 속도 부분도 전문 백업툴과 VHD 파일 교체 과정을 봤을때 거의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물론 differance VHD를 이용하면 빠르긴한데 전문 백업툴도 증분 백업이란게 있어서,, 복구과정을 제외하면

속도차이는 없다고 보면 되겠죠.

differance VHD의 빠른 복구는 분명 좋은점이긴 하지만 그것 하나에 잃는것이 너무나 많습니다.

(백업툴의 복구과정이 그렇게 못 기다릴 만큼 긴것도 아니구요.)

 

일반적 백업 목적이 아닌 스누피님 처럼 간단히 프로그램 테스트해보고 빠르게 초기화하는 용도로

사용한다고 해도 차라리 딥프리즈나 기타 순간복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게 더 빠르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마소가 VHD 기능을 엔터나 울티 이상에만 넣은 이유가 기업환경에서 사용하라고 만든 기능이기 때문인걸로

아는데요. 생각해보면 맞는 이야기 입니다. 예전에 7 베타테스트 때 처럼 윈도우 설치를 자주 해야하는 시기도

아니고 일반적인 환경에서 VHD 구성은 거의 필요가 없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너무 극단으로 주관적인 생각이라서 다른분들은 어떨지 알고싶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1082 기 타| 종료 WinXPE147수정버전_20240322_23H2(빌드 22635.3575) [65] 격자 1575 142 05-11
11081 기 타| PE 부팅시 암호 - EXE 파일에 비번을 저장 하여 보았습니다 [8] 왕초보 756 16 05-10
11080 소프트웨어| FunctionKey Pro 도우미 프로그램 - 자주 사용하는 핫키를 ... [22] 상발이 816 65 05-10
11079 기 타| PE 부팅시 암호 - Admin, User 비번을 암호화 하였습니다 [14] 왕초보 800 28 05-10
11078 서버 / IT| 자장소 추가 오류 해결하기 (Ubuntu) [2] gooddew 864 12 05-09
11077 소프트웨어| 벤토이 injection 런처(LaunchBar, sLauncher) 2종 테스트! [13] 무월 861 43 05-09
11076 윈 도 우| KB5036980 업데이트는 SMB 멀티채널을 중단 시킴. SMB 속도... [3] chant 449 4 05-09
11075 기 타| 종료 WinXPE147수정버전_20240322_23H2(빌드 22635.3570) [65] 격자 1279 134 05-09
11074 윈 도 우| 왕초보 님 pe부팅시 암호사용 StartPassword_v1.5 사... [4] 수리수리 582 8 05-09
11073 윈 도 우| Windows 11의 명령 프롬프트 창 팁 [26] 집앞의_큰 1071 75 05-08
11072 기 타| PE 부팅시 암호 - 암호를 변동형으로 해보았습니다 [7] 왕초보 735 14 05-08
11071 윈 도 우| 요즘 Windows 11 설치해보는데 윈도우11, 10의 닷넷 프레임... [1] 존래넌 741 4 05-08
11070 기 타| 의견 반영분 - 심플런처 선택기 0.0.1c 테스트 [6] 빨강모자 482 16 05-07
11069 윈 도 우| 26100.461 Pro Administrator 무봉인 [110] 집앞의_큰 2705 216 05-06
11068 기 타| PE 부팅시 암호 - ini에 암호화해서 저장하여 보았습니다 [10] 왕초보 790 22 05-06
11067 기 타| 의견 방영분 - 심플런처 선택기 0.1 개요 테스트 [7] 빨강모자 397 29 05-06
11066 기 타| 종료 WinXPE147수정버전_20240322_23H2(빌드22635.3500/3566) [68] 격자 1514 150 05-05
11065 기 타| PE 부팅시에 암호를 확인하도록 하여 보았습니다. [9] 왕초보 795 21 05-05
11064 기 타| 2개 요청 추가기능 보완의 건 ( 기 연구자님 승인없이는 배... [23] 빨강모자 570 47 05-05
11063 윈 도 우| sLauncher - boot.wim 적용 및 활용 방안! [34] 무월 1061 59 05-05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