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WIMBOOT 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

2014.05.18 17:55

bee 조회:4074 추천:2

방금 저도 아래 밑의 ① 겸손 님의 PE에 손부터 들고 이글을 씁니다. ㅎㅎㅎㅎ

저는 지난번에 AOMEI Backupper 의 간편함과 편리함을 발견하고 사용기란에 소개한 바 많은 고수님들이 관심을 가져 주시고 손봐 주셔서 저도 PE에 아주 편리하게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오늘은 일전에 몇분이 WIMBOOT 에 대하여 자세한 설명을 해주셔서 관심을 가지며 과연 기술의 발전은 어디까지 인가 하고 감탄을 한바 있습니다.

또 그런 부팅이 존재한다면 편리하겠구나 생각하던중

오늘 윈도우를 새로 설치할 일이 있어서 WinNTSetup 3.5 를 이용하여 설치하고자 설치 메뉴을 보니 Windows 이미지 파일 부트(WIMBOOT) 란이 있어서 호기심에 클릭하고 설치한바

실제로 WIMboot가 이루어 지고 있어서 그 내용을 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1. 먼저 제 PC를 WIMboot로 설치한 화면입니다.


바탕화면.PNG


2. WinNTSetup 3.5 화면 - 빨간 네모칸 있는곳 첵크


WinNT.png


3. 파티션 현황  - PC 사양은 i5-661 이며 mbr 로 예약 파티션 없이 설치. Win8.1 Enterpriz x86




4. 윈도우파일 일반 설치와 크기 비교

   D: 드라이브에 install.wim 파일을 넣고 드라이브 C:에 설치하며  일반 설치의 2분의 1 보다 적은 크기로 설치되며

   D:드라이브의 WIM의 크기는   변함이 없었습니다.

  (참고로 WinEnter x86 을 설치하고 크기를 봤더니 3.9G 더군요. 정말 정말 적은 용량을 차지 했습니다.)

   저는 처음 D:드라이브에 sourse 를 통째로 넣어 설치했었는데

   따로 install.wim 파일을 어느 드라이브에 위치하고 있어도 설치가능합니다.

   설치후에는  install.wim 파일은 이동을 해서는 안돼구요.

   하긴 이동할수가 없지만서도 PE 를 이용해서 억지로 이동해선 안됍니다. 이동하면 전체적으로 OS가 구동이 안돼더군요.

   실행중에 wim 파일을 삭제하려 했더니 삭제가 안돼는걸로 봐서 wim이 C: 드라이브와 연동되어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파티션 크기가 일반설치와 비교하면 설치 파티션의 저장용량이 2분의 1 정도로 줄어들어 디스크 관리에 아주 유용하리라 생각되어 이를 소개 드립니다.


이를 WIMBOOT 라고 할수 있는건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이는 관심있고 실력을 겸비한 고수님들이 분석하고 설치해 보시고 자세한 사용기를 올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저는 그냥 소개만 드리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위 란의 파티션 현황과 크기 비교란은 사진이 올라가지 않네요. 10여분동안 헤매다 우선 그냥 올립니다.

   에러 코드가 작렬하네요. 아무리 해도 안돼네요. 사진이 서너장 있는데 안봐도 이해 하리라 생각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186 기 타| 민밋한 대기시간 바꿔보기 [33] 집앞의_큰 1443 35 10-21
3185 소프트웨어| 큰**님 [찾아다니는 부팅 두번째] 사용기 [3] 립뽀 548 3 10-22
3184 기 타| 백업,복원 Cmd - 소스를 간단하게 정리(?)를 해버렸습니다 [14] 왕초보 1186 14 10-23
3183 소프트웨어| 왕초!님 TrayLaunch 를 따라해 봅니다.^^ [7] 지후빠 931 10 10-24
3182 소프트웨어| 큰나무님 신규백업 및 차등백업 복원기 올려 봅니다^^ [7] 낭만도동넘 379 5 10-24
3181 윈 도 우| knm님의 SN_OKR4 OS 차등 백업/복원 실행기 [9] parannara 464 6 10-24
3180 기 타| Cmd 1개에 백업프로그램 4개를 통합하여 보았습니다 [21] 왕초보 968 16 10-24
3179 윈 도 우| knm님의 SN_OKR5_OnlyOS_DiffBR 차등 백업/복원 실행기 [21] parannara 784 18 10-25
3178 기 타| sunshine님의 Snapshot 한글버전 사용기입니다 [8] 왕초보 1007 11 10-25
3177 소프트웨어| KNM님 선택하는 PE파일로 부팅 사용기입니다. [4] engineer 725 9 10-25
3176 윈 도 우| knm님의 미안해도 열외시키는 이야기2 적용기 [8] parannara 593 9 10-27
3175 기 타| 백업프로그램 4개 통합에..결국 Cmd도 없애 버렸네요.. [22] 왕초보 1414 23 10-27
3174 기 타| 크롬에서 가끔 ....... [2] 카니발 975 0 10-27
3173 기 타| WimLibBR - USORT.EXE 활용 Cmd 업데이트... [10] 왕초보 865 12 10-28
3172 기 타| (수정) mania*님 Win10 PE 20H1 x64 Lite 간단한 사용기입니다 [12] 왕초보 1344 11 10-28
3171 소프트웨어| DS 하나로. [325] 집앞의_큰 2664 208 10-28
3170 기 타| PRINCE PE에서 wmic를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9] 왕초보 999 10 10-29
3169 윈 도 우| Windows 10에서 PC 상태 검사 (KB5005463) 설치 방지.reg ... [13] suk 2288 23 10-30
3168 기 타| 지후빠님 스냅샷 frontend SnapShotBR.ahk 버전 사용기입니... [8] 왕초보 804 12 10-30
3167 기 타| Widows 10 백업 복구 UI [11] 에세3밀리 1367 15 10-3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