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윈 도 우 Windows Embedded standard 7 sp1 Toolkit 사용법

2014.03.19 13:01

FLP386 조회:11008 추천:6

 

 

001.jpg

 

Windows Embedded standard 7 sp1을 설치를 하면 템플릿 설정화면이 이렇게 나옵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사이트나 강좌에서는

Application Compatibility나 Thin client 두개의 템플릿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를 많이 해왔죠.

 

그러나 드라이버의 불충분으로 TV수신카드나 HP프린터 설치가 안되거나 카메라PTP인식, 스캐너 작동이 안되는등

드라이버 불충분으로 사용이 제한적이였습니다.

 

002.jpg

 

Microsoft의 배포판의 Standard 7 SP1 64bit IBW.iso를 열어보면 템플릿 설정 화일들의 모습입니다.

그나마 설정이 제대로 된 템플릿은 Set Top Box라는 것을 알수가 있죠.

 

Application Compatibility 템플릿보다는 Set Top Box로 설치할경우 드라이버가 더 많이 설치가 됩니다만

 

그래도 상용 윈도우 OS에 비해 드라이버가 불충분할수도 있습니다.

 

처음부터 MS에서 제대로 된 템플릿을 제공했다면 일반 사용상 문제가 없었겠지만,

임베디드 시스템에 충실한 사용예의 템플릿만 MS에서 샘플로 제공했기에

 

추가되는 드라이버 셋팅은 TOOLKIT으로 추가를 해줘야 보다 완벽한 Windows Embedded standard 7 sp1를 사용할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Microsoft에서 제공해주는 TOOLKIT으로 작업을 해봤습니다.

 

003.jpg

 

기존 Application Compatibility와 Set TOP Box에 드라이버 추가로 작업을 했습니다.

 

https://windowsforum.kr/?module=file&act=procFileDownload&file_srl=5476260&sid=6024b752176a1734daf4f6baae445e8d

WES7_FULL_Driver.zip

 

004.jpg

 

iso화일 \ds\Templates\IBW 에 템플릿 샘플 화일에 TOOLKIT으로 만든 화일을 64bit, 32bit버전에 맞게

추가를 해주었습니다.

 

005.jpg

 

정상적으로 \ds\Templates\IBW  에 넣어주었다면 설치화면에 이렇게 표기가 됩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Windows Embedded standard 7 sp1 TOOLKIT으로 템플릿 화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강좌를

시작해보겠습니다.

 

 

006.jpg

 

MS에서 평가판으로 Windows Embedded standard 7 sp1 설치본과 TOOLKIT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Windows Embedded standard 7 sp1  32bit 템플릿만 만들 예정이라면

Standard 7 SP1 Toolkit.iso만 있어도 충분하지만

 

64bit 템플릿도 만들것이라면

 

Standard 7 SP1 Toolkit.iso

Standard 7 SP1 64bit IBW.iso

 

두개를 동시에 준비해놔야 합니다.

 

 

 

 

 

toolkit01.jpg

 

설치를 시작해보겠습니다.

 

 

 

toolkit02.jpg

 

64bit 템플릿도 만들 것이기에 Complete를 선택했습니다. 총설치 용량이 7.2g정도 나오기에 설치할 곳의 용량은

충분히 확보가 되어 있어야합니다.

 

 

 

 

toolkit03.jpg

 

설치가 거의 마무리 될때

 

Standard 7 SP1 64bit IBW.iso가 설치한 곳의 가상드라이브나 DVD롬이나 설치가 된 USB를 지정해줘야 합니다.

 

 

 

 

toolkit04.jpg

 

설치가 다 끝나면 Image Configuration Editor를 실행해줍니다.

 

 

 

toolkit05.jpg

 

 

Windows Embedded standard 8 TOOLKIT과 달리 Windows Embedded standard 7의 TOOLKIT은 기본적으로 셋팅을 해줘야

기본 작업을 해줄수가 있습니다.

 

Select Distribution Share를 열어줍니다.

 

 

 

 

toolkit06.jpg

DS64SP1은 64bit 기본셋팅

DSSP1는 32bit 기본셋팅입니다.

 

그러니까 32bit 템플렛을 만들어준다면 DSSP1을 불러주면 되는것이고

64bit 템플릿을 만들어준다면 DS64SP1을 불러주면 되겠죠.

 

 

 

toolkit07.jpg

 

DSSP1셋팅의 32bit로 셋팅을 해놨습니다.

 

 

 toolkit08.jpg

 

New Answer File로 셋팅을 해줍니다.

 

 

 

 

toolkit09.jpg

 

Windows Embedded standard 8 TOOLKIT은 기본작업 셋팅이 되어 있습니다만,

Windows Embedded standard 7 TOOLKIT은 이렇게 사용자가 직접 셋팅을 해줘야~~ stand by~ 상태가 됩니다.

 

여기까지가 기본셋팅 상태가 됩니다.

 

모든 작업은 이 상태에서 해주면 됩니다. 물론 64bit로 해줄경우는 DS64SP1로 맞춰줘야겠죠.

 

toolkit10.jpg

 

이번 강좌는 이미지 생성이 아니라 기존 템플릿중에 Application Compatibility에 Driver를 추가하는 강좌가 되기에

 

Application Compatibility 템플릿에 드라이버를 추가하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toolkit11.jpg

 

  Application Compatibility을 추가해줍니다.

 

 

 

toolkit12.jpg  

제일 중요한 작업 Driver를 추가 시켜줍니다.

 

 

 

toolkit13.jpg

 

기본적인 작업은 다 했습니다. Save Answer File을 눌러줍니다.

 

 

 

 

toolkit14.jpg

 

그러나 여기가 끝이 아닙니다. 그냥 끝나면 재미가 없죠.

 

5개의 에러가 떴습니다. 완벽한 템플릿이 아니기에 각 에러를 해결해줘야 합니다. 저장하지 마시고 아니오를 눌러준뒤

 

5개의 에러를 해결해보겠습니다

 

 

 

 

toolkit15.jpg

 

첫번째 에러를 해결해보겠습니다. 일반적인 사용은 프롬프트 모드 사용할일은 없습니다. 개발자나 특정 임베디드 시스템 사용자가

아니라면 위의 셋팅대로 해주시면 됩니다.

 

 

toolkit16.jpg

 

하나의 에러가 해결된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젠 두번째 에러를 해결해줍니다. 고맙게도 에러창에 value 2로 고쳐주라고 되어있네요.

 

2로 고쳐줍니다.

 

 

 

 

toolkit17.jpg

 

 마찬가지로 세번째 에러도 해결해줍니다.

 

 

 

toolkit18.jpg

 

4번째 에러도 역시 해결해줍니다. 어려울것 하나도 없습니다.

 

 

 

 

toolkit19.jpg

 

다섯번째 에러도 해결을 했습니다.

 

 

 

toolkit20.jpg

 

 5개의 에러 해결을 했으니 다시 Save Answer File로 저장을 시도해보겠습니다.

 

 

 

toolkit21.jpg

 

 

No warninigs or errors라고 표시가 되면서

 

저장창이 뜹니다. 여기서 원하는 이름을 넣어주면 됩니다.

 

이렇게 만든 것이 Application Compatibility FULL Driver 32bit.xml 입니다.

 

 

테스트 해본 결과 기존 Application Compatibility로 설치할경우 스캐너, 카메라PTP인식, HP프린터, TV카드 작동이 안되던 것이

 

Application Compatibility에 추가로 드라이버 작업해준 Application Compatibility FULL Driver 32bit 템플릿으로 정상작동됨을

테스트 했습니다.

 

 

기본적인 TOOLKIT사용법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 윈 도 우| Windows Embedded standard 7 sp1 Toolkit 사용법 [3] FLP386 11008 6 03-19
2347 윈 도 우| IE11 호환성 개선, 'IE11 엔터프라이즈 모드 for Windows7'... [29] 캇떼니시로 18609 4 03-17
2346 기 타| 구글계정 가입시 연령미달 경고와 함께 가입이 안될때는... [1] 빛과그림자 5000 0 03-16
2345 하드웨어| 윈도우 설치 이미지에 네트워크 드라이버 통합하기 [8] CraXicS 8022 3 03-16
2344 소프트웨어| TightVNC설정값을 저장해봅시다 [3] DarknessAn 4513 0 03-15
2343 기 타| MP3 실시간 재생 및 검색, 다운로드 [9] 배현짱 6682 4 03-13
2342 소프트웨어| 프리모캐쉬(v0.99) 효과적인 세팅.. [9] bleach 10881 1 03-12
2341 소프트웨어| 2nd - 윈도우7에서 Unlocker의 유용한 사용방법 [7] k-style 4539 0 03-12
2340 소프트웨어| MP3 손쉽게 다운로드하자, Make to file [2] 흐힝흐힝 6265 2 03-11
2339 기 타| 팟플레이어 wasapi 설정 2채널 스피커 사용시 입체 음향 [5] 광복동 7560 4 03-10
2338 기 타| 갤럭시 노트3 헤드폰 음질향상 팁 [1] 광복동 5869 1 03-10
2337 소프트웨어| 1st - 윈도우8과 8.1에서 Unlocker의 유용한 사용방법 [3] k-style 5869 3 03-10
2336 윈 도 우| assoc로 마음대로 메모장으로 확장자 연결하는 방법 [3] suk 4446 2 03-10
2335 서버 / IT| 삼성폰 정품 여부 확인 방법 [5] DOS 8103 1 03-09
2334 윈 도 우| WIn 8.1 2014 Update MSU 자동 설치 Script (4개) [7] oldee 8341 7 03-09
2333 윈 도 우| Sysprep의 사용자 계정 설정 봉인 작업 [2] CraXicS 11740 3 03-09
2332 윈 도 우| 오늘까지 발표된 Win 8.1 2014 Update 설치순서 및 정리 Tip [1] oldee 8270 2 03-08
2331 윈 도 우| diskpart 기본 사용법 [7] DOS 7738 3 03-07
2330 윈 도 우| 작업표시줄(Taskbar), 어디까지 써봤니? [4] 스마팅 6817 0 03-05
2329 기 타| 방송사별 온에어 광고차단 난지로 4988 1 03-04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