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추가 테스트2] UEFI에서 x86 PE부팅하기

2014.02.05 07:47

suk 조회:4471 추천:3

64비트 uefi에서는 이론적으로 안 된다고 알고는 있지만...그래도 확인 차원에서 해봤습니다.

근데, 32비트로 uefi 부팅되는건 어떤 컴들 입니까?  (궁금하네요)

 

uefi부팅메뉴테스트-x86.png

 

일단 uefi로 win8설치..

 

uefi부팅메뉴테스트-x86pe추가.png

 

32비트 pe를 추가해봤습니다

실컴이라서....결과는? 로딩만 하다가 winload.exe가 없다고 에러나더군요. 여기서 winload.efi로 바꾸는건 말도 안 되죠?

그냥 해봤는데...더 처참하더군요. 처음에 로딩조차 안 되요

 

uefi부팅메뉴테스트-efi부팅재미나네요.아무하드에나부팅파일만들면부팅함-ntfs포맷으로해도됨.png

 

근데 efi 부팅에 대하여 재미난 사실이나 하나 발견했네요

bcdboot /f all 옵션 해보다가요.

 

efi시스템파티션은 cmd창에서 무력화시키고...다른 하드에 부팅파일을 만들었는데

저렇게 부팅이 잘 되더군요 ㅎㅎ efi 시스템파티션은 필요없는거네요. Fat32 로 포맷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요

 

uefi부팅메뉴테스트-efi부팅재미나네요.아무하드에나부팅파일만들면부팅함-ntfs포맷으로해도됨-기존100mb로부팅한게아닙니다.png

 

다시 확인차원에서 보여드림...100MB 짜리는 그냥 숨김으로 되어 있죠. 보통때는 시스템이라고 나옵니다.

 

아무 하드에 내팽겨쳐놔도 알아서 부팅이 되는게 좀 웃깁니다. efi부팅은...

 

본래 주제의 결론은 x86은 efi에서 일반적으로 부팅 불가이므로...

다른 디스크나 usb, dvd 등을 이용하여 부팅해야겠습니다. 물론 디스크는 mbr로 초기화한 디스크죠.

 

---------------------------------

추가 테스트: 위에서 아무데나 efi 폴더 만들면 부팅 된다는 글 때문에...

그러면 C드라이브만으로도 부팅이 될까요? mbr 방식처럼...

 

uefi도이제C드라이브로만설치해봅시다.png

 

그래서 다시 날려버리고 만들어봤습니다.

 

uefi도이제C드라이브로만설치해봅시다-설치중.png

 

 

uefi도이제C드라이브로만설치해봅시다-efi부팅폴더.png

예전 같으면 C드라이브에 몽땅 넣은 격이네요.

결과는? 부팅이 안 되더군요. ??

 

아..mbr 하드로 되어 버렸네요

기존에 gpt라서 그냥 똑같이 될 줄 알았더니...

 

uefi도이제C드라이브로만설치해봅시다-에혀.자동으로gpt로변환은안되었네요.지정안하면그냥mbr하드로되어버림.png

 

그래서 다시 gpt로 변환하여 해봤습니다.

결과는? 장치도 다 설치하고는 한다는 소리가.....하드웨어에서 뭔 구성을 하지 못 했다고 하더군요

 

뭘까요?

gpt 하드는 efi시스템파티션을 만들어야만 되나봅니다. 위에서는 mbr 하드라서 아무렇게나 됐나보네요?

다른 하드에 만들면 더 귀찮은 일이고...음..일단 uefi도 C드라이브만 만드는 건 실패이군요.

 

-------------------

추가테스트2

 

...또 혹시나 싶어서 포맷하고 mbr 하드에 efi 부팅폴더 만들어서 설치해봤습니다.

 

uefi도이제C드라이브로만설치해봅시다-mbr하드에부팅파일만듦.png

 

 

uefi도이제C드라이브로만설치해봅시다-mbr하드에부팅파일만듦-이건잘되네요.png

 

역시 이건 잘 되네요

보안 삼아서 usb에 부팅파일만 만들어서 들고 다녀도? ㅎㅎ 아니면 애들 게임 못 하게 방지 차원에서 ;

 

mbr 방식에다가 설치한 것보다는 낫네요. efi는 부팅파일 만들어도 위에서처럼 gpt하드에서는 efi파티션 없으면 부팅이 안 되니까요

mbr 윈도는 그냥 bcdboot 한방이면 게임 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302 윈 도 우| 드림pe 파일삭제[콜레오님] [14] 땅콩 3353 3 07-06
3301 윈 도 우| pe 바탕화면 아이콘 간격조절 [17] 땅콩 3622 3 07-05
3300 윈 도 우| 콜레오님 드림pe 간략 사용기[추가 있음] [6] 땅콩 2951 3 07-04
3299 하드웨어| sata hdd가 갑작스레 인식 안될때. [6] 뷰리풀투데 4675 3 07-03
3298 윈 도 우| WIin 10 Ent 10147 (by:RN) 간단 사용기 [7] go백 3214 3 06-30
3297 윈 도 우| pae패치 [11] 땅콩 2823 3 06-29
3296 윈 도 우| Gandalf’s Windows 10PE x64 - 05-13-2016 사용기 [7] 달리기 2385 3 05-30
3295 윈 도 우| my8.1pe 사용기 [10] 땅콩 2576 3 06-13
3294 윈 도 우| my8.1pe와 심즈 [1] 땅콩 2942 3 06-11
3293 윈 도 우| AOMEI PE [11] 땅콩 4365 3 06-10
3292 윈 도 우| Windows 10 Pro 모든 앱(+시스템 앱 포함) 제거된 버전 [2] 알비온 4288 3 08-08
3291 윈 도 우| 윈도우 동적디스크 레이드0 사용기 [3] sous_la_pl 2743 3 05-25
3290 기 타| pe용 인텔그래픽드라이버 [4] 땅콩 2678 3 06-11
3289 윈 도 우| jucom님의 LINK_PE(=Win10PESE_x64)업뎃버전 사용기 [13] 북학인 1571 3 05-08
3288 하드웨어| 대우루컴즈 스틱PC 간단 살펴보기 [10] benari 5349 3 05-14
3287 기 타| PE를 C:으로 사용하는 방법 - 간단한데 뒷처리가 복잡합니다. [8] suk 3450 3 04-28
3286 윈 도 우| win10 - 프리뷰 한글깨짐 간단한 해결방법.. [6] suk 7556 3 04-19
3285 모 바 일| 스마트폰과 구글 클라우드 프린트 이용 간단한 서류 복사하기 [5] asklee 2490 3 05-08
3284 하드웨어| [ 아이노비아 Hercules T-3000 ] 개봉기 (아이노비아 이벤... [2] 직장인 2613 3 03-27
3283 모 바 일| ipTIME 공유기 이용 iPhone 6 VPN 연결하기 [4] asklee 4478 3 09-30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