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소프트웨어 UEFI에 대한 정리

2014.02.04 04:26

DarknessAngel 조회:11847 추천:6

최근 UEFI에 대한 질문글이 늘어나는데, 자꾸 이상한 답변이 달리거나 제대로 처리가 안 되는듯해서 게시물로 정리해봅니다




먼져 EFI모드로 부트하는 경우에 대한 장점은

1. 부트시간및 절전모드에서 깨어나거나 진입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단축 (특히 후자는 극단적 차이를 보입니다)

2. GPT로 2TB를 넘어가는 디스크 사용시 이걸 통째로 부트디스크로 잡을 수 있음 (솔직히 이건 전.혀. 쓸모 없죠) (시스템 파티션이랑 데이터 파티션을 같이 묶어봤자 백업/복구만 오래 걸리고, 위험부담만 늘어나는지라 아무짝에도 쓸모없음) (다만 VHD를 안 쓰고 멀티부트 구성을 하거나하는경우 MBR특유의 4파티션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애초에 NT5및 리눅스 2.4이상의 커널 쓰는경우 확장 파티션에 설치하고, 부트 파티션만 주 파티션에 잡아도 그만이니 이것 역시 전혀 쓸모 없음)

3. secure boot와 암호화 디스크 사용가능 (전자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기능이라 무시하면 되고, 후자는 비트락커등과 달리 초기 공장 출하부터 완전 암호화를 구현하여 디스크를 때서 내용물 추출하는걸 완벽하게 방지해주는걸 애기합니다)

4. 넷웤부트 지원관련 강화 (이건 개인 사용자에겐 그다지 해당 없는거고, 추가된부분은 TFTP기반의 전통적 PXE는 물른이고, SAN이나 기타 좀 더 최근 방식의 넷웤장치 내지 스토레이지에서의 부트도 지원하게 바뀐겁니다) (웃기게 서버용으로 개발된건데 가장 많이 쓰이는데는 PC방 (...) )

5. UEFI기반의 향상된 BIOS및 관리 프로그램 사용 가능 (마우스, USB등을 지원해서 아주 편하게 바뀌었고, 더 많은 기능을 지원하여 간단한 하드웨어 진단은 물른이고, 셀을 다룰줄 아는경우 간단한 작업정돈 OS진입 안 하고도 가능)

6. CPU 비종속적 프로그래밍, 드라이브, 모듈화된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져서 설계및 제작이 편해짐 (이부분은 개인이 별로 신경 쓸 부분이 아니니 역시 패스~)


단점은

1. CSM을 지원 안 하는 일부 보드 (삼X라던가 H*이라던가, D%LL, I$M이라던가 일부 아주 몰상식한넘들의 일부 보드만 해당)의 경우 구형 BIOS방식의 부트 미지원으로 인한 하위 호환성 없음

2. 일부 초기 UEFI기반 보드(도#바제 일부 놋북이 주로 해당)경우 마소나 레드헷사인키가 아닌 다른 키로 사인된 경우 Secure Boot 사용시 부트 불능 (이게 문제되는 이유는 일부 몰상식한 제조사 물건은 Secure Boot를 끌 수 없음 (...) )

3. 일부 보드 (삼X제 놋북등)에서 윈도가 아닌 리눅스등을 EFI모드로 설치시 제대로 작동을 안 하거나, 심한경우 UEFI자체가 손상되는 경우 발생


장단점에 이어서 호환성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일단 지원OS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것과는 달리 EFI에 대한 연구는 90년대 중반에 개발되어 98년에 현제와 같은 EFI라는 명칭을 쓰게되었는지라 상당히 구버전OS부터 지원됩니다


원래 X86(_64)용이 아닌 IA용인지라 초기버전의 경우 IA64용으로 개발되었습니다만, 2.0이후 거의 모든 프로세서용으로 나오고있습니다


IA64 : 2k, 2k3, XP, 2k8, 2k8 R2

X86 : 8, 8.1 (리눅스경우 grub2를 쓰면 다 되지만, 커널 3.0이상 권장) (맥경우 레오파드 이상이면 지원하지만, 마운틴 라이온 이상에서만 완벽 지원) (단 X86을 지원할려면 UEFI버전이 2.0이상이 되어야하고, 제조사가 개념을 탑재해서 호환되도록 설계했어야합니다)

X86_64 : Vista SP1, 2k8, 7, 2k8 R2, 8, 8.1, 2k12, 2k12 R2 (리눅스를 비롯한 거의 모든 현대버전 OS는 다 부트 가능) (맥경우 레오파드 이상이면 지원하지만, 마운틴 라이온 이상에서만 완벽 지원)

ARM (V8) : 아직은 리눅스만 해당 있음 (애초에 이넘을 제대로 지원하는 OS가 리눅스랑 iOS정도밖에 없음) (Xscale당시 초기버전을 지원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정작 제대로 지원해줄 OS가 안 나왔는지라 결국은 V8이후 64비트 지원하게 된 이후 제대로 지원됨)


지원하는 파티션 타입은 기본적으로 FAT12/16/32뿐입니다만, 모듈이 탑재된 경우 NTFS/EXT2도 사용가능합니다 (제조사가 맘 내켜서 탑재해주던지, 셀 접근가능한경우 직접 컴파일한넘을 올리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지원하는 디스크 타입은

GPT인경우는 선택의 여지 없이 EFI로만 부트구성가능합니다


MBR인 경우는 둘 다 가능합니다만, 기본적으로 bcdboot로 구성시도하면 절.대. 양쪽 다 가능하도록 구성 안 해줍니다 (수동으로 윈도 설치디스크에서 efi폴더등을 복사해서 넣으시던지, 8이상 버전의 bcdboot에 ALL옵션을 줘야합니다)


단 주의점은 MBR에 양쪽 다 부트가능하게 구성한 경우 \boot의 mbr용 bcd랑 \efi\microsoft\boot의 efi용 bcd가 별도로 존재하는지라 반드시 수정시 양쪽을 다 수정해야한다는점과, efi용 bcd에 부트항목을 추가하면 기본으로 path가 winload.exe로 입력되는데, 이걸 반드시 winload.efi로 수정해야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이렇게 구성한 디스크를 구버전이나 일부 보드에서 사용하는 경우 UEFI용 부트로 인식 안 해주는경우가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제가 이 게시물 작성에 참조한곳이나 구글링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참조문서

https://en.wikipedia.org/wiki/Unified_Extensible_Firmware_Interface

https://technet.microsoft.com/en-us/library/hh824898.aspx






추신 : 답변할때는 자신부터 좀 더 제대로 알고 정확한 답변만 답시다 (모르는 경우 최소한 찾아본다음 답변 다는 성의는 가집시다) (잘못된 지식이 무한전파중)


추신2 : 이 재미도 두서도 없는 장문 읽느라 수고하셨습니다 (기억나는 부분과 문서를 훌어보고 즉석에서 대충 끄적인 무성의한 게시물)


추신3 : 본문에서 특정 회사의 이름을 연상시키는 단어가 포함되어져있고, 좋지않게 말하고 있지만, 절대 안티라던가 그래서 그런것 아니고 엄연한 사실(?)이니 테클 사절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3292 윈 도 우| W10에서 백업 및 복원(Windows 7) [8] 서비스 6286 6 08-12
3291 윈 도 우| (내용추가) 윈도우 10 자동 업데이트 끄기 & 자동 재시... [5] 슈퍼맨 13828 6 07-28
3290 소프트웨어| 하드 디스크 문제가 발견되었습니다. [10] 마니또우 6808 6 07-18
3289 윈 도 우| 127.0.0.1:8080/proxy.pac 때문에 인터넷 연결이 안될 떄 [5] 창과방패 4622 6 06-25
3288 소프트웨어| 제어판에 표시되지 않은 설치 프로그램 등록하기. [5] 구들목 4058 6 06-22
3287 윈 도 우| 블루투스 메뉴에 파일 보내기 받기 reg [1] 내찬RB 4195 6 06-22
3286 윈 도 우| PE 다이어트 소소한 팁 [16] 히이이잌 3184 6 04-22
3285 윈 도 우| RSImageX 로 esd파일 설치하기 [6] 은방 8041 6 06-02
3284 윈 도 우| [완결] NTFS Permission eraser 스크립트 [7] 빛과그림자 4413 6 05-04
3283 윈 도 우| 부팅시 CHKDSK 가 무한 반복 될때 [2] DOS 6237 6 05-16
3282 윈 도 우| 영국 마이크로소프트사로 전화 인증하기 [7] gooddew 8948 6 02-16
3281 윈 도 우| 크롬,오페라,파폭에서 메모장열기 [11] 언젠가는 5544 6 11-25
3280 소프트웨어| 파라곤 백업 앤 리커버리 14 컴팩트 활용 [9] sous_la_pl 7656 6 11-21
3279 기 타| 바이두 id 만들고, 2T 증설하기 [23] suk 12820 6 11-11
3278 기 타| 2. WDS 기능을 이용하여 와이파이 신호 확장하기 [2] 고양이2 5947 6 10-10
3277 윈 도 우| 작업표시줄에 폴더 바로가기 만들기[Youtube] [5] 오즈의맙소 5536 6 11-05
3276 소프트웨어| mkv에 자막내장 시킨후 영상,자막 자르기 및 인코딩 [1] 나홀로 6969 6 07-02
3275 소프트웨어| MobaLiveCD QEMU USB 부팅하기... [9] 아이언 4434 6 05-29
3274 윈 도 우| boot_usb.exe로 부팅가능 USB 만들기(윈도우또는 PE를 USB... [18] skyboarder 12072 6 05-21
3273 윈 도 우| Gimagex로 만능고스트 만들기 [18] ITforce 16975 6 04-05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