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윈 도 우 UEFI모드로 Win8과 Win7 멀티부팅하기(1)

2014.01.20 06:20

suk 조회:13519 추천:2

이게 왜 안 되신다고가 아니라 불가능하다고 하실까요? 너무 당연해서 팁으로 쓸 생각도 없었는데요

그동안 간간히 uefi는 멀티부팅이 안 된다, 심지어 불가능하다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할말이 없습니다

 

차라리 uefi로 설치가 안 되신다고 하면 이해가 갑니다. 보드가 지원 안 해주면 어쩔 수 없는거죠

근데 uefi로 설치는 되는데...2개는 설치 불가능? 이건 bcdboot 명령이 안 듣고, bcdedit도 할 수 없다는 의미가 됩니다

 

이런 일이야 말로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

 

암튼 오늘은 여기 질문게시판 댓글 때문에 또 괜히 테스트설치 해봤습니다

 

https://windowsforum.kr/qna/5334381

 

 

 

음.uefi모드로8과7이멀티안된다고계속주장하시는분들이조금계시더군요.png

 

최근에도 제가 저런 분들 댓글 때문에 8.1과 7 멀티부팅은 해봤습니다

사용기에 글 써놓고도 필요없는 것 같아서 삭제해버렸는데요. 안 되겠습니다. 이제 강좌로 못을 박아놔야겠네요 ㅎㅎ;

 

8이라고 하셔서 다시 8과 7을 uefi로 멀티부팅해봤습니다. 서론이 너무 기네요.

사실 내용은 별거 아닌데도 불구하고 저런 주장을 하시는 분들 때문에 글을 쓰기 때문에 서론이 기네요;;

 

이제 본론으로 넘어가서...

 

uefi멀티부팅-8에서7을추가합니다1.png

 

 

일단 8을 uefi로 설치했습니다. 저는 uefi 설치해보고 별로 좋지 않아서 계속 bios 모드로 사용합니다;

 

 

uefi멀티부팅-8에서7을추가합니다2.png

 

bcdedit만 봐도 다 알 수 있습니다. 현재 6.2버전이므로 8로 부팅했다는 걸 알 수 있죠

그리고 efi라고 되어 있어서 efi 모드로 부팅했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여기서 문제의 7을 멀티로 설치해보죠

다시 usb등으로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8설치하실 때 파일에서 install.wim파일만 7로 교체하시면 됩니다

 

매우 간단하죠?

 

그런데, 그냥 윈도상에서 해보겠습니다. 멀티는 윈도상에서 하는게 편합니다.

단일 윈도일때 다른 매체로 부팅이 필요하죠. 멀티는 그냥 그 자리에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uefi멀티부팅-8에서7을추가합니다-디스크관리.png

 

왼쪽귀퉁이에 우클릭하면 나옵니다. 또는 윈도+X 단축키를 말씀 많이 하시더군요

 

uefi멀티부팅-8에서7을추가합니다-디스크관리-볼륨축소.png

 

 

볼륨축소로 파티션을 만들어봅니다

 

uefi멀티부팅-8에서7을추가합니다-디스크관리-새파티션만들기.png

 

 

 

uefi멀티부팅-8에서7을추가합니다-디스크관리-새파티션만들기-성공.png

 

일단 새 파티션 만들었고요. 이미 있는 분들은 그냥 통과~

 

uefi멀티부팅-8에서7을추가합니다-7iso를더블클릭으로마운트합니다.png

 

이제 7 iso 파일을 더블클릭으로 마운트합니다. 8은 이게 좋죠

 

 

uefi멀티부팅-8에서7을추가합니다-esp시스템파티션이안나옵니다.png

 

 

이제 RsimageX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단지 bcdboot로 부팅파일 만드는데...efi 모드는 시스템파티션이 기본적으로 숨김파티션으로 되어 있어서 안 보입니다 ;

 

 

 

uefi멀티부팅-8에서7을추가합니다-esp시스템파티션이안나옵니다-diskpart로문자할당해줍니다.png

 

이 문제는 diskpart로 쉽게 해결됩니다.

 

diskpart

 

lis vol

 

sel vol 번호 ("시스템" 이라고 된 파티션을 선택합니다. fat3 포맷)

 

ass 로 문자할당해줍니다

 

lis vol 다시 하여 어떤 문자로 된건지 확인합니다

 

O:으로 자동할당 되었는데요. 스샷이 조금 짧군요;

 

* (추가: 디스크관리로 하면 안 되나요? 네, 안 됩니다. 그래서 diskpart로 합니다

 

efi시스템파티션은디스크관리로아무것도못합니다.png

그냥 efi시스템파티션은 먹통입니다; 아무것도 할 수가 없습니다.)

 

 

 

uefi멀티부팅-8에서7을추가합니다-설치합니다.png

사실, 순서는 diskpart부터 먼저 해야 합니다.

안 그러면 다시 새로고침(밑에 파일검색으로)하고 다시 RsimageX에 입력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bios 모드로 제작된 RsimageX이기 때문에...잘 살펴보셔야 합니다

활성, mbr 설치 이런거는 uefi에 없습니다. 다 체크해제..뭐 설정해도 별 지장은 없는 것 같습니다만. 해봐야 실행은 안 되니까요

 

여기서 제일 중요한거는 역시 부팅파일 만드는 bcdboot 입니다.

방금 문자할당한 O:을 선택하고, 옆에 uefi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만약, bios 모드로 부팅파일 만들어봐야 헛것입니다. 서로 파일 위치가 다릅니다.

 

uefi멀티부팅-8에서7을추가합니다-설치합니다-이화면이나와야부팅파일이생깁니다.png

 

 

이런 메시지가 나와야 합니다. 그러나, 위에서 bios모드로 부팅파일 만들어봐야 헛것이고요

 

 

uefi멀티부팅-8에서7을추가합니다-설치합니다-이화면이나와야부팅파일이생깁니다-7설치성공.png

 

 

이렇게 7을 uefi로 멀티부팅 성공했죠. 안 되는 걸 넘어서 불가능하다고 하시는 분들 때문에 써봤습니다 ;

 

 

 

uefi멀티부팅-8에서7을추가합니다-설치합니다-이화면이나와야부팅파일이생깁니다-7설치성공2.png

 

마지막으로 bcdedit로 멀티부팅이라는 걸 확인해드립니다.

 

현재 6.1버전으로 win7로 부팅했다는 걸 알 수 있고, 7과 8 을 efi 멀티 설치된 걸 알 수가 있죠

 

추가: win7부터 설치하고 win8을 멀티가능한가? 아무 문제 없습니다. bcdboot로 한방으로 다 해결됩니다.

---------

저는 또 이거 확인하고 와야겠네요. 안 해도 될 일을 많이 하네요 ;

---------

이것도 똑같은 방법으로 됩니다. 스샷도 했지만 같은거라서 지면만 차지하겠네요

약간 걱정한 부분은 bcdboot가 7과 8이 다르다는거죠. 그래서 7자체 bcdboot 명령으로는 uefi 명령을 내릴 수 없습니다

 

이거 때문에 설마 불가능이라고 하시나요? ;

이거야 간단하게 8 bcdboot로 하면 됩니다. (install.wim파일에서 추출하면 됩니다)

 

위 방법은 cmd 명령창에서 직접할때 약간의 문제이고요.

(추가: 이건 pe에서 그랬는데요. 윈도상에서는 7에서도 bcdboot e:\windows 만 하면 자동으로 uefi로 잘 되네요)

 

RsimageX에 8 bcdboot가 내장되어서 7에서도 아무 문제가 없었습니다

-----------

추가2(예고편): 일단 win8과 win7은 순서를 어떻게 하든지 멀티가 된다는 건 해보나마나 이지만 해봤고요

이제 서버2012(8계열)과 7을 해봐야겠네요. 서버라서 뭔가 다를 지도 모르지요? 근데 서버는 참...설치부터 좀 귀찮은 구석이 많던데요 ;

-----------

너무 길어져서, 다른 게시물로 올려야겠네요 ..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2308 윈 도 우| WIN GHOST 원도우81에서 고스트 자동 백업 후 자동종료 [3] 심씨 8032 1 02-10
2307 윈 도 우| Windows8.1_16610 빌드 확인하는 방법 [2] suk 6444 1 02-09
2306 하드웨어| 작업 별 그래픽카드 메모리 점유율 [1] 메트로작전 6759 1 02-08
2305 윈 도 우| 8 PE에 소리 나오게 하기 [10] suk 8800 3 02-06
2304 서버 / IT| vmware 비프음 없애기 [2] 손에손잡고 5728 0 02-06
2303 하드웨어| 무선랜이 보안설정 안함에서만 작동하는 버그 해결 방법. [3] tigersim 4418 1 02-04
2302 소프트웨어| UEFI에 대한 정리 [14] DarknessAn 11835 6 02-04
2301 윈 도 우| 윈도우 7 인증 토큰에서 OEM 인증 라이선스 추출하기 [4] DOS 9846 3 02-02
2300 윈 도 우| 윈도우 7 OEM 라이선스 최적화하기 [3] DOS 11682 1 02-02
2299 소프트웨어| 고스트 사용시 no DPMI memory 에러 대처법 [2] DOS 4587 1 02-01
2298 윈 도 우| ssd + efi 부팅 [4] 유라쥐 10084 2 01-31
2297 소프트웨어| 네이버 오피스 사용법 [12] 고양이2 6540 9 01-30
2296 윈 도 우| [추가] RSimageX로 멀티 설치하기 [10] suk 10507 1 01-30
2295 윈 도 우| GPT 파티션 삭제 하기 [1] DOS 9683 1 01-30
2294 기 타| Explorer Shell, MMC - WIN7 PE에 수동으로 넣어 주기? [4] 나홀로 6006 1 01-30
2293 소프트웨어| 악성코드 범람 시대, 이제 사용자 계정 컨트롤은 필수! [7] 메트로작전 9683 1 01-26
2292 기 타| PlayReady 업데이트 시 Windows Media Center 설정 실패시 ... wildboy 3734 1 01-25
2291 윈 도 우| USB 부팅 스샷 Win8MpeL20130519 [1] DaBin 8745 1 01-24
2290 기 타| 간단히 속도측정 [2] tanny tale 6115 2 01-21
2289 윈 도 우| UEFI모드로 서버2012과 Win7 VHD 멀티부팅하기(2) [7] suk 7586 1 01-20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