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

2013.09.23 17:07

아름다운소망 조회:6859 추천:2

- 리눅스 기본 명령어 사용법 -

login

사용자 인증과정

리눅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multi-user 개념에서 시작하였기 때문에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로그인을 하여야 합니 다. 로그인은 PC 통신에서도 많이 사용되어져 왔기 때문에 그 개 념  설정에 그다지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흔히 말하는 ID를 입력하는 과정입니다. 

passwd

패스워드 변경

리눅스, 특히 인터넷의 세계에서는 일반 컴퓨팅 상황에 비하여 훨씬 해킹에 대한 위험이 높습니다. 패스워드는 완성된 단어 보다는 단어 중간에 숫자나 키보드의 ^, #, ' 등과 같은 쉽게 연상 할 수 없는 기호를 삽입하여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du

하드사용량 체크(chkdsk)

자신의 하드공간을 알려면
# du 
특정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알려면
# du -s diretory_name

ls

파일 리스트 보기(dir)

F : 파일 유형을 나타내는 기호를 파일명 끝에 표시
    (디렉토리는 '/', 실행파일은 '*', 심볼릭 링크는 '@'가 나타남).
l  : 파일에 관한 상세 정보를 나타냅니다.
a : dot 파일(.access 등)을 포함한 모든 파일 표시.
t  : 파일이 생성된 시간별로 표시
C : 도스의 dir/w명령과 같 이 한줄에 여러개의 정보를 표시
R : 도스의 dir/s 명령과 같이 서브디렉토리 내용까지.

(예)
# ls -al  
# ls -aC
# ls -R

cd

디렉토리를 변경

# cd cgi-bin     : 하부 디렉토리인 cgi-bin으로 들어감.
# cd  ..             : 상위디렉토리로 이동
# cd 또는 cd ~  : 어느곳에서든지 자기 홈디렉토리로 바로 이동
# cd /webker     :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하위나 상위 디렉토리가
                          아닌 다른 디렉토리(webker)로 이동하려면 /로 
                          시작해서 경로이름을 입력하면 된다.

cp

화일 복사(copy)

# cp index.html index.old 
     : index.html 화일을 index.old 란 이름으로 복사.

# cp /home/test/*.*  . 
     : test 디렉토리내의 모든 화일을 현 디렉토리로 복사.

mv

파일이름(rename) / 위치(move)변경

# mv index.htm index.html
     : index.htm 화일을 index.html 로 이름 변경

$ mv file  ../main/new_file 
     : 파일의 위치변경

mkdir

디렉토리 생성

# mkdir download  : download 디렉토리 생성

rm

화일삭제

# rm test.html : test.html 화일 삭제
# rm -r <디렉토리> : 디렉토리 전체를 삭제
# rm -i a.* 
     : a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을 일일이 삭제할 것인지 확인하면서 삭제 

rmdir

디렉토리 삭제

# rmdir cgi-bin : cgi-bin 디렉토리 삭제

pwd

현재의 디렉토리 경로를 보여주기

pico

리눅스용 에디터

put

ftp 상태에서 화일 업로드

> put  guestbook.tar.gz

get

ftp 상태에서 화일 다운로드

> get  guestbook.tar.gz

mput 또는 mget

여러개의 화일을 올리고 내릴때 (put,get과 사용법동일)

chmod

화일 permission 변경

리눅스에서는 각 화일과 디렉토리에 사용권한을 부여.

예) -rwxr-xr-x   guestbookt.html
rwx  :처음 3개 문자 = 사용자 자신의 사용 권한
r-x  :그다음 3개 문자 = 그룹 사용자의 사용 권한
r-x  :마지막 3개 문자 = 전체 사용자의 사용 권한

읽기(read)---------- 화일 읽기 권한
쓰기(write)---------- 화일 쓰기 권한
실행(execution)---------- 화일 실행 권한
없음(-)---------- 사용권한 없음

명령어 사용법
chmod [변경모드] [파일]

# chmod 666  guestbook.html
     : test.html 화일을 자신에게만 r,w,x 권한을 줌

# chmod 766  guestbook.html
     : 자신은 모든 권한을 그룹사용자와,전체사용자에게는 
       읽기와 쓰기 권한만 줌

alias

" doskey alias" 와 비슷하게 이용할 수 있는 쉘 명령어 alias는 말그대로 별명입니다. 사용자는 alias를 이용하여 긴 유 닉스 명령어를 간단하게 줄여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들 앨리어스는 [alias ls 'ls -al'] 같이 사용하시면 되는데, 한 번 지정한 alias를 계속해서 이용하시려면,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있는 
.cshrc(Hidden 속성)을 pico등의 에디터를 이용하여 변경시 키면 됩니다.

ca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파일을 만드는 명령( 도스의 TYPE명령)

# cat filename

more

cat 명령어는 실행을 시키면 한 화면을 넘기는 파일일 경우 그 내용을 모두 볼수가 없다. 하지만 more 명령어를 사용하면 한 화면 단위로 보여줄 수 있어 유용.

# more <옵션>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Space bar : 다음 페이지
Return(enter) key : 다음 줄
v : vi 편집기로 전환
/str : str 문자를 찾음
b : 이전 페이지
q : more 상태를 빠져나감
h : 도움말
= : 현재 line number를 보여줌

who

현재 시스템에 login 하고 있는 사용자의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 who

whereis

소스, 실행파일, 메뉴얼 등의 위치를 알려줍니다

# whereis perl : perl의 위치를 알려준다

vi,
touch,
cat

새로운 파일을 만드는 방법

# vi newfile :  vi 편집기 상태로 들어감
# touch newfile : 빈 파일만 생성됨
# cat > newfile  : vi 편집기 상태로 들어감, 문서 작성후 Ctrl+D로 빠져나옴

cat,
head,
tail

파일 내용만 보기

# cat filename         : 파일의 내용을 모두 보여줌
# head -n filename : n줄 만큼 위세서부터 보여줌
# tail -n filename     : n줄 만큼 아래에서부터 보여줌

리눅스 하실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2150 소프트웨어| ElementaryOS 최소화 버튼 활성화 [7] 리눅스 4458 0 10-03
2149 ElementaryOS 창 최소화 최대화 설정하기 [4] 네팔남 3251 0 10-01
2148 리눅스 그놈 최소화 최대화 버튼 만들기 [3] 카리스마조 3463 0 10-01
2147 우분투 기초 한글설명서 [6] 지나다 4842 6 10-01
2146 리눅스...터미널 루트권한. [5] flyingbear 4376 0 10-01
2145 소프트웨어| Chrome에서 새탭으로 검색결과 띄우기 [2] 빛과그림자 4777 0 10-01
2144 우분투설치후 기본설정. [3] flyingbear 3230 2 10-01
2143 ElementaryOS에 CMPlayer 설치하기 [5] 카리스마조 3788 2 10-01
2142 서버 / IT| 윈도우 8 기본 VPN 활용하기 [1] DOS 11516 1 09-30
2141 윈 도 우| 윈도우 8.1 스타트 버튼 없애는 법 [2] sous_la_pl 7978 0 09-30
2140 소프트웨어| 파일 다운로더 생성 매니저 및 다운로더 v1.00 사용법 [6] 뉴타입01호 4387 3 09-30
2139 윈 도 우| warning.or.kr 차단을 우회하자 [20] DOS 16433 5 09-29
2138 윈 도 우| 윈도우 8.1 키 정보 확인하기 [2] DOS 18483 1 09-29
2137 리눅스에 윈도우즈 설치하기 카리스마조 3914 0 09-29
2136 주분투에서 스크린샷 사용하기 카리스마조 2958 0 09-29
2135 리눅스 32비트에서 4G이상 메모리 사용하기 [1] 카리스마조 3477 0 09-29
2134 리눅스 업데이트 빠르게 하기 [3] 카리스마조 3288 2 09-29
2133 리눅스에서 설치된 프로그램 제거하기 [1] 카리스마조 2900 0 09-29
2132 윈 도 우| 윈도우 8 (8.1) 포토뷰어 오렌지색 버그(?) 해결 방법 [2] sous_la_pl 6534 2 09-28
2131 윈 도 우| 윈도우 8 사용자 폴더들 레지스트리 값 [1] DOS 5499 1 09-2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