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VHD 으로 클린 설치 해보았습니다.

2009.11.04 01:14

Mizrino 조회:13467

vdisk_f10_3.PNG 가끔 야기치 못한 사건들이 내 O/S에 발생 하곤 합니다. 어느때는 바이러스 어느때는 심각한 오류등등...

그리하여 선택한것이 VHD 기능을 활용 하는 것이였는대 때 마침 Snoopy님께서 포스팅을 해주셨더군요..

 그리서 도전 해보았 습니다.

 Wim 파일를 VHD으로 변환하여 사용 해보러 했으나 그것조차 제대로 작동 하지 않았습니다.

 어찌된 영문인지 무뇌한 저로썬 알길이 없더군요.

 그래서 택한것이 (USB)DVD 으로 부팅하여 설치 화면에서 Vdisk을 생성하고 Windows 7 Ultimate K 64를 설치 하게 되였습니다.

 명령어라 해봤자 단 몇줄 되지 안으니 쪽지에 적어두고 해보면 근방 이더군요..

x:\sources\diskpart

x:\sources\create vdisk file d:\win7.vhd maximum=20480 type=expandable

x:\sources\attach vdisk

x:\sources\exit

딱 4줄이군요..

 설명 들어갑니다.

 1. diskpart 이라는 툴을 이용하여 Vdisk 파일을 생성 할것입니다.

 2. Create Vdisk file 여기까지는 대충 알수 있겟죠? 가상 하드디스크 파일를 만들어라 대상은 D: 으로 하고 이름은 win7.vhd 최고 용량은 20480Mb 즉 20GB가 되겠죠? 그러나 고정으로 한다면 문제가 되겠지요 그래서 동적확장을 선택 하였습니다. expandable

 3. 가상 하드디스크을 활성하여 인식 시키는 단계입니다.

 4. 모든 명령들이 끝났으니 종료 해야 겠죠?

 이제 20GB의 Vdisk가 생성 되였고 다시 설치 화면으로 복귀 하였습니다. 이제 Windows를 설치하듯 설치 하시면 됩니다.

 몇번의 재 부팅이 이뤄지고 설치가 완료되면 기타 여러가지 작업들을 완료 하세요(드라이버라든가 필요 유틸 설치라 든가)

 이제 정상 윈도우즈으로 부팅합니다. 내가 만든 파일이 어느정도 크기인지 알아보기 위함이고 설치된 Vdisk을 백업하기 위함이라고 생각 하시면 편합니다.

 여기서 정상 윈도우즈로 부팅 하려 했으나 처음 부팅(처음 윈도우 설치시)화면과 차이가 나더군요 즉 멀티 부팅이 되였다는 거죠.. 위 단계에서 Vdisk을 생성하고 윈도우즈을 설치 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멀티 부팅이 되도록 diskpart에서 저장 되였다는 것을요

 정상 윈도우즈로 부팅 하였다면 저장된 즉 2번항목에서 지정했던 파일을 다른이름으로 혹은 다른곳으로 복사 하세요 다음에 클린 설치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함입니다.

 역시 VHD는 편하면서 좋은 기능중 하나라고 생각 합니다.

 언제든 클린 설치한 상태로 되돌릴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상태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는 것도 있기도 합니다. 너무나 많은 S/W을 설치 하고 제거 하는 과정에서 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활동을 하지 못하는 단계에 이렸을때 처음 상태로 손쉽게 되돌릴수 있기 때문입니다.

  혹은 바이러스? 악성코드? 해킹에 위헙? ㅋㅋ 되 돌아가면 끝입니다.

 여기서 한가지 문제점이 있군요.. 어찌 하면 클린 설치한 상태로 되 돌아가는냐 하는겁니다.

 제가 머 천재적인 사람도 아니고 그렇다고 많이 배운것도 아닌대 말이죠.. 클린 즉 께끗한 상태로 되 돌아간다는것...

 이 기능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알아봐야 할거 같습니다. 그냥 백업 해뒀던 파일을 원위치로 되돌리면 되는건가?

 총 3번에 실험을 했습니다. 처음 Vdisk을 생성하여 Windows 제품들을 설치하고 되 돌아가는 작업들을...

 역시 좋더군요.. 물리 HDD을 건들이지 안고도 윈도우즈를 설치 할 수 있다는 점이..

vdisk_f10.PNG vdisk_f10_1.PNG vdisk_f10_2.PN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599 ie8, 파폭, 오페라, 크롬, 사파리 [18] 바들바들 8834 0 01-16
598 Rollback RX 와 Comodo타임머신의 메모리 사용량 가벼움 비교. [6] 타미Full루 8024 0 01-16
597 경제적인 무소음 저발열 시스템. [18] maxim 7315 0 01-16
596 스파이웨어 닥터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했습니다. [구글 패키... [12] 율짱 8517 0 01-15
595 무료 1 TB 웹 저장공간을 사용해보니... [17] LiveREX 11907 0 01-15
594 TeamViewer 버그 고쳤군요. [10] 주전자 6974 0 01-15
593 Windows Vista 및 7 에서 버그인듯? [178] 유기농초코 14389 0 01-14
592 펜티엄3 733 640메가 윈도7 설치ㅠㅜ [16] 성만 8714 0 01-13
591 BTC정보통신 모니터 A/S 비용 상담했더니 비용이... [21] 가리워진길 10299 0 01-12
590 TeamViewer 한테 배신 당했네요. [9] 주전자 12015 0 01-12
589 Windows 7 인터넷 손실률... [16] 주전자 12616 0 01-11
588 FFDShow 코덱 DXVA 간단 테스트 [11] 고달픈명탐 18294 0 01-10
587 지피전자 큐센 GP-K5000 사용기 및 리뷰 [9] 로하 8926 0 01-09
586 Strokeit, TotalCMD와 충돌... [3] 아프리카 13399 0 01-07
585 nVidia GT240 그래픽 카드 사용기 - 1편 [3] 고달픈명탐 14025 0 01-04
584 서버2008 R2 를 데스크탑용으로 시도하다. [17] 성만 9767 0 01-02
583 WIN7쓰다보니 불편한 점들 [17] 워너비 17578 0 01-02
582 USB 샌디스크 & 메모렛월드 HDtune비교 [10] 바들바들 7684 0 01-02
581 Winamp + DFX Vs JetAudio [10] 보노짱 10371 0 01-02
580 Portable Your Uninstaller 2010 Pro 7.0.2010.11 이걸 썼... [10] 율짱 7709 0 01-0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