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달이란 건

2011.06.19 11:59

유체이탈 조회:1911

달은 지구주위를 도는 천체입니다..

우리가 볼수 있는 천체중에서 태양다음으로 밝게 볼수 있죠..

보름달의 경우 실시등급이 -15등급정도 됩니다..

달의 몇가지 특징이 있다면 동주기 자전을 하기에 지구에서는 달의 한쪽면밖에 볼수 없

다는 사실이죠..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천체인만큼..

1969년 최초로 인류가 발을 디디게 돼었죠..지구말고 다른 천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할수 있죠...

달은 대기가 없기 때문에 밤낮의 온도차가 심하며..태양이 비칠경우엔 몇백도까지

올라가는한편 추울땐 영하몇백도까지 떨어진답니다...이러한 심한 온도차이때문에..

암석이 자잘하게 부서져서 고운 모래가루가 돼는거죠...암스트롱이 찍은 발자국을

보시면 아실겁니다..

또 풍화작용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달에 떨어진 운석으로 인해 생긴 구덩이들은

아주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고 남아 있답니다...크기와 중력에 비하면..지구가

훨씬 많이 운석구덩이가 남아있어야하는데..지구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걸 보면..

대기의 유무가 큰 영향을 끼친다는걸 알수 있죠..

이외에도 달에도 지진이 일어난다는등..

바다와 산이 존재한다는등...다른 행성에 비해서 지구대 달의 크기가 너무 크다는등..

1. 가장 큰 행성

2.대적점이 있다. (대기의 소용돌이)

3.적도에 나란한 줄무늬가 있다.

4.강한 자기장과 오로라 현상이 나타난다.
5.갈릴 레이 위성이라는 위성들을 가지고 있다( 가니메데, 이오, 에우로파, 칼리스토)

그리고 목성형 행성의 특징이 따로있어요..

참고 특징 --- 대체로 바깥쪽 궤도이다.

1.크기(반지름) - 질량 크고, 밀도가 작다.

2.내부 구성물질 - H2(->수소),He(헬륨)

3.자전 주기 낮다 ㅡ> 편평도가 높다.

4.대기 성분 --- 위에 2와 같음.

5. 위성수가 높다

6.고리(테가 있다)

7.대기층이 높다.

그리고 달의 크기 입니다.

1. 달이 근지점(지구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보름달?되었다면 가장 크게 보입니다.

 

달은 지구를 중심으로 타원 궤도를 그리며 공전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지구에 가까워지고 멀어집니다.

따라서 달의 실제 크기는 변함이 없지만 지구 에서 관측되는 달의 크기는 달라집니다.

달이 지구에서 356,410Km 떨어진 근지점에 있을 때 달의 시직경은 33.5분으로 406,697Km 떨어진 원지점에서의 시직경 29.4분보다 약 1.14배 크게 보입니다.

 

 


2. 달이 지평선 근처에 있을 경우 가장 커보입니다.


달이 지평선에 있을 때 커보이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지평선에서는 달과의 크기를 비교해 볼 만한 물체가 많기 때문입니다.

집이나 나무 등과 비교해 봤을때 달이 상대적으로 크게 보이는 것입니다.

 

두번째로, 지구의 대기 때문입니다.

지평선 부근에서 달빛이 들어온다면 하늘 높은 곳에 있을 때보다 훨씬 두꺼운 대기층을 통과해야 합니다.

두꺼운 대기층을 통과하게 되면 빛의 산란이 많이 일어나서 높은 곳에 뜬 달보다 커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달이 커보이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사람의 착시현상입니다.

이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수백년간 일반인은 물론 과학자들 사이에서 논쟁거리가 됐던 달에 대한 수수께끼가 미국의 부자(父子) 과학자에 의해 풀렸다.

수수께끼는 바로 달이 하늘 높이 있을 때보다 지평선 가까이 있을 때 더 커보이는 이유에 대한 것이다.

달이 하늘 높이 떠 있을 때보다는 지평선 가까이에서 더 커보이는 것은 누구나 느끼는 현상으로 `달 착시(moon illusion)'라고 한다. 하지만 그 원인은 수백년에 걸친 과학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밝혀지지 않았다.

미국 학술원회보(PNAS)는 최근호(4일자)에서 미국 뉴욕대 심리학자 로이드 카프만 교수와 그의 아들인 IBM 알마덴연구센터 물리학자 제임스 카프만 박사가 `달 착시현상의 원인을 실험을 통해 밝혀냈다며 표지논문으로 다뤘다.

달이 지평선 근처에 있을 때나 높은 하늘에 떠 있을 때나 지구에서 볼 때 거리와 크기가 실제로 거의 똑같기 때문에 달착시현상은 사실 사람의 뇌가 외부 정보를 받아들여 해석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착각이다.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이 현상에 대해 두가지 설명이론을 제시했으나 두 이론은 서로 반대되는 것이어서 논란이 돼 왔다.

달 착시현상 설명 이론 중 더 오래된 것(겉보기-거리 이론)은 달이 지평선 근처에 있으면 주변 지형 등의 정보가 뇌의 거리인식에 영향을 미쳐 달이 실제보다 더 커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반면 1965년에 등장한 다른 이론(겉보기-크기 이론)은 높이 뜬 달이 더 작아 보이기 때문에 뇌가 지평선 근처의 달보다 더 멀리 있는 것처럼 인식한다고 설명한다.

즉 `겉보기-거리 이론'은 뇌가 먼저 물체가 있는 곳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크기가 달라보이는 착시가 생긴다는 것이고 `겉보기-크기 이론'은 눈으로 보이는 크기 차이에 따라 거리가 실제보다 멀거나 가깝게 인식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카프만 박사팀은 최근 컴퓨터와 광학계를 이용, 지평선 근처와 높은 하늘에 떠 있는 달을 만들어 보여주는 실험으로 `겉보기-거리'이론이 옳음을 입증했다.

달 착시현상은 인간의 뇌가 지평선 근처의 달이 하늘 높이 떠 있는 달보다 더 멀리 있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이다.

즉 지평선 근처의 달이 하늘 높이 떠 있는 달보다 멀리 있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멀리 있는 것은 작아보인다'는 상식을 보완하려는 작용으로 달이 실제보다 더 커져 보인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실험 참가자들은 지평선 근처의 달이 높이 떠 있는 달보다 자신들로부터 4배나 더 멀리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터 모니터에 띄운 달을 더 가까이 옮길 경우 달이 오히려 더 작아보인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는 끝이 점점 좁아지는 철로 그림의 가까운 곳과 먼 곳에 길이가 같은 선을 그렸을 때 먼 곳에 그린 선이 더 길어보이는 `폰조 원근착시(Ponzo perspective illusion)'와 비슷한 현상이다.

지평선 근처의 달이 멀리 있다는 착각을 없애는 실험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다.

즉 엄지와 검지로 만든 조그만 틈이나 파이프를 통해 달을 보면 주변 지형이 아무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하늘 높이 떠 있는 달과 크기가 같아 보이게 된다.

카프만 교수는 '인간은 물체까지의 거리에 관계없이 실제 크기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어 멀리 있는 자동차나 나무 등은 작게 보이지만 뇌는 실제 크기를 가늠할 수 있다며

이런 뇌와 시각 작용이 달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것'이라고 말했다.그리고 달에 온도입니다.

 

달의 온도는 영하 150도 이고

이세상에서 가장낮은온도는

영하 273도 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달의 뒷 표면이 외계인의 기지라는 말도 있습니다

실제로 아폴로 11호가 달을 찍힌 사진 뒤 표면에서

ufo비행물체가 찍힌 사진도 있구요

더욱 신기하고 의심스러운 것은 지구에게 보여주는 달은

절대로 뒷표면은 보여주지 않고 항상 앞표면만 보여주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외계인이 있다는 43%의 증거가 있습니다

물론 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게 활동하는 것 뿐이겠지요

그리고 달의대한 의문점은 굉장히 많습니다..

우리가 매일 보는 달은 사실 달이 아닌 금성을 보고있다는

말도 최근에 떠들고들 있지요..아폴로 11호 암스트롱이 실제로

달에 가지도 않았다는 거짓설도 있구요

사실 달에 갔긴 갔는데..우리가 생각한 것 처럼 아름답지 않고

형편없고 아주 지옥 같은 모습이라서

촬영 카메라에 몰래 쇠못을 짚어넣어 조작했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그 비밀은 미국인들 밖에 알 수 없겠죠..?

달은 미국인들 밖에 가지 않았으니까요..언젠가는 달의 대한 비밀을

풀 수 있을 것입니다~
*(달은 우주선을 타고 4일 이면 갈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등록일
[공지] 자유 게시판 이용간 유의사항 (정치, 종교, 시사 게시물 자제) [1] gooddew - -
9849 '서명' 기능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8] 고달픈명탐 1559 06-19
9848 웹하드에 윈포자료 내놓고 파는사람들 뭔가요.ㅡ,.ㅡ [3] MISOPE 1624 06-19
9847 크롬플러스에서 가끔 로그온시 어느세 OFF가 되는 현상.... [3] 리버넥스 1184 06-19
9846 A당과 N당 그래픽카드 [8] 그냥사용자 1972 06-19
9845 날이 더워서 시스템 다운 [19] 파시피카 1505 06-19
9844 요즘 팬속도가 [5] MMORPGbara 1111 06-19
9843 [도움요망] 쩌는 제 놋북 사양. [10] 우물마인 2155 06-19
9842 바퀴벌레 IQ 아이큐, 위기때 340 이상 ‘사람보다 높아’ [6] 유체이탈 2252 06-19
» 달이란 건 [6] 유체이탈 1911 06-19
9840 50~60 으로 본체 견적좀 내주세요 ㅜㅜ [4] 쩐다 " 1344 06-19
9839 이런 XX때문에 욕설이 나오네 [5] 괴도키드 2387 06-19
9838 요즘 이상하게 4월달 부터 업데이트 [2] Tiffany &a 1918 06-18
9837 창 & 방패 그리고 KJ [5] boksiri 3347 06-18
9836 IRC 유저가 많이 없어졌네요.. [5] NY♥ 1330 06-18
9835 SK Broadband 특정 사이트 접속 불능 [44] 고달픈명탐 3287 06-18
9834 돌아다니다가 긁어온 옛날자료. [7] 응답없음 1893 06-18
9833 IObit Malware Fighter << 괜찮네요 [2] 괴도키드 1386 06-18
9832 회원 자료실도 사라졌네요.. [7] 초원의빛 2346 06-18
9831 크롬 12 에러 많은가요? [3] 너와사랑 1372 06-18
9830 그렇게 웹하드에 올리지 말라고 했건만... [11] 민야빠 2092 06-1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