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TBWinPE.exe 로 숨김파티션 PE 1회 부팅 프로그램 입니다

2024.05.24 20:15

왕초보 조회:989 추천:35

 

종료하셨습니다

 

PE 1회 부팅에 TBWinPE.exe 파일을 활용한적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wim 파일 위치만 알면...BCD에 등록하지 않아도(TBWinPE.exe에서 자동 등록을 해줍니다) PE 1회 부팅을 할수 있는

것이 장점이죠..

 

요즘은 BCD에 고정된 GUID 값을 활용하고 있어서 TBWinPE.exe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BCD 관련해서는 Bootice 프로그램을 공부를 하시면 원하시는것들을 다 할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에서 소개를 할때 여러번 클릭을 해야하는

과정을 설명을 해야해서 조금 난감할때가 있습니다

 

수리수리님이 숨김파티션을 활용하시는 사용기를 써주신 덕분에 지난 사용기에서 숨김파티션에 있는 PE를 편하게 등록하고 부팅하기 위해

PESettings RecoveryPE v1.0를 소개를 해드렸습니다..기능이 간단해도...어떤것이든 익숙해지기 전에는 불편할수 있습니다.

Bootice에서 할수 있는것을 조금 편해보려고 한것입니다..오히려 복잡해 보일수도 있습니다

 

TBWinPE.exe도 PE가  숨김파티션에 있어도 PE 1회 부팅을 할수 있습니다

숨김파티션에 있기 때문에 드라이브 문자가 없어서 DeviceID라는 값을 활용을 해야 합니다

 

TBWinPE.exe는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 받으실수 있습니다 5월 19일 업데이트가 되었습니다..

PE를 만드는 프로그램이어서 어떤것이 업데이트 되었는지는 살펴보지 않았습니다..

 

Creating a TeraByte WinPE Boot Disc Containing

https://www.terabyteunlimited.com/ko/howto/tbwinpe_tutorial/

 

TBWinPE.exe 관련해서는 다양한 사용기들이 있고 1회 부팅에 활용이 되어서 많이들 알고 계실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들을 사용기들을 참고하여 주십시요

 

드라이브 문자가 없는 경우 1회 부팅 예제입니다

드라이브 문자 대신에 \\?\Volume{3cdba6bf-0c87-993e-6bde-77590f490200}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tbwinpe.exe /bootwim "\\?\Volume{3cdba6bf-0c87-993e-6bde-77590f490200}\IFW Offline\boot.wim"

 

PEBoot_v11.0의 간단한 기능입니다

1. 다이어트 된 PE에서는 자동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서 아예 윈도우에서만 실행됩니다

2. 64bit 버전입니다

3. 숨김 파티션의 DeviceID 값을 추출할수 있습니다 

4. PEBoot.ini 등록된 PE만 부팅을 합니다..

 

레지등록 기능등은 아예 없습니다..단순히 PEBoot.ini에 지정한 PE를 TBWinPE.exe로 부팅만 합니다.

숨김 파티션고 핫키를 등록해서 사용하는 복구시스템에서 BCD 메뉴에 등록하지 않고 숨김파티션에 있는 PE를 윈도우에서 부팅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것입니다..그래서 다른 기능은 없습니다

 

1. UEFI 시스템에서 숨김파티션을 설정한 파티션입니다

1.jpg

 

2. 중요한 부분입니다..숨김파티션으로 할때 GUID외에 OEM과 자동 문자열 할당 안함을 체크가 되어야 합니다

   주의! 숨김을 체크하시면 안됩니다  여기에 체크가 되면 숨김파티션의 DeviceID 값을 알수가 없습니다

2.jpg

 

3. BCD 관련해서는 Bootice가 만능이죠.. 숨김파티션에 PE가 있어서 숨김파티션이 메뉴에 보여서 등록을 할수 있습니다

3.jpg

 

4. 숨김파티션에 있는 PE가 등록이 되었습니다

4.jpg

 

5. BCD에 등록이 되었습니다

5.jpg

 

6. 숨김파티션에 있는 PE로 등록이 되었습니다

6.jpg

 

7. 이미 BCD에 등록된이 있는 메뉴를 숨기기 위해서는 bootice 전문가 모드에서 숨기기를 할수 있습니다 

7.jpg

 

8. 여기에서 삭제를 하면 BCD 메뉴에 보이지 않습니다..보이지만 않은것 입니다

8.jpg

 

9. 보이는 메뉴에서 숨김으로 되었습니다

9.jpg

 

10. 쉬운 모드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10.jpg

 

11. 필수 프로그램들입니다

11.jpg

 

12. 빼먹어서 나중에 캡처를 하였습니다..cmd를 실행하면 GUID.txt를 메모장에서 보여줍니다.

     bootice에서 속성에서 숨김을 하지 않아여 아래처럼 숨김파티션의 볼륨명과 DeviceID값이 보입니다..이것을 복사해서...

12.jpg

 

13. 여기에 추가를 해주시면 됩니다..DeviceID는 드라이브 문자 대신입니다..나머지 경로를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13.jpg

 

14. 우클릭도 없고..그냥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확인 메세지가 나옵니다..직접 pe를 등록을 해서 pe인지 체크등을 하지 않습니다

14.jpg

 

15. PEBoot_v11.0.exe로 DeviceID값을 추출할때는 관리자 권한이 필요없어서 PEBoot_v11.0.exe는 관리자 권한 실행을 하지 않습니다

  TBWinPE.exe에서 관리자 권한 실행이 됩니다

15.jpg

 

16. TBWinPE.exe에서 알아서 윈도우에 있는 boot.sdi를 복사해 줍니다.. 부팅 과정에 따른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16.jpg

 

17. 저용량 PE에서는 TBWinPE.exe가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어서 윈도우에서만 실행 됩니다

17.jpg

 

18. MBR 입니다..

18.jpg

 

19. 파티션 ID를 27로 해서 숨김파티션을 설정하고 드라이브 문자를 제거를 하면 됩니다

19.jpg

 

20. id 27로 숨김파티션이 되었습니다

20.jpg

 

21. cmd를 실행하면 DeviceID값이 보입니다..

21.jpg

 

22. ini에 설정을 하여 주시면 됩니다

22.jpg

 

23. 부팅 확인 메세지입니다

23.jpg

 

24. PE로 부팅이 잘 되었습니다

24.jpg

 

25. TBWinPE.exe의 경우 pe 등록시 winload.exe 파일 경로가 Windows\system32 폴더입니다

  bcdedit.exe로 등록시에는 Windows\system32\boot 폴더 입니다 혹시 TBWinPE.exe로 부팅이 되지 않으면 Windows\system32 경로에

  파일이 없어서 일수 있습니다..Windows\system32\boot폴더에 있는 파일들을  Windows\system32에 복사하시면 됩니다

  winload.efi winload.exe 파일 입니다

25.jpg

 

26. PureBasic으로 만든 64bit 입니다..아래처럼 검출이 되고 있습니다..감안을 하고 다운 받아 주십시요

26.jpg

 

27. TBWinPE.exe 파일을 기업에서 만든것이어서 인지 제로가 나오네요...부럽습니다

27.jpg

 

28. 마무리

백업 파일을 보호하기 위해서 숨김파티션을 활용하시는 경우가 있으실것입니다..특히 핫키를 등록해서 활용하는 경우에는 BCD에 PE를

등록하지 않으실것입니다...이런 경우에 활용을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BCD 관련해서는 만능인 Bootice가 있습니다..PE를 활용하시는 분이시라면..Bootice는 필수로 사용법을 익혀두시면..다양한 활용을 할수가

있습니다..적극 추천드립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편안하신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1159 윈 도 우| 무월님 AutoInstall 질문/답변 올라온 내용보고 수정 ... [8] 수리수리 773 16 06-05
11158 기 타| QuantumPE FMT_F_ USB 테더링 & MTP SystemF [129] update 격자 1557 312 06-04
11157 기 타| System PE 7 / 감사합니다 잘 사용합니다. [30] UMIN.J 771 41 06-04
11156 윈 도 우| 집앞의 큰나무님 7-System boot pe 감사 사용기 입니다^^ [19] 수리수리 762 34 06-03
11155 기 타| 7 System PE ( C:할당 문제 수정 ) [327] 집앞의_큰 1983 468 06-03
11154 소프트웨어| WimInfo 이용 PE에 VMD 드라이버 추가 하기 [22] 입니다 807 52 06-03
11153 소프트웨어| 마감 ) 잠시 배포 SPiRiTY님 한글 패치 적용 포터블 [46] 염라대왕 1911 209 06-01
11152 윈 도 우| 14세대 조립컴 윈도우포럼 대표 pe 3종 테스트 문제 해결... [13] 수리수리 1309 17 06-01
11151 윈 도 우| 윈도우 11 24H2 26100.751 최신빌드 KB5037874 [12] 더블K 1170 11 06-01
11150 기 타| PE 수정사용기 자료준비중 [28] V무등산V 872 63 05-31
11149 윈 도 우| 14세대 조립컴 윈도우포럼 대표 pe 3종 테스트 문제발생 ^^ [11] 수리수리 955 14 05-31
11148 윈 도 우| (수정)실컴 로그인 암호 생성 또는 지우기 -Test [44] 집앞의_큰 896 86 05-31
11147 기 타| PE 부팅 직후 적당한 DPI 적용해 보기 [49] 집앞의_큰 734 94 05-31
11146 소프트웨어| [배포] 모니터의 입력 전환을 편리하게 키보드의 핫키를 이... [5] 상발이 917 16 05-31
11145 기 타| WinXPE147수정버전_20240322_23H2 (빌드22635.3646) [87] 격자 956 190 05-30
11144 소프트웨어| 오늘 날짜로 오피스 2021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3] 더블K 831 11 05-30
11143 윈 도 우| Windows 11 24H2 26100.712 업데이트(변경) [3] GreenTea 786 3 05-30
11142 윈 도 우| kb5037853_빌드 22621.3672_22631.3672 16k 308 3 05-30
11141 기 타| Windows 11 SystemPE 6 감사스샷 [22] 격자 698 57 05-29
11140 기 타| Win11 wim통합 PE [24] 딸랑쇠 1727 77 05-29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