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딸랑쇠님 ToolsBR 폴더에 LaunchBar를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2024.04.26 13:51

왕초보 조회:847 추천:17

요즘은 모든 프로그램 폴더에 있는 바로가기 파일들을 분류해서 사용하고 있지 않아서 딸랑쇠님 작품의 ToolsBR 폴더를 LaunchBar로 구성하

는것이 오히려 더 복잡합니다

 

폴더에 분류하는 외국 PE는 베트남 PE가 유명한것 같습니다..이 PE는 분류한것을 우클릭 메뉴에 보여주고 있기도 합니다

모든 프로그램 폴더에 바로가기 파일들이 분류가 되어있거나 분류가 되어 있지 않거나 하는것은 사용하시는 분들을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있을것 같습니다.

PE를 복구시스템용으로만 사용하는 저는 프로그램이 몇개 되지 않아서 분류할 필요도 없기는 합니다

 

LaunchBar를 적용해 보기 위해서 대충 폴더별로 나누어 보기만 한것입니다..

폴더별로 나누게 되면서 exe 파일 바로가기를 만들어 주는 새로운 Load.ini가 필요하네요

 

1. 폴더별로 분류를 해서 프로그램들은 넣었습니다..일부 프로그램을 설정을 수정하기 그래서 그대로 두었습니다

1.jpg

 

2. 1번의 Load.ini가 새로 추가된 것입니다.노랑개굴님 XPE에 있는 런처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활용하였습니다..감사합니다

  바로가기 만들기는 ToolsBR 폴더의 exe를 바로가기를 만들고 폴더안에는 Load.ini만 검색을 하기 때문에 아래처럼 폴더안에 있는 exe는

  별도의 Load.ini가 있어야 합니다

2.jpg

 

3. 폴더에 있는 Load.ini는 기존것에서 폴더 경로만 추가해주면 됩니다

3.jpg

 

4. PureBasic으로 만든것입니다..폴더의 exe 파일 바로가기를 만들어 주고 하위 폴더안에 있는 Load.ini를 로드하여 주는 역활을 합니다

4.jpg

 

5. 탐색기 실행전에는 exe 바로가기와 Load.ini로드만 합니다.. 탐색기 이후에는 /PIN 옵션을 시작메뉴와 작어표시줄에 등록을 하는 작업을

  하도록 분류를 하였습니다

5.jpg

 

6. LaunchBar 에 폴더를 등록하기 때문에 모든 프로그램 폴더에서 필요없는 폴더는 삭제를 해주었습니다

   맨 나중에 LaunchBar를 실행합니다

6.jpg

 

7.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애용하는 프로그램은 모든 프로그램 폴더에 만들어서 바로 보이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것을 폴더에 넣은 방식으

  로 정리를 하였습니다

7.jpg

 

8. 분류한 폴더별로 바로가기가 잘 만들어졌습니다

8.jpg

 

9. LaunchBar에 등록된 폴더 내용입니다

9.jpg

 

10. 아이콘은 잧기가 어려워서 폴더안에 있는 프로그램에 있는 아이콘을 추출해서 등록을 하였습니다

10.jpg

 

11. Claunch는 바탕화면을 더블클릭하면 마우스 커스 위치에 나타납니다

11.jpg

 

12. 아이콘 형식일때는 폴더안의 바로가기중 일부가 보이지 않은 것이 있었지만...버튼 방식은 잘보입니다

12.jpg

 

13. PureBasic으로 만든 Launch는 모든 프로그램 폴더에 있는 lnk만 보여주기때문에..폴더별로 분류한 경우에는 사용할수가 없습니다

13.jpg

 

14. 바로가기와 시작메뉴, 작업표시줄에 등록을 하는 LinkMaker에서 수정하기 편하도록 우클릭에 등록을 하여 줍니다

14.jpg

 

15. LinkMaker에서 FolderExplorer.exe에서 사용하는 Folder.lnk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ToolsBR폴더 바로가기 파일입니다

15.jpg

 

16. 마무리

요즘은 폴더별로 분류를 해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지 않으시죠...폴더별로 분류하는것도 일이기는 합니다

프로그램이 많은 경우 LaunchBar에서는 한줄로 등록을 해서해서 폴더별로 등록하는 기능을 활용을해야합니다

딸랑쇠님의 ToolsBR 폴더에 적용을 하여 보았습니다

 

모든 바로가기를 수동으로 ini에서 등록해서 폴더별로 분류하는것은 프로그램 추가 삭제시마다 수정이 불편해서 좀 그렇죠

폴더안에 있는 exe 파일 바로가기용으로 별도의 Load.ini가 필요하네요

 

좀더 테스트를 해보고 문제가 없다면..LaunchBar와 Load.ini는 스크린샷에 소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불금입니다

즐거운 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841 서버 / IT| NAS서버 QNAP TS-253A 리뷰 [7] 준타 3036 5 02-18
3840 윈 도 우| 잘린 install.swm 파일 다시 install.wim으로 합치기.. [9] suk 5132 6 02-17
3839 소프트웨어| Easy2boot 를 이용한 Multi booting [6] 한스 2841 2 02-17
3838 윈 도 우| 스카이레이크용 UEFI 윈7 이미지 테스트 해봤습니다 [7] suk 3199 3 02-17
3837 소프트웨어| VHD[x] 확장하기 bat 테스트입니다 [14] suk 2672 19 02-17
3836 윈 도 우| GPT 디스크로 레거시 부팅 가능하네요. [놀람] [6] suk 2871 6 02-16
3835 윈 도 우| 콜*오님_Windows_7_Ultimate_Manian_x86 부팅기 [19] 선우 1989 5 02-16
3834 소프트웨어| 드라이브 문자 할당 & 제거하기 bat 테스트 [12] suk 2296 8 02-15
3833 윈 도 우| Windows 10 Pro K th2 10586.104 (x64) 간략 설치기 [24] it초보 4409 4 02-15
3832 윈 도 우| UEFI모드에서 보험용 EFI 파티션 만들기 [12] suk 4266 4 02-14
3831 윈 도 우| Oneclick 윈도우 7 설치 [20] 터치잇 4907 10 02-14
3830 윈 도 우| Windows 10 Version 1511 Build 10586.104 [3] Waffen-SS 3858 3 02-13
3829 윈 도 우| 윈도우7 업데이트 확인 느릴 때 해결 방법 한 가지 [12] 휘슬링 5561 6 02-13
3828 윈 도 우| 빈자리님 Windows7 Pro K x86 VMware설치과정 스샷 해봤습... [14] 선우 2182 4 02-13
3827 윈 도 우| 빈자리님 무봉인 Windows7 Pro K x64 설치 하였습니다 [23] 선우 3288 7 02-12
3826 소프트웨어| 석님의 랜섬웨어 감지용 프로그램 좋네요 [5] 오늘을사는 3262 2 02-12
3825 소프트웨어| [수정]랜섬웨어 감지용으로 만들어봤습니다. 개인용 [26] suk 4371 13 02-11
3824 기 타| 외장하드 멀티 부팅하기-멀티 윈도 설치와 PE부팅 [28] suk 9368 12 02-11
3823 소프트웨어| 프리모캐쉬.. 성능이 좋아졌군요.. [6] bleach 3682 1 02-09
3822 소프트웨어| 7 Star 브라우저 잠깐 사용기 [7] BLIFE 3332 2 02-06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