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WimLib Fast Cmd 버전 사용기 입니다

2024.02.24 14:41

왕초보 조회:828 추천:22

오토잇을 만든 BR Simple와 BR Fast 처럼...취향에 따라서는 BR Fast 버전이 더 편하시기도 합니다

이것저것 자꾸 추가가 되어서 WimLib Simple Cmd 의 경우 cmd 내용이 복잡하다고 하셔서..BR Fast 버전처럼 백업,복원 부분들만 남기고 나

머지는 정리를 하여 보았습니다

 

Backup폴더에 있는 않는 백업파일을 우클릭 메뉴나 드래그 해서 복원하는 기능은 편해서 이제는 뺄수가 없을 기능이 되어 버린것 같습니다

편한것이 있다면 최대한 활용을 해야죠

 

기능들이 자꾸 추가가 되면서 복잡해지고 있었는데 간결한것이오히려 편하게 느껴지네요

본인만의 백업 프로그램을 만들어 활용할때 사용하지 않은 기능이 있는것보다는...본인의 원하는 기능만 딱 있는것으로 구성을 하는것도

좋은 방법일것 같습니다

 

 

1. BR Fast 버전 처럼 우클릭 메뉴에서 백업,복원하는 것이 편합니다.. 바로가기는 백업 파일이 있으면 복원만 진행됩니다

1.jpg

 

2. 백업 파일이 없는 경우 바로기나 우클릭에서 복원을 해도 백업 메세지가 나옵니다.. 바로 B 만 입력하면 백업이 시작됩니다

2.jpg

 

3. 백업중입니다

3.jpg

 

4. 바로가기는 백업 파일이 있으면 무조건 복원 메세지가 나옵니다 /B 옵션을 주면 우클릭 메뉴와 같은 옵션이어서 백업이 진행됩니다

4.jpg

 

5. 재부팅후 메세지입니다..저야 이렇게 확인하는것을 좋아합니다..

5.jpg

 

6. 복원중입니다

6.jpg

 

7. cmd의 최대 장점이죠 바로 수정할수가 있습니다..주석 처리했던 goto문을 살렸습니다..재부팅후 메세지 확인없이 바로 복원을 진행합니다

7.jpg

 

8. 윈도우에서 이미 체크를 다 했는데 재부팅후 확인을 하는것이 필요없다고하시는 분은..바로 복원이 편하시죠

  저도 테스트를 많이 하기 때문에 이것이 편하기는 합니다..

8.jpg

 

9. 윈도우에서 백업,복원이 가능해서 PE에서는 주목적이 복원일것입니다. 바로가기는 백업 파일이있어서 복원이 바로 실행됩니다

9.jpg

 

10. wim 파일을 클릭하면 바로 복원 메세지가 나옵니다..비상용으롷 다른 폴더에 백업 파일을 보관하는 경우 편합니다

   우클릭에서 복원을 해도 되기는 합니다.. 

10.jpg

 

11. 복원중입니다

11.jpg

 

12. /B 옵션을 준 바로가기가 없어서 우클릭에서만 백업이 됩니다

12.jpg

 

13. 백업중입니다

13.jpg

 

14. 윈도우 파티션 갯수를 체크해서 없거나 2개 이상이면 메세지를 보여줍니다..이런 부분들만 잘 체크를 해도 사고를 줄일수 있습니다

14.jpg

 

15. 2개일때 메세지입니다..1개 일때에만 정상 실행됩니다

15.jpg

 

16. 마무리

cmd로 윈도우 백업,복원 프로그램을 간단히 만들어 보려고 해서..결국은..취향이나..컴퓨터 상황에 따라서 여러가지 모습일 될수 밖에 없어서

어느 하나가 정답이라는것은 없을것 같습니다..

본인의 목적에 맞는 기능이 있는것이 제일 좋은것이죠... 

 

처음 하시는 분들을 단순히 백업,복원만 되는것을 만드시고나서 사고 방지를 위해서 체크되는 부분들을 하나씩 추가를 하시면서 완성을 해

나가시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고수님들이 이미 만들어 놓으신 작품들의 소스를 활용하시는것도 좋은 방법일것입니다

간단하더라도 본인만의 스타일대로 만든 백업 프로그램이 있어면...활용하기가 편합니다..

 

즐거운 토요일이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0877 HTPC 사용기. [1] 이프지비 4162 0 08-08
10876 윈도우7(영문) / 서버2003 R2(영문) 간략 비교기 [2] core2e8400 4539 0 08-08
10875 윈7 얼티메이트 64비트 설치사용기 [10] Vega1st 5981 0 08-08
10874 Windows 7 Enterprise N x86 En 설치소감 [7] 박정환 5705 0 08-08
10873 윈도우 7 32 비트 사용비교 64비트 vmware비교 [5] 호코빵 9309 0 08-09
10872 SecondLevelDataCache [13] Laputa 5571 0 08-09
10871 윈7 32bit ULTIMATE MSDN 한글 설치샷 [5] 곽자일 6609 0 08-09
10870 [수정] 놈강도님 감사합니다.^^ [2] NastyLemon 3986 0 08-10
10869 윈도우7 얼티밋 설치(넷북-S130) [7] 마스터 5790 0 08-10
10868 비스타에서 업그레이드로 7 설치해봤습니다. [2] gogo 3771 0 08-10
10867 맥북 유저의 Windows 7 RTM 32bit 사용기입니다. [5] Luade 5507 0 08-10
10866 드디어~ HP Mini 2140 노트북 인증 선공했습니다 [2] 타키온 4664 0 08-10
10865 windows 7 64bit 너무 겁없이 도전햇나봅니다... [23] 차은상 10092 0 08-10
10864 윈도우7 Ultmate k 최저사양 테스트.. [6] 레인져 8243 0 08-11
10863 불여우 투명테마 설치성공 IBM 매니아 [9] 마이종 5720 0 08-11
10862 확실히 레디브스트가 저사양에선 효과가 있나봅니다. [4] 김윈포 4599 0 08-11
10861 rtm(버전 6.1 빌드 7600) 32bit 인증 성공 [8] 아팅 5518 0 08-11
10860 후지쯔 s6510 영문w7 64비트 ultimate 설치기(+XP모드에서 ... [5] 난쟁이 8917 0 08-12
10859 드뎌 윈 7 얼티 64빗 인증 성공했습니다... [7] Alvin 5847 0 08-12
10858 Win7과 N당 드라이버 [16] IS진 4251 0 08-12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