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Dism OneClick cmd - 그냥 전체 백업,복원입니다

2024.02.18 06:35

왕초보 조회:1026 추천:26

wim 백업,복원은 제가 알고 있는 방법중에는 4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WimLib, ImageX, Dism, Wimgapi 이 방법중에서  Wimgapi 방법은 아직 못해보았습니다..오토잇에서는 소스가 완벽하지 않고 VB6에서는..

진행바가 없는것 소스를 보기는 했습니다....입니다님 작품이 Wimgapi를 활용하신것이어서..항상 부러워하고만 있습니다

제가 몰라서 일수도 있습니다...아마..다른 프로그램밍 언어에서 Wimgapi를 활용하고 있기는 할것입니다..

 

WimLib, ImageX는 파일만 있으면 되지만 Dism은 PE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Dism 폴더가 필요하죠..이 부분이 조금 불편하기는 합니다

Dism의 경우 백업,복원시 진행 %가 한줄로 깔끔하게 나와서 이 부분은 장점인것 같습니다

 

중국분의 cmd를 활용해서 Dism으로 백업,복원을 하여 보았습니다

 

[첨부] 중국 Snapshot One Click Cmd 파일 사용기 입니다

https://windowsforum.kr/review/20392136

 

wim을 증분백업을 하지 않고..단순히 전체 백업,복원 방식으로해서 백업 파티션 용량이 널널해야 합니다

 

1. cmd 관리자 실행은 pecmd.exe를 활용하였습니다

1.jpg

 

2. 사고 방지를 위해서 윈도우 파티션은 1개만 있어야 합니다

2.jpg

 

3. 백업 파티션도 1개만 있어야 합니다

3.jpg

 

4. 백업시에도..PE로 부팅후 백업을 진행합니다

4.jpg

 

5.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설정한 백업파일로 확인을 하고 있습니다

5.jpg

 

6. 백업중입니다...백업시에 진행%가 한줄로 나와서 위의 정보들이 그대로 보이고 있습니다..깔끔해서 좋습니다

6.jpg

 

7. 두번째 백업은 기본 백업파일에 증분백업하는것이 아니라 새로 전체백업을 합니다

7.jpg

 

8. 재부팅후 백업 정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8.jpg

 

9. 복원시 기본 설정 파일을 맨 나중의 파일입니다.

9.jpg

 

10. 다른 백업 파일을 선택후 복원할수 있습니다

10.jpg

 

11. PE로 재부팅하였습니다...복원 파일 정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1.jpg

 

12. 복원중입니다

12.jpg

 

13. 윈도우로 부팅도 확인하였습니다

13.jpg

 

14. PE에서 백업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14.jpg

 

15. 백업중입니다

15.jpg

 

16. 복원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16.jpg

 

17. 복원중입니다

17.jpg

 

18. 포멧후 기본  볼륨명으로 설정하는데 Lable.exe를 활용하고 있습니다..Lable.exe가 없네요

18.jpg

 

19. 포멧시 설정된 Windows 그대로 입니다

19.jpg

 

20. 마무리

초보 지인분들께서 편하게 활용할수 있도록 BR 프로그램을 만들어 활용하고 있지만..모든 분들이 만족할수는 없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GUI형식이고 추가적인 설정을 할수가 없어서 프로그램에 맞추어서 활용할수 밖에 없습니다..

컴퓨터 상황이나..취향에 따라서 설정을 다르게 하고 싶으시다면..cmd 파일을 활용해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중국분이 공개를 해주신 cmd 경우 기본 빼대가 이미 갖추어져 있어서 취향에 맞추어서 튜닝을 하신다면 본인만의 맞춤 백업 프로그램으로

활용을 하실수 있으십니다..잘 되시길 바랍니다

 

편안하신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0816 이유없이 하드 가용량이 줄어드는 이상한 현상이 나타네요.... [8] 도도 4703 0 08-17
10815 멀티부팅으로 7쓰다가 새로설치해서 7만 설치했더니 HDD 점... [10] 400번 5634 0 08-17
10814 슈퍼패치 성능 좋아졌군요...ㅎㅎㅎ [7] Native 64 9752 0 08-17
10813 역시나 순수 영문판이 빠르군요.. [27] SYSTEM 11190 0 08-18
10812 땜쟁이의 윈7 사용기 [4] keyser 15097 0 08-19
10811 PSR(문제단계레코드) [1] 다저스타디 4188 0 08-19
10810 비스타 및 윈7을 USB로 설치하는 방법... [19] 홍용기 13232 0 08-20
10809 윈도우7을 회사에 깔아 쓰면서...... [14] 박진영 5915 0 08-20
10808 윈도우 7 테크넷 인증 후 사용소감? [89] 초콜릿 14118 0 08-20
10807 한지붕 세가족 [12] 윈도칠 4440 0 08-20
10806 저도 회사에 윈도7 얼티밋 x64 설치했습니다. [3] 김원식 5372 0 08-21
10805 V3 8.0 서비스가 64비트 군요.. [13] Native 64 8047 0 08-21
10804 win7 스타터 설치 했읍니다 문제발생..ㅠ..ㅠ [7] 유원재 5808 0 08-22
10803 W7 파일 복사 속도 문제 있네요 [30] 대한건아 8914 0 08-23
10802 윈도우 7 간단 사용기 [11] 줄리안타임 8937 0 08-23
10801 인텔 X58SO 보드 인증 성공입니다.!!!!!!!! [6] 김호근 3891 0 08-24
10800 sata 모드를 acpi가 아니라 ide로 변경 후 xp설치시에... [9] 찔겨도너무 7003 0 08-24
10799 밑에 x58 보드 인증글보고 p55 보드 인증 올립니다. [3] 너굴이 3892 0 08-24
10798 KMS 인증 [5] 박진택 6477 0 08-26
10797 xp64+ 7 64 사용시 인증 [5] 왜그래아마 3963 0 08-26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