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System PE에서 자격증명을 GUI로 하여 보았습니다

2023.10.03 11:03

왕초보 조회:671 추천:22

System PE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은 PENetwork.exe의 기능을 사용을 하면 간편하게(?) 연결을 할수가 있습니다

Lightning님 22621.1631 Server PE의 경우 wim 용량이 커져서..단순히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이 필요한 경우를 생각해서 이것만 추가를 하는

것을 해보려고 하였습니다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위해서 PENetwrok.exe 수정버전을 배포를 해서 PENetwork.exe 실행시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이 나오는것이

처음에 나오는것을 적용해 볼까 하다가 윈도우에서는 Admin 아니어도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이 잘되어서 궁금한 마음에 PE에도 적용을 하

여 보았습니다

 

Server에서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시 계정,암호 이렇게 2개만 넣으면 연결이 되어서 System PE도 그런줄 알고 있었습니다

이것 때문에 System PE에서는 에러가 발생을 한것이었네요..System PE의 경우 계정앞에 Server 이름까지 있어여 연결이 됩니다

다들 알고 계시는것을 저만 몰랐었던것 같습니다

 

1. PENetwork.exe를 사용하는 경우 트레이에서 아이콘 클릭시 아래처럼 네트워크 드라이브가 먼저 나오는것으로 하는것이 편하죠

   지난번에 수정 작업시 해보았던것이어서 이 방식을 적용하는것이 파일 추가나 레지 추가가 적어서 편한것 같습니다

1.jpg

 

2.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메뉴가 탐색기에 추가가 되었습니다

2.jpg

 

3. 공유 폴더를 찾았습니다

3.jpg

 

4. 자격증명입니다..Server에서는 아래처럼..계정, 암호만 입력을 하였었습니다

4.jpg

 

5. System PE의 경우 계정,암호만 입력시에는 아래처럼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그래서 저는 Admin만 자격증명으로 연결이 되는줄 알았습니다

5.jpg

 

6. 계정 앞에 아래처럼..Server 이름을 같이 넣으면...

6.jpg

 

7. System PE도 연결이 잘됩니다.. Server PE와 입력 방식이 조금 다르죠 이것을 모르고 있었습니다

7.jpg

 

8. 탐색기에 보이고 있습니다

8.jpg

 

9. System PE 입니다

9.jpg

 

10. 292MB에서 306MB로 wim 파일 용량이 증가를 하였습니다

10.jpg

 

11. 레지 파일도 증가를 하였습니다

11.jpg

 

12. 마무리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시 Server PE와 System PE 가 입력 방법이 조금 다른데 이것을 몰랐습니다

System PE도 자격증명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하네요. PENetwork.exe의 경우에 비해서 파일과 reg가 많이 추가가 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기는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기본 PE에서 최소한 추가를 하고 PENetwork.exe를 사용하는것이 PE를 튜팅하는 입장에서는 편한것 같습니다

 

연휴 마지막 날입니다

웃음이 가득한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0520 소프트웨어| 윈도우8 이틀 사용기... [2] 루트원 9068 1 08-23
10519 윈 도 우| 무등산2014.3.29일 [6] k-style™ 9064 0 03-30
10518 소프트웨어| 윈도 8.1, 여러 백신 프로그램 설치 정보, 프로모션 정보 [8] sous_la_pl 9052 0 09-14
10517 VirtualBox만 있으면 XP도 문제 없다! [12] 안드레아 9052 0 09-06
10516 윈 도 우| 컴퓨터 복구, Winre.wim 마음대로 주무르기..PE로도 이용 [24] suk 9039 5 03-16
10515 소프트웨어| 'AF 하드디스크만' 정렬(Alignment) 작업이 필수네요. ㅠㅠ [3] 메리아 9017 1 08-11
10514 IE9 상당히 만족스럽네요. [22] 해미 9016 0 09-26
10513 WINDOWS 7 ULTIMATE X64 시스템 이미지 백업 복구 [3] 봄날의 꽃 9016 0 06-01
10512 하드웨어| 북스캐너 사용기 [2] 수암 8993 0 03-02
10511 소프트웨어| Metro UI 라는게.. 헐.. [11] 기리나 8989 0 09-15
10510 윈 도 우| JW_win7_8_8.1_server 2008 R2_2012_2012 R2_43in1_auto [76] JWL 8981 16 10-21
10509 소프트웨어| 내맘대로 대충대충 초간단 각종 음악재생 플레이어 사용기 [12] 한걸음™ 8981 0 07-11
10508 소프트웨어| 카스퍼스키 인터넷 시큐리티 2012 설치기 [4] Lysia 8981 0 07-10
10507 소프트웨어| 투디스크란걸 만들었더니 [2] 삐져 8977 0 04-07
10506 소프트웨어| 담비노트 -엑박수정 [8] 한스 8974 1 07-13
10505 소프트웨어| WB Premium PEx64 AERO Glass Themes™ [87] k-style™ 8965 5 07-05
10504 소프트웨어| 간단 정보입니다. 아티브 관련... [6] 존래넌 8962 0 04-03
10503 저사양W7 울티메이트설치와 기본프로그램 그리고 I.E9 설치기 [20] 만사형통 8946 1 09-15
10502 윈도우 7 간단 사용기 [11] 줄리안타임 8937 0 08-23
10501 소프트웨어| Win8Mpe M test ver. [24] tara 8931 19 02-02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