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PE 레지스트리 하이브로드 언로드

2023.08.30 15:06

집앞의_큰나무 조회:654 추천:65

 안해봐서 모르는 경우를 위해 작성합니다.

누구나 처음에는 모르는일이고요

숙지가 되어서 알고나면 사실 별것아닐것입니다.

 

레지스트리 하이브로드는  PE나 윈도우 설치파일을 탑재시킨 이후 레지스트리를 병합해주는 작업으로 보면 될것 같습니다.

익숙해지면 실컴에서 해도 되겠으나   우선 PE에서 해보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하여 그림과 설명은 PE상에서의 그림 입니다.

 

 원래는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고 파일 메뉴의 하이브로드 또는 하이브 언로드를 하면 되지만.

 PE의 config폴더에 HiveLoad.cmd  HiveUnload.cmd 파일이 내장되어 있으니

 그파일로 하게되면 매우 편리하게 하이브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0..png

 

 

 

주의 할 점은 제경우 보관중인 수많은 레지스트리의  하이브키 작성이 1 2 3 4키  상태로 보관되어 있어서 

제 PE에 포함된 배치파일은 레지스트리 DB가 1 2 3 4키로 하이브되도록 되도록 만들어져 있으므로 그점 유의해서 보시면 됩니다.

 

1, 편리성을 추구하는 레지스트리 편집 및 내보내기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고  실행을 누르면 바로 regedit가 씌어져 있을것이므로 실행창을 열고 진행합니다.

   필요한것을 수정해주고 해당 레지스트리를 내보내기 해줍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우클릭키 중에 하나인 DesktopBackground의   Display 수정을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1.레지스트리 수정.png

 

2.레지스트리 내보내기.png

 

 

  2, 레지스트리 파일의 키 수정

     내보내기된 레지 파일을 하이브키로 바꿔 줍니다.

     위에 언급했듯이 여기서 Software가  2로 바뀌게 되어 있으므로 설명도 그렇습니다.

 

          따라서 키를 바꿀때는 아래와 같아야 합니다.

       DEFAULT-->1 

       HKEY_CURRENT_USER ----> HKEY_LOCAL_MACHINE\1

       Software-->2

       HKEY_LOCAL_MACHINE\SOFTWARE --> HKEY_LOCAL_MACHINE\2 

       System-->3

       HKEY_LOCAL_MACHINE\SYSTEM ---> HKEY_LOCAL_MACHINE\3

       Drivers-->4

       HKEY_LOCAL_MACHINE\DRIVERS  --> HKEY_LOCAL_MACHINE\4

 

3.레지키 수정.png

 

 

 

3, PE 탑재

   PE  해당 wim파일을 탑재합니다.

   편리한 탑재 도구인 틱톡님의  T_DISM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T_DISM으로 탑재합니다.

 

4.WIM파일 탑재.png

 

 

4, 하이브 로드

   탑재된 폴더가 열리면  WIndows  System32 Config 폴더까지 열고 HiveLoad.cmd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레지스트리 편집기에 1 2 3 4 키가 "HKEY_LOCAL_MACHINE" 하위에 새롭게 생성되었을것입니다.

 

 

   

6,HiveLoad.cmd실행.png

 

4, 병합

  처음에 내보내기하고 하이브 키로 수정한 레지스트리 파일을 클릭해서 병합해줍니다.

 

7.레지스트리 파일 병합.png

 

 

5, 병합 확인

 병합이 잘되었는지 확인을 해보기 위해서

 해당 레지스트리 키로 클릭해서 가야하는데 힘듭니다. 

 그래서 우클릭 메뉴중에 "복사한 레지키"를 활용합니다.

 

     메모장으로 열고 큰 괄호  [    ] 를 제외한 괄호안에있는 순수한 키만 복사 먼저합니다.

     그리고 우클릭 메뉴의 "복사한 레지키"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해당 레지키가 보이도록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열릴것입니다.

     이것은 딴죽남님이 만드신것 입니다.

 

 

      아래 그림에는 Software로 적용된 레지스티리가 열린 그림입니다. 

     HKEY_LOCAL_MACHINE\2\Classes\DesktopBackground\Shell\Display

     로 보시면 됩니다.

8.확인을 위해서 레지키 복사.png

 

9.키로 가기.png

 

10.레지스트리 적용 확인.png

 

 

 

6, 하이브 언로드

   적용되었음을 확인 했으므로 HiveUnload.cmd를 클릭하여 하이브 언로드를 합니다.

   언로드가 잘안되면 탑재 해제가 안되므로 한번더 HiveUnload.cmd를 클릭해줍니다.

 

11.하이브언로드.png

12.한번더 언로드.png

 

 

7, 탑재 해제 

    T_DISM의 탑재 해제를 클릭하여 마운트를 풀어줍니다.

    탑제 해제를 할때는 탑재되었던 폴더를 열어두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13.탑재 해제.png

 

14.탑재 해제 확인.png

 

8,

  적용 확인을 위해서 PE로 부팅해봅니다.

  이것도 적용한 wim파일에 우클릭해서 "선택한 PE 부팅"을  해주면 되며

  사양에 따라 다르지만 약 7초~10초 중  5초의 여유 딜레이가 있습니다.

 

15.PE 부팅.png

2023-08-31_180607.png

 

----------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0263 기 타| 받으신분 다시받으세요 [174] V무등산V 3195 243 09-22
10262 기 타| [sergei Admin PE] 러최신버전 한국형개조 : 편집기 연결 [35] 세이퍼컴 630 34 09-22
10261 기 타| Micro22000.194 Net - 아이콘 간격에 7+TaskbarTweaker을 ... [15] 왕초보 719 25 09-21
10260 기 타| sunshine님 Micro22000.194 Net - 작업표시줄 아이콘 간격 ... [19] 왕초보 716 25 09-21
10259 기 타| [종료] Windows11XPE_22000_2416, Windows11XPE_22631_2338 [131] 우인 1348 221 09-21
10258 윈 도 우| S샤인님_ Micro22000.194_v2.4net_sib.iso 설치기_사용기 [14] 4k8k 694 20 09-21
10257 윈 도 우| [231019 수정]Micro22000.194_v2.4net [416] sunshine 3250 246 09-20
10256 기 타| QuantumPE Admin & System_ (공유수정본) 사용기 [141] 격자 1618 169 09-20
10255 윈 도 우| 와로님 vhd 설치기_Windows 11 /10 [13] 4k8k 905 25 09-20
10254 윈 도 우| 유민님_19045.3448 사용기 [13] 4k8k 491 18 09-20
10253 기 타| WindowsforumPE 수정본 사용기 [76] 격자 971 92 09-19
10252 기 타|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간단히 GUI로 하여 보았습니다 [22] 왕초보 1023 39 09-18
10251 기 타| 【수정+추가】 유민님 스타일 sunshine PE [58] 딸랑쇠 1790 128 09-18
10250 기 타| Win11 22621.1631으로 Admin PE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41] 왕초보 748 48 09-18
10249 소프트웨어| dism++으로 인텔 VMD 드라이버 추가/제거하기 [15] suk 823 35 09-18
10248 소프트웨어| WimLibBR 1.2 한글 테스트 - WimLib-ImageX [20] 지후빠 1019 56 09-17
10247 소프트웨어| ImagewBR 1.2 한글 테스트 - Image for Windows [33] 지후빠 1121 63 09-16
10246 기 타| [종료] Windows11XPE_22631_2265 [108] 우인 1530 215 09-16
10245 윈 도 우| [종료]Micro19043.1165_v2.3FIX4P [323] sunshine 1156 199 09-16
10244 기 타| 유민님 스타일 sunshine DVD(Full.iso) PE [70] 딸랑쇠 1727 151 09-15
XE1.11.6 Layout1.4.8